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샤이니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샤이니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호불호 갈리는 음식들 모음 ㅇㅇ
- 케데헌 보고 눈물 흘린 정국.. 넷플, 프로필 변경으로 화답 ㅇㅇ
- 나더러 밥 좀 사라는 남자친구 ㅇㅇ
- 한국 좋아해서 왕따당한 미국 여성.jpg ㅇㅇ
- 안규백 "北 정권은 우리 주적…現 정부 임기 내 전작권 전환" 물냉면비빔냉면
- “백수의 왕 싱르엠, 넌 아무것도 모른다…“ ㅇㅇ
- 패션업계가 감춰왔던 옷값의 비밀 ㅇㅇ
- 범행 후 CCTV에 '일베 인증'…미아동 흉기난동범 사형 구형 ㅇㅇ
- 카톡 친구 5천명이면 생기는 일 ㅇㅇ
- 알쏭달쏭 경제위기촌.....jpg ㅇㅇ
- 전세대출 원금 전부 집주인 DSR 에 포함시킨다 ㅇㅇ
- 인종차별주의자 만났을때 참교육하는법 알려주는 영국인 ㅇㅇ
- 싱글벙글 교촌치킨 1위 지점을 운영하던 박명수 ㅇㅇ
- 베트남에서 일어난 하노이 포토부스 폭행 사건 ㅇㅇ
- 요새 난리났다는 일론 머스크 중국 이적설.news ㅇㅇ
미국식 자본주의를 가장 빠르게 닮아가고있는 나라
그건 바로 "영국" 되시겠다. 1970년대까지만해도 공공재, 파업, 노조 등 노동자와 국가의 힘이 강했던 영국을 완전히 탈바꿈시킨 인물. 한국에서도 민영화와 신자유주의로 유명한 인물 "마거릿 대처" 총리 되시겠다. 대처 영국총리가 집권했던 1980년대 시절 미국 대통령은 로널드 레이건이였는데, 공교롭게도 레이건 역시 대처와 마찬가지로 민영화정책을 내세웠고, 노조와 규제를 깨부수고 기업에 혜택을 몰아주는 등 친기업, 친자본가 성향이었다. 사실상 미국과 영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경제가 이시기때부터 시작된것. 그래서 대처이후 현재 영국이 어떻게 변했는데? 영국 전기산업의 민영화 현재 영국 전역에 전기와 에너지를 공급하는 주체는 공기업이 아닌 민간기업들이며, 그중에서도 내셔널그리드가 크게 주도하고있다. 내셔널그리드는 현재 시가총액이 100조원에 달하는 거대기업이며 이 기업 하나가 잉글랜드 전력의 80%를 독점하고 있다. 영국 상하수도 산업의 민영화 영국 수도는 1989년부터 민영화되어 현재 20개정도 되는 민간기업들이 영국 전역의 물과 하수를 관리하고 있다. 한국전력이나 한국수자원공사와 같은 공공기업들이 전기와 수도를 관리하는 한국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 영국 통신산업의 민영화 1980년대 통신의 민영화이후 현재 영국은 국가차원에서 통신을 관리하는것이 아닌 보다폰, BT와 같은 민간대기업들이 독점하고 있다. 독일의 도이치텔레콤이나 프랑스의 오렌지 등은 전부 공공기업인데, 영국은 미국과 같은 민간영역으로 통신이 넘어가게된것. 참고로 보다폰은 연매출액이 거의 100조원에 달할정도로 거대한 통신사이기도 하다. 영국 석유, 난방산업의 민영화 역시 80년대 이후 난방산업도 민영화되어 영국은 현재 민간 석유기업들이 가정용 난방을 지배하고 있다. 수많은 기업이 있지만, 쉘과 BP가 사실상 영국을 양분하고있다. 흔히 알려진대로 쉘과 BP는 매출액 기준 둘다 300~500조원에 달할정도로 전세계 최대 기업들중 하나이며 과거 영국 제국주의의 앞잡이역할을 한것으로도 유명하다. 