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매우 주관적인 2002년 WWE 어워드 [BEST]

버드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0 22:02:58
조회 2547 추천 46 댓글 17
														

근 몇달간 기나긴 출퇴근길에서 뭘할까 고민하다,

브랜드 익스텐션 이후 덥덥이를 시청하자는 생각이 들어서 보기 시작했는데 드디어 2002년을 마무리 지음.


사실 어렸을 때 어렴풋이 들었던 내용이나 봤던 기억들이 있긴 했는데

이렇게 다시 보니 나름 정리하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뻘글이지만 남겨봄.


카테고리는 프갤 어워즈에서 빌려서 각각 BESTWORST로 나눠서 해볼 예정이고,


- 올해의/최악의 레슬러

- 올해의/최악의 팀

- 올해의/최악의 선, 악역

- 올해의/최악의 대립

- 올해의/최악의 경기

- 올해의/최악의 모먼트

- 올해의/최악의 챔피언

- 올해의/최악의 뉴커머

- 올해의/최악의 이벤트


순으로 정리해보도록 하겠음.


참고로 브랜드 익스텐션부터 봤기 때문에,

그 전에 진행했던 레매 18과 같은 곳에서의 활약은 모두 제외된다는 점 감안 부탁 좀... ㅎㅎ


2002년 WWE 어워드

BEST 부문


올해의 레슬러


1bab8335c8f36da923e986e50e827765f882b31441b6a6f93f53d7f1a8c1b4


커트 앵글


2002년의 커트 앵글은 토탈 패키지의 전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음.

경기력 면에서도 완벽하고, 세그먼트 역시도 꿀잼을 보장하는 믿을맨으로 활약하며 스맥다운의 중흥기를 이끌었음.

브랜드 익스텐션 직후의 엣지와의 대립, 벤와와의 대립 및 태그팀 활동과 같은 굵직한 활동과 더불어서

그 중간에서의 호건, 레이, 시나와의 대립 역시도 정말 재밌었음. (특히 시나의 시작점인 루스리스 어그레션 세그먼트도 이 때)


여튼 이 시기의 앵글은 정말 대체 불가능한 모습을 보여주며, 압도적인 활약을 보여줬기에 올해의 레슬러로 선정.



올해의 팀


2fb2df2de1c72bb26db3d9a613c531302b1923a2d11febce79b02c2535dc905471bcaaab78165482871937f38a330ee7c5096bb62d131b391591b07a83abff14a1980e35fac4


부커 T & 골더스트


사실 태그팀을 바탕으로 중흥기를 이끈 스맥다운이지만, 팀으로써 평가를 하기엔 이 팀을 꼽을 수 밖에 없을 듯.

스맥다운의 굵직한 태그팀들은 활동 기간이 짧거나 금방 싱글로 빠져버렸기 때문 (로스 게레로스, 앵글&벤와, 엣지&레이 등)


하지만 부커 T와 골더스트는 2002년 중반부부터 RAW에서 태그팀으로 활동하며 ㅂㅅ같던 RAW에서 그나마 볼 만한 모습을 보여줬음.

비록 태그팀 타이틀에 도전하던 시기 언어메리칸스와 제리코&클챤과의 발암 경기들이 걸리긴 했지만,

둘의 케미에서 나오는 상황들이 꿀잼이었고 결국 아마겟돈에서 이 모든 억까를 극복하며 챔피언에 등극하며 보기 ㅈ같았던 RAW에서 몇 없는 즐거움을 주었음.


어찌보면 이 둘에게도 긍정적인 활동이었던 것이, 이 활동을 통해 부커 T가 2003년 레메 타이틀 전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았고

골더스트 역시 2002년 잠시나마 부활을 꿈꿀 수 있었기에 이 둘을 선정.



올해의 선역


29e98672e4d03ef068ead5ed43d32639581a5e98d56050e0795cc587587d4c4f1f82e533192ad2fd9db072e67aa046e833259dfec5c01927ebfe


엣지


지금에야 성인등급 슈퍼스타로 각인된 엣지지만, 이 때의 엣지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사랑받는 최고 선역이었음

앵글과의 삭발을 걸고 진행했던 유명한 대립, 호건과의 어린 시절 꿈을 이루는 태그팀 챔피언 시절 등

엣지는 2002년 내내 최고의 환호와 함께 EDGEHEADS를 양산하며 메인이벤터로 차근차근 올라가고 있었던 상황


이 당시에는 그 누가 오더라도 환호로 지지 않는 선수였고, 그에 걸맞은 모습들을 보였기에 앞으로의 상황이 탄탄대로처럼 느껴졌으나...

