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볼링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볼링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개념글 리스트
1/3
- 한국에서 요식업하기 힘든이유 우러모부여남
- 2015년, 한 스타 래퍼의 인생을 바꾼 결정. ㅇㅇ
- 해외여행을 기피한다는 일본 Z세대의 속마음 ㅇㅇ
- 싱글벙글 최근 실시한 고속도로 암행단속의 결과.jpg 전국민면허몰수
- 땅크땅크 노빠꾸 시절 무도 아싸아랑
- 국제결혼한 양남들이 자기 한국인 와이프 다양한 방법으로 괴롭히지않나 ㅇㅇ
- 결국 "치트키" 꺼낸 놀면뭐하니.JPG ㅇㅇ
- 내란 특검 “尹, 유엔사 승인 없이 北에 무인기 보내…군사 비밀 ㅇㅇ
- 싱글벙글 은근 많이 속는 꼴값마케팅 너의
- 월세 3천만원 시그니엘 집 보고...현타온 여사친 ㄹㅇ...jpg Adidas
- 버스의 역사.jpg 네거티장애
- 인천.공항서 총기 소지 중국인 검거ㄷㄷ ㅇㅇ
- 폭염에 사용하니 놀라운 효과...불티나게 팔려나간 '생존템' 마스널
- 일본의 현존하는 닌자.jpg 네거티장애
- 유독 눈에 안광이 부족하단 소리 듣는 아이돌 ㅇㅇ
나나니와 A의 일그러진 청춘 마지막화.manhwa
[시리즈] 교양과 지성의 만화나라 · 나나니와 A의 일그러진 청춘 35.manhwa · 나나니와 A의 일그러진 청춘 34.manhwa · 나나니와 A의 일그러진 청춘 33.manhwa · 나나니와 A의 일그러진 청춘 32.manhwa · 나나니와 A의 일그러진 청춘 31.manhwa · 나나니와 A의 일그러진 청춘 30.manhwa https://www.youtube.com/watch?v=gjQwwWjxPaQ 인스타 @nanani91 처음에 아무생각없이 디시에 올린 만화가 이렇게 오랫동안 할 줄 몰랐음 다음은 에필로그와 후기로 찾아뵙도록 하겠다 지금까지 전부 픽션이었습니다이건 다음에 할 만화로 고민 중인 인천 여자 - dc official App
작성자 : 나나니고정닉
기네스북 기록 몇 가지 모은것
출처: 기네스북 공식 웹페이지 <예술가가 살아있을때 개인거래로 팔린 그림중에 가장 비싼것> 2010년 미국에서 화가 재스퍼 존스의 '깃발' 그림 시리즈 중 1958년에 그려진것 하나가 스티븐 A. 코헨이라는 사람에게 약 1억 천만 달러에 판매되었다고 한다 이 당시 달러 평균 환율이 1,156원, 평균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현재 가치로 약 1,555원이 되는데 2010년 당시 1억 천만 달러면 현재 한화로 약 1,710억 5천만원 정도의 가치가 있다<턱에 당구큐대를 세우고 가장 오래 걸어다닌 사람> 2017년에 미국의 데이비드 러쉬라는 사람이 고등학교 트랙에서 턱에 당구큐대를 세워둔 채로 3,300미터를 걸어다님 <세상에서 가장 오랫동안 아이스크림 판매원으로 일한 남자> 미국의 알란 간즈가 1947년부터 2014년까지 총 67년동안 아이스크림 판매원으로 일했다고 함 10살때 아버지와 함께 미국 메사추세츠 주의 에버렛 시와 몰든 시에서 아이스크림을 팔기 시작했으며, 1977년에 개인 소장 아이스크림 트럭을 구매하고는 메사추세츠 주의 피보디 시에서 37년간 아이스크림을 팔았다고 한다 <세상에서 교통고깔을 가장 많이 수집한 사람> 영국의 데이비드 모건이 2000년도 기준으로 그때까지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교통고깔을 2~3개씩 총 137개를 수집하면서 등재됨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당근> 2017년에 영국의 크리스토퍼 퀄리가 키워낸 10.17kg짜리 당근 <세상에서 가장 많은 술집을 다닌 남자> 영국의 브루스 마스터스가 1960년부터 2014년까지 총 46,495군데의 펍(영국식 술집)을 돌아다니면서 등재됨 <세상에서 가장 많은 게임을 수집한 사람> 미국 텍사스의 안토니오 몬테이로가 2019년도 기준으로 20,139개의 비디오 게임을 수집하면서 등재됨 <세상에서 가장 많은 게임에 참여한 성우> 마리오의 성우 찰스 마티네이가 2019년 기준 총 104개의 게임에 목소리가 들어가면서 등재됨 <세상에서 가장 큰 게임&워치> 호주의 토마스 틸레이가 2017년에 세상에서 가장 크고 플레이 가능한 게임&워치 (닌텐도의 고전 게임기)를 만들면서 등재됨 넓이 1.93m, 길이 1.16m, 두께 0.14m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나무> 미국 플로리다주의 에버글레이드스와 캐리비안 해안가에 자생하는 만치닐 나무 수액의 독성이 강해서 피부에 닿기만 해도 심한 물집과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만진 손으로 눈을 비비면 실명 할 수도 있고, 피부가 젖은채로 나무 밑에 서있기만 해도 염증을 일으키거나, 태워버린대도 연기에 독성이 섞여서 호흡기 질환과 실명을 유발할 수 있어서 2011년에 등재됨 <세상에서 가장 크고 발사 가능한 총> 미국의 제임스 A. 디케인이 10.18m 길이의 실제 발사 가능한 라이플을 제작해서 2008년에 등재됨 <세상에서 가장 긴 자전거> 2024년에 네덜란드의 이반 스칼크 외 9명이 참여한 팀이 제작한 55.35m 길이의 자전거 <세상에서 가장 큰 출판만화책> 일본의 주식회사 코단샤가 2021년에 출판한 진격의 거인 만화책 표지 사이즈 1,010mm × 714mm 본문 사이즈 1,000mm × 703mm 무게 13.75kg <세상에서 가장 큰 플레잉 카드 구조물> 인도의 아르나브 다가가 2023년에 약 14만 3천개의 플레잉 카드로 만든 구조물 길이 12.21m 높이 3.47m 넓이 5.08m 이 외에도 많은데 다 못적겠음 - dc official App