영국 항공산업, 공항들의 민영화 영국은 항공사와 공항들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영국항공, 버진 그룹 등 민간기업들이 지배하는 국가다. 게다가 영국 최대 공항이자 세계 최대 공항중 하나인 히드로 공항도 민간기업이 소유 및 운영중이다. 인천국제공항이 국가소유인 한국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영국 교통산업의 민영화 영국은 버스와 같은 교통산업도 민영화되었다. 퍼스트그룹, 스테이지코치와 같은 민간 대기업이 운영하는 구조. 요금 책정과 노선 지정, 운행 시간 등 실질적인 운영을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한국과 달리 영국과 미국은 지자체가 교통 운영에 간섭할수가 없다. 영국 우편산업의 민영화 우편또한 마찬가지다. 우정사업본부와 같은 정부가 직접 우편을 운영하는 한국과는 달리 영국은 로열메일 이라는 민간기업이 편지, 소포, EMS, 금융 등을 장악하고 있다. 이렇듯 영국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기, 상하수도, 통신, 난방, 항공, 교통, 우편 등 공공산업을 전부 민영화시켜 대기업으로 넘겼다. 그러나 뭐든지 부작용도 존재하는법. 복지를 줄이고 민간기업에 혜택을 몰아주는 신자유주의 정책이 반세기가까이 영국에서 이어진결과 현재 영국은 빈부격차면에서 OECD국가중 2위를 달성하는 불명예를 앉았다. 참고로 가장 빈부격차가 심각한 나라 1위는 "미국"이었다. 즉 신자유주의가 가장 강한 미국과 영국이 1,2위를 나란히 차지하고있는것을 보면 충분히 생각해볼문제다. 공교롭게도 2025년 세계 1인당국민소득을 보면 미국이 8만9천달러, 영국이 6만3천달러로 인구 5000만이상 국가중 각각 세계 1, 2위를 차지하고있다. 빈부격차가 가장 심한 두 나라임과 동시에 국민소득이 가장 높은 나라라는것이 아이러니...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개인적인 경주월드 레벨에 관한 생각-2
요즘 경주월드 레벨이 이러니 저러니 하는데 개인적으로 옛날부터 하고 싶었던 얘기를 좀 적어보자 함.보통 테마파크와 어뮤즈먼트 파크 이렇게 딱 이분법적으로 나누는데 난 개인적으로 세가지 분류로 나눠야 한다고 생각함.분류
기준
대표 사례
1분류 : 강력한 테마파크
자체 강력 IP + 테마 전면 적용
디즈니랜드, 유니버설 스튜디오
2분류 : 약한 테마파크
외부 IP 차용 / 자체 IP 존재하나 대중성 낮음 / 테마 약함
식스플래그(구. Cedar Fair 계열 포함), 에버랜드, 후지큐 하이랜드, 나가시마 스파랜드
3분류 : 완전한 어뮤즈먼트 파크
테마 없음, 놀이기구 중심, 대체적으로 기구별 과금형
뉴욕 Coney Island를 비롯한 수많은 Boardwalk 어뮤즈먼트, 국내에서는 월미도를 비롯한 관광지 놀이공원
첫 번째 분류는 자체적으로 강력한 IP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파크 내 테마에 전면적으로 적용하는 곳들이야.이때 IP는 단순히 테마파크 용도로만 쓰이는 게 아니라 각종 미디어에서 노출되어 인기를 얻은 것을 얘기해. 디즈니의 미키라던지, 아니면 유니버설의 쥬라기 공원이라던지 하는 것들.물론 유니버설은 외부 IP도 많이 차용하여 파크를 조성하지만, 일단 기본적으로 강력한 자사 IP도 가지고 있으면서 다른 IP를 가져오기 때문에 1분류에 들어가는 것이 맞다고 봐.워너랑 파라마운트는... 