2003년 이후의 목부상 이후 그 길이 달라지게 되었음.



올해의 악역


1bab8335c8f36da923e986e50e827765f882b31441b6a6f93f53d7f1a8c1b4


커트 앵글



올해의 대립


28b9d723dad336a162ba98bf06d60403eea5102866d974498f


커트 앵글 vs 엣지


브랜드 익스텐션 직후 스맥다운을 핫하게 달군 대립

경기 역시도 훌륭했을 뿐 아니라, 이들의 모든 세그먼트는 꿀잼 보장.

특히 앵글이 유석이형으로 거듭난 데는 바로 이 대립이 결정적이었다.


이 대립은 2002년 두 선수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엣지는 최고의 팬 페이보릿 선역, 앵글은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는 대머리와 함께 악역으로 더욱 승승장구했다.



올해의 경기


7cec9e36ebd518986abce8954088706f4333


앵글 & 벤와 vs 에지 & 레이 (2002 노머시, WWE 태그팀 챔피언십 토너먼트 파이널)


2002년 스맥다운의 전성기를 가장 잘 압축해준 경기라고 말할 수 있음.


이 당시 스맥다운은 싱글 레슬러를 다양한 태그팀으로 묶어,

태그팀으로의 대립 뿐만 아니라 싱글 대립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무한한 굴레를 보며 끊임없는 재미를 보장했다.

이 경기 역시 태그팀 경기이지만, 이 안에 있는 선수 모두 커트 앵글을 중심으로 각각 싱글 퓨드를 지니고 있었던 신선한 경기였음.

(앵글 vs 벤와, 앵글 vs 엣지, 앵글 vs 레이)


특히 이 당시 스맥다운은 경기력이 매우 출중했는데, 이 경기는 그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매치 퀄리티를 보여줬음.

물론 우리의 프붕이들은 모두 봤겠지만, 안 본 사람들에게는 전후 사정 몰라도 이 경기만 보는 것도 매우 추천할 만큼 최고의 경기.



올해의 모먼트


1e99ef76bd826cf43eef848a4681746c73ba10016e80527aad7a893726d036bd6ee81a81ea912871ac9f3dc64886ae28301337e3808f343f5f135b142aa223699e


차세대 거물, 원조 거물을 무참히 박살내다 (2002.08.08 스맥다운)


다들 여러가지 모먼트를 생각할 수 있겠지만, 나에게는 이 장면만큼 충격을 준 부분은 없었다.


이 당시 브록은 정식 데뷔한지 약 3개월 만에 마주치는 모두를 깨부수고 킹 오브 더 링에 오르며 쾌속 질주 중이었음.

초반에는 하디 보이즈, RVD와 같은 팬 페이보릿 슈퍼스타들을 압살하며 괴물로써의 포지션을 빠르게 구축했고,

이 후 더 락과의 섬머슬램 덥챔전을 앞두고는 거구의 선수들을 뽑아들면서 그 위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리키쉬, 마크 헨리)


그 중 가장 하이라이트는 바로 헐크 호건과의 맞대결이었는데,

이 당시 호건은 그 어떤 선수를 가져다놔도 가장 큰 환호를 이끌어내던 레전드이자 선역이었음.

특히 호건은 삼치가 레매에서 성대하게 등극한 (그리고 ㅈ망한) 선역 챔프 시절을 한 달만에 안락사 시킬 정도로 대단한 위용을 떨치고 있었는데,

브록은 이러한 호건을 충격적으로 압살하며 차세대 거물로써 완벽히 자리매김했다.


특히 베어허그를 당하며 입에서 피를 토하던 호건의 모습은 각본인 것을 알지만 정말 두려울 정도의 모습이었음...



올해의 챔피언


3ea9d527e8c72ba37cb6dbb411d437705a475285d52445d93addeede59d154a8c3eb6344c197bda98b


커트 앵글 & 크리스 벤와 (WWE 태그팀 챔피언)


사실 2002년 동안 챔피언으로써 인상 깊은 선수는 그렇게 많지 않았음.

심지어 브록 레스너 마저도 챔피언 기간 동안 크게 인상 깊지는 않았던 것 같음.