작성자 : 미스터다브369고정닉
일본의 전근대 건축기술.jpg
한중일의 전통 건축은 서양인에게는 비슷해 보일 수 있으나, 한국인은 즉각 구별할 수 있는 뚜렷한 차이점이 존재한다.건축은 공학과 예술이 결합된 분야로서, 궁극적으로는 삶의 방식과 문화가 반영된 산물이다.사진은 세계 최대 목조건축물인 일본 도다이지(東大寺)의 다이부츠덴(대불전)이다.현재도 단일 목조건축물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하지만, 두 차례의 화재로 전소된 후 복원 과정에서 원래보다 규모가 축소되었다.중국의 자금성처럼 거대한 건축 복합체가 있으나, 단일 건축물로서 다이부츠덴을 능가하는 예는 드물다.일본 열도에서는 전근대에도 대형 목조건축물이 다수 건립되었는데,이는 고도의 목재 가공 기술과 구조 공학, 그리고 건축문화의 발전이 결합된 결과라 할 수 있다.우선 가구(架構)의 발전은 일본 목조건축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가구란 지붕을 지탱하는 구조물로, 건축물의 골격이라 할 수 있다.일본 건축은 8세기경 중국 등 대륙에서 가구 형식을 도입한 이후 약 1000년간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특히 대규모 건축물의 조영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구조적 기법들을 체계화하여, 견고하면서도 웅장한 목조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었다.대륙 건축의 기본 구조는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우는 방식이다.기둥 위에는 들보가 올려지며, 들보 위에 도리가 놓여 도리를 지점으로 삼아 서까래를 얹고 최종적으로 지붕이 형성된다.이 구조는 가로 방향(간구)으로는 확장이 용이하나, 깊이 방향(오행)으로 확장할 경우 들보와 지붕 사이의 거리가 크게 벌어져 지붕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그래서 대륙에서는 건물의 내부로 갈수록 기둥을 높게 세워서 지탱하는 수법을 채택하고 있었다.보조적으로 기둥 위에 싣는 들보를 이중으로 설계하여 들보와 지붕 사이의 거리를 커버치는방법도 쓰였지만 이 방법은 오행이 길어질수록 그만큼 거목을 동원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또한 기둥의 배치는 지붕의 형태에 따라서 오르락 내리락 해야 했으므로 공간의 배치 역시높은 기둥으로 둘러싸이는 내진칸과 낮은 기둥으로 둘러싸이는 외진칸으로 이분화되어버리는평면 구성으로 고정되어 버리는데 여기에 대륙 건축의 한계가 있는 것이다.대륙 건축의 전형적인 가구 형식이 일본에 전해진 것은 8세기경으로, 그 대표적인 사례가 759년에 건립된 일본 열도의 토쇼다이지(唐招提寺)이다.토쇼다이지의 콘도(금당)는 당시 대륙 건축의 기본 구조와 미학을 충실히 계승하여,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기둥을 세우며 들보와 도리, 서까래를 통한 전통적 목조건축 기법을 구현하고 있다.이 건축물은 단순한 구조적 모방을 넘어, 일본의 기후와 재료 특성에 맞춘 적절한 변형과 지역적 특색을 결합한 결과물로 평가된다. 이는 일본이 대륙의 건축 기술을 수용하는 동시에 독자적인 발전을 꾀한 중요한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따라서 토쇼다이지 콘도는 일본 목조건축 역사에서 대륙과의 문화적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자, 이후 일본 전통 건축 양식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건축적 이정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0세기경부터 일본 건축에서는 대륙 건축 양식과 차별화되는 변화가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다.대륙과 한반도에서는 처마를 길게 내기 위해 지붕을 곡선으로 휘게 할 때, 지붕면과 서까래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주로 흙으로 메워 단단하게 마감하였다. 반면 일본 열도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일부러 남겨두고 지붕을 이중으로 구성하는 독특한 방식을 도입했다.