1분류와 2분류 사이에 있지 않을까 싶네. 원래는 강력한 IP들이지만 솔직히 최근에 너무 말아먹어서....두 번째 분류는 국내의 에버랜드, 롯데월드를 포함해서 후지큐나 나가시마, 그리고 미국의 식스플레그(합병 전의 Cedar Fair 계열 포함), United Parks and Resorts(씨월드, 부시가든), 유럽의 메이저 테마파크들이 해당된다고 봄.다들 후지큐나 나가시마가 테마가 아예 없는 줄 아는데 테마가 있음. 후지큐는 토마스와 친구들 IP 가져와서 쓰고 나가시마는 피터래빗 IP 가져와서 쓰는 중이야.식스플래그는 Cedar Fair 합병으로 따라온 Peanuts(스누피)와 함께 워너브라더스 루니툰과 DC코믹스 IP를 라이선스 받아서 사용 중이야.🔼 Cedar Point의 Camp Snoopy 테마구역 입구그런데 이런 IP들 자체가 자체 IP가 아니고 다 외부 IP를 가져오는 거지.🔼롯데월드 로티와 로리, 그리고 기타 캐릭터들🔼 에버랜드의 레니와 라라. 요즘은 바오패밀리에 밀려서 뒷전이지만, 어쨌든 명목상 마스코트는 얘네들임.그리고 자체 마스코트, IP가 있는 곳들이 있지만, 이걸 이용해서 굿즈까지는 만들어도 이 캐릭터들을 활용한 외부 미디어 제작물을 만들지는 않지.롯데월드의 로티, 로리만 봐도 그렇잖어? 같은 호텔롯데 쪽에서 좀 쓴 적은 있어도 외부에서 뭔가를 한 적은 찾아보기 힘들지.우리나라에서는 보통 1분류만 테마파크로 치고, 2/3분류를 묶어서 어뮤즈먼트라고 치는데 미국에서는 최근 1분류와 2분류를 합쳐서 그냥 테마파크라고 부르고, 3분류를 어뮤즈먼트라고 부름.왜냐하면 파라마운트나 워너브라더스 같은 경우는 원래는 IP가 강력했는데 지금은 거듭된 영화 흥행 실패로 많이 약해진 상태고, 또 IP라이선싱을 다른 곳에 많이 넘겨주면서 제대로 된 파크 운영이 북미권 내에서 불가능하거든.그래서 IP 수준과 관계 없이 그냥 테마가 있냐 없냐를 가지고 보고 있어.하지만 또 디즈니와 후지큐 하이랜드를 비교하기는 좀 애매하잖아? 그래서 같은 테마파크라고는 하지만 조금 다르게 보긴 하지.쨌든 그래서 경주월드는 테마가 있고, 자체적인 캐릭터도 있지만 강한 IP는 아니니까 '분류 2'의 테마파크에 들어야 한다고 본다.다만 디즈니와 유니버설과는 다르게 봐야 한다는 거지....---------------자 그럼 인제 여기서 또 글이 나왔던 식스플래그 계열과의 비교를 해야할텐데원래 구 식스플래그와구. Cedar Fair 계열이 합쳐져서신규 식스플래그가 형성이 되었지.근데 이 규모가 너무 거대해.미국, 캐나다, 멕시코에 27개의 테마파크(와 부설 워터파크), 그리고 18개의 독립 워터파크를 포함해서 총 45개의 프로퍼를 운영 중이야.기존 식스플래그 16개 테마파크, 시더 페어 11개 테마파크도 많은 수준이었는데 더 많아졌지.앞으로 2개의 파크가 문을 닫을 예정이지만(Six Flags America, California's Great America), 그래도 매우 거대한 편. 앞으로 사우디에 Six Flags Qiddiya가 오픈할 예정이기도 하고.그런데 우리가 보통 식스 플래그나 구 Cedar Fair 계열 하면 생각나는 파크들은X2, Superman Escape from Krypton 같은 걸로 유명한 Six Flags Magic Mountian이나(지금은 철거된) Kingda Ka, El Toro 등으로 유명한 Six Flags Great AdventureMillenium Force, Steel Vengence, Top Thrill 2로 유명한 Cedar PointBanshee, Beast, Orion 등으로 유명한 Kings IslandLeviathan, Yukon Striker 등으로 유명한 Canada's Wonderland이정도를 생각하는데 얘네들은 체인 내에서 1티어급 지점들임.파크가 27개나 되는데 1티어급만 있을 리는 없잖아?일단 구. 식스플래그 계열은 따로 파크 순위를 두지는 않기 때문에 구.시더페어 계열 파크들로 보자고티어