이 둘 역시도 챔피언으로써 기간이 매우 짧아 아쉽긴 하지만, 이 당시 둘의 케미와 함께 이 후의 모습들을 보며 선정하게 되었음.

이 둘은 사사건건 맞부딪히던 두 사람을 억지로 묶어놨을 때의 재미와 함께 경기력 측면에서 최고의 모습을 선사했으며,

태그팀이 해체된 이후 2003 로럼에서의 전설적인 경기까지 그 대립이 이어졌는데 이는 볼거리 많은 스맥다운에서도 가장 핫한 퓨드 중 하나였음.


그리고 이 대립은 목 부상 복귀 이후 RAW에서 헤매고 있던 벤와를 다시금 수면위로 올려줬고,

결국 이를 바탕으로 그 유명한 레매 20의 명장면까지 이어졌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중요했다고 생각함.



올해의 뉴커머


7dec8219b5836a954a8086ed4486766d956cb42fd8d6c80f743e1634adcc365580f2b74d8c1f


브록 레스너


이건 이견 없을 듯?

빠르게 넘어갑시다.



올해의 이벤트


1e8e9d71b59c32b6699fe8b115ef046c40dedd77c3


2002 섬머슬램


덥덥이 여름 최대 이벤트 다운 모습과 함께, 여러가지 역사적인 순간들을 만들어 낸 2002 최고의 이벤트


오프닝 매치인 앵글 vs 레이는 레이의 첫번째 덥덥이 PPV 경기라는 상징성과 더불어 꿀잼 경기를 선사하며 섬머슬램의 서막을 알렸고,

메인이벤트인 락 vs 브록은 브록이 가볍게 락을 제압하고 최연소 덥덥이 챔피언 자리를 갈아치운 브록의 시대를 열었음.


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할만한 경기는 바로 숀 vs 삼치였는데,

숀의 4년만의 복귀전임과 동시에 절친했던 두 선수간의 치열한 사투가 경기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했다.

특히 저게 4년 간 쉰 선수가 맞나 싶을 정도로 숀의 경기력은 대단했고, 서로 다양한 무기를 사용한 처절한 경기 끝에 숀의 롤업 승리로 이 명경기를 마무리했음.

그리고 결말에서의 충격적인 슬렛지해머 공격으로 이 대립이 여기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걸 암시하며, 이후 2년간 이어지는 둘의 치열한 1막이 시작되게 되었다.


이러한 면으로 봤을 때 2002 섬슬은 경기력, 재미와 더불어 상징성까지 챙기며,

이 해의 최고 이벤트로 손색이 없어 선정하게 되었음.