이 이중 지붕 구조는 단순한 미적 변화뿐 아니라 통풍과 방수, 경량화 등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장점을 제공하며, 일본 목조건축이 대륙 건축의 틀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방향으로 발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결국 이 작은 구조적 변화는 일본 건축이 환경적 특성과 문화적 요구를 반영하여, 보다 유연하고 지역에 적합한 건축양식을 정립하는 출발점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12세기에 이르러 일본 건축은 이중 지붕 구조를 완성하게 된다.기존 지붕과 서까래 사이의 간극을 크게 확장한 후, 그 위에 별도의 동자기둥(柱)을 세워 추가적인 지붕을 형성하는 혁신적인 구조가 고안되었다.이 이중 지붕 방식은 건축물의 무게 분산과 내구성 향상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의 쾌적한 환기와 습기 조절에도 효과적이었다.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러한 구조는 일본 전통 건축의 독창성과 기술적 발전을 상징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13세기에는 중국 송(宋)나라의 건축 양식이 일본에 도입되면서, 목재 기둥을 관통시켜 서로 연결하는 ‘누키(貫木)’라는 새로운 구조기법이 습득되었다.누키 기법은 개별 기둥이 독립적으로 하중을 지탱하던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기둥들을 상자형으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구조적 축부를 강화함으로써 수평력특히 태풍과 지진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힘에 대한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이로 인해 일본 목조건축은 단순한 수직 하중 지지체계에서 벗어나, 전체 골조가 통합된 구조체로 진화하였으며, 이 누키 시스템은 이후 700년 이상에 걸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일본 전통 건축의 내진 성능을 담당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였다.누키 구조의 도입으로 축부가 크게 강화되면서, 지붕 내부에 숨겨진 하네기(跳檜)의 기능적 이점이 극대화되었다.기존에는 하네기가 주로 기둥 위에 배치되었으나, 누키에 의해 축부가 견고해지면서 외벽면상의 어느 위치에든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하네기가 건물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관상의 제약 없이 다량 설치가 가능해졌으며, 실제로 14세기 이후 지붕 내부는 하네기로 빼곡히 채워지게 되었다.한편, 지붕 하중을 지탱하던 공포(肘木)와 서까래는 일본 건축에서는 역학적 역할이 약화되어 주로 장식적 요소로 변모하였다.하네기는 지렛대 원리를 활용하여 처마뿐 아니라 내측 지붕 하중도 견고해진 외벽 구조에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내부 기둥을 가늘고 적게 설계할 수 있게 하였다.무로마치 시대에 접어들면서 누키 구조가 지붕 내부까지 확대 도입되었다.이로 인해 기존에 동자기둥이 촘촘히 늘어서던 방식은 폐기되고, 마치 정글짐과 같은 견고한 지붕틀이 형성되어 지붕 자체가 독립적인 구조적 강도를 갖추게 되었다.지붕이 자체 내구력을 가지면서 무거울 필요가 사라졌고, 넓은 내부 공간을 지탱하기 위한 거대한 거목 사용도 불필요해졌다.또한, 하네기가 닿지 않는 지붕 내부 하중은 면 단위로 분산되어, 기둥 설치 위치의 제약이 극도로 완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공간 배치의 자유도는 크게 증가하였다.이처럼 일본 전역에서 대규모 내부 공간을 갖춘 목조건축물이 다수 건립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약 천년에 걸친 일본 건축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이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특히, 거대한 목재를 대규모로 동원하지 않고도 견고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가구(架構) 시스템의 혁신이 이를 가능하게 했다.반면, 중국을 비롯한 대륙 건축에서는 다포식(多包式)의 공포 양식 변천 등 외관적 변화는 있었으나, 기본적인 가구 구조에 있어서 일본과 같은 근본적이고 대대적인 변화는 찾아보기 어렵다.대륙에서는 여전히 장대한 목재 부재가 대규모 건축물의 구조적 전제조건이며, 이는 고대부터 크게 변화하지 않은 제약으로 작용해왔다.특히, 대규모 건축에 필요한 거목 확보에 있어 삼림 자원의 제한이 심각한 문제로 남아, 건축 기술의 근본적인 전환보다는 자원의 범위 내에서의 양식적 변형에 머무른 경향이 있다.- dc official App
작성자 : 네거티장애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