추천 비추천

46

고정닉 4

1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3174998 프로레슬링 갤러리 평균 [3] ㅇㅇ(106.102) 06.13 186 3
3174997 리코셰 근데 최대치가 미들급 아닌가 ㅇㅇ(114.200) 06.13 46 0
3174995 둘중에 악역으로 전환하면 누가 더 충격? [4] 프갤러(211.234) 06.13 130 0
3174994 이석무 기자 [3] 프갤러(180.64) 06.13 118 0
3174993 카이리여신 사진보고가라 [17] limz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596 61
3174992 난 당나귀 - 부타보타(Feat. 무등산 말타기) [3] 쏘On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25 10
3174990 시벌 무슨 3달 연속 새벽ple냐 ㅅㅂㅋㅋ [3] 프갤러(218.209) 06.13 205 0
3174989 앞으로 이 무브를 쓸 선수가 나오기는 할까 프갤러(61.39) 06.13 243 4
3174988 이번주 스맥 녹화 방송임? [1] 프갤러(118.235) 06.13 113 0
3174987 로만이 가장 임팩트 있던 장면이 뭐지 [15] ㅇㅇ(58.29) 06.13 276 1
3174986 레이미스테리오하고 로만 레인즈하고 [8] 프갤러(1.238) 06.13 81 0
3174985 이 선수 3명 중 커리어가 가장 좋은 놈은 누구냐 (나무위키 사랑해) [9] ㅇㅇ(118.217) 06.13 272 0
3174984 스타덤 재밋노 ㅇㅇ(112.187) 06.13 41 0
3174983 누구나 다 알만한 요즘 로우 로스터 특징 (2) ㅇㅇ(106.101) 06.13 193 4
3174982 이제는 신일본 내부 스토리마저 개무시하는 애우.jpg [20] ㅇㅇ(86.48) 06.13 2708 58
3174981 99~04 빈좆 vs 지금 삼치 어느때가 꿀잼임? [7] ㅇㅇ(118.235) 06.13 119 0
3174980 올인 이번에도 공짜냐?? ㅇㅇ(119.18) 06.13 37 0
3174979 덥씨덥 사람들만 루소를 첩자 취급한게 아니구나 ㅋㅋㅋ 프갤러(121.151) 06.13 49 0
3174977 내년 레매는 턴힐한 코디를 선역로만이 먹었으면 좋겠다 [6] 프갤러(116.40) 06.13 163 2
3174976 카이리X. [2] 꽂아때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515 13
3174975 프갤 대표꺼벙한 홀연이 국밥알바간 후 홀연이엄마 모습 [25] 언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82 0
3174974 오스 왜 까임? [1] ㅇㅇ(118.235) 06.13 67 0
3174973 기술력따윈 의미 없다는걸 증명한건 이분이지 싱붕이(125.133) 06.13 216 0
3174972 레슬링 게임 하고 싶은데 사양때문에 열받네 [4] 프갤러(124.58) 06.13 66 1
3174971 저 병신 오스프레이 거른 삼치가 진짜 삼종대왕 맞네 ㅋㅋ ㅇㅇ(61.80) 06.13 43 0
3174970 오스프레이는 억빠아니면 억까밖에없다 ㅇㅇ 프갤러(59.24) 06.13 36 3
3174969 오스프레이 인천 공항 도착함.insta ㅇㅇ(106.101) 06.13 313 2
3174968 아니 프퐁티햄들 대답 좀 해줘봐요 [5] 프갤러(211.36) 06.13 171 8
3174967 오스가 개발했다는 기술 [10] ㅇㅇ(175.210) 06.13 562 1
3174966 리코셰과 새끼들을 [2] 프갤러(218.152) 06.13 75 0
3174965 오스는 그래도 단체가 스토리포장만 잘 해주면 뜰 애임 프갤러(211.59) 06.13 33 0
3174964 스포츠 엔터테이먼트 티비쇼에서 라이트팬 별거아님 ㅋㅋㅋㅋㅋ 청정타자푸홀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18 4
3174963 하이플라이어가 제일 거품 과대평가 극심한 포지션인듯 프갤러(118.235) 06.13 52 1
3174962 오스 이번에 피닉스랑 할때 보차로 만들어진 새기술 [16] 프갤러(211.59) 06.13 582 7
3174961 역사에 이름 남기는게 슈퍼스타가 프갤러(218.236) 06.13 48 1
3174960 오스빠들이 제이나 브레이같은 애들보면 프갤러(218.152) 06.13 32 0
3174959 119.202 이 졷등신 내 밥새2끼는 왜캐설칠까 [9] 언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67 0
3174958 오스프레이 릭플레어가 인정했다고!!!!!! ㅇㅇ(118.235) 06.13 43 2
3174957 나만 뉴캐치 리퍼블릭 테마 좋냐 왈츠초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01 0
3174956 근데 솔직히 오스랑 별개로 숀마는 범부 맞지않냐? [6] 프갤러(119.64) 06.13 151 0
3174955 등신들이 도배하는데 청소좀할까 [17] 언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57 0
3174954 '역사에 이름 남기는건 슈퍼스타가 아니다'  프갤러(218.236) 06.13 146 0
3174953 멜처 한국어 공부좀 열심히 했노 ㅋㅋㅋㅋㅋ ㅇㅇ(175.112) 06.13 67 0
3174952 오스인지 지랄인지 하나도 안궁금한데 도배를하네 ㅇㅇ(125.137) 06.13 22 1
3174951 오스가 대단한점은 wwe안갔는데도 월클로 리스펙받는다는거임 [2] 프갤러(59.15) 06.13 126 2
3174950 '역사에 이름 남기는건 슈퍼스타가 아니다' 프갤러(218.236) 06.13 39 0
3174949 이새기가 그 장에우 오스프레이 경기보다 더 재밌게하던데 [2] ㅇㅇ(61.80) 06.13 114 1
3174948 긁히는게 장효 수준인데 [2] 프갤러(118.35) 06.13 60 0
3174947 프로레슬링 볼수 있는 ott 있나요?? [5] 프갤러(118.41) 06.13 79 0
3174946 근데 진짜 오스견들 숀마릭플레어 언급은 레전드긴함 [3] ㅇㅇ(118.235) 06.13 100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