기준
대표 공원 (Cedar Fair 체인)
Tier 1 (최상급)
최고 수준의 코스터 라인업 + 방문객 밀도 높음 + 브랜드 중심 공원, 연간 300만명 이상 방문
Cedar Point, Knott’s Berry Farm, Canada’s Wonderland, Kings Island
Tier 2 (준수)
매우 견고한 어트랙션 구색 + 테마·운영도 좋음, 연간 100~300만명 방문
Kings Dominion, Carowinds, California's Great America
Tier 3 (보통 이하)
소규모/지역형 공원 + 코스터 적음 + 방문객 수 적음, 연간 100만명 이하 방문.
Dorney Park, Worlds of Fun, Valleyfair, Michigan’s Adventure
구. Cedar Fair 계열은 이렇게 세개의 티어로 파크들을 나누는데여기서 경주월드의 포지션은 Tier 3에서 상급이라고 봐.Tier2에 있는 파크들보다는 확실히 아래라고 봐야 하는데가장 높은 체인식 리프트힐을 가진 기가코스터, Fury 325가 있는 Carowinds가장 격렬한 기가코스터라고 평가받는 Pantherian(구. Intimidator 305)를 보유한 Kings Dominion최초의 RMC 랩터코스터인 Railblazer를 비롯해 충실한 코스터 라인업을 갖춘 California's Great America위의 파크들과 싸우면 당연히 지지그러나 Tier 3에 있는 파크들을 보면Steel Force라는 DH모건제 하이퍼코스터가 있고, 그 외에 각종 코스터 라인업이 충실하지만 상대적으로 투자가 부진한(2008년에 인타민 임펄스 하나 높고 16년이 지난 2024년에서야 소형 B&M 다이브 하나 넣음)Dorney Park & Wildwater Kingdom얘는 그래도 기존에 쌓아온 라인업이 있어서 경주월드보단 좀 낫다고 봐야 하려나?Renegade라는 GCI 우든코스터 하나 2007년에 들이고 그 이후로 투자 없는 ValleyFairMamba라는 DH모건제 하이퍼코스터 하나 있지만 그동안 투자 뜸하다가 2023년에 Zambezi Zinger라는 패밀리급 우든 코스터 하나 넣어준 Worlds of FunCedar Fair 내에서도 버려진 파크로 유명하고, 항상 폐장 대상 1순위로 예측되는 Michigan's Adventure.오래된 CCI 우든코스터인 Shivering Timbers 하나 말고는 별 가치 없이 평가받음.참고로 구.Cedar Fair 계열은 하위급 지점들이라도 좀 나은 편이고 구.식스플래그 하위급 지점들은 훨씬 심각하다는 걸 염두해 두길 바람.어쨌든 Cedar Fair의 Tier3급 지점들은 현재 코스터 라인업 자체만 보면 경주월드보다 살짝 나을 지도 몰라도 투자 상태라든지 방문객 수, 기타 운영을 보면 전체적으로 경주월드가 더 낫다고 봐야 한다고 생각함.---------------------그런데 입장료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싶음.지금 Tier3급 지점들도 최소 40$ ~ 60$의 입장료를 받고 있어. 40$ 이 최대 할인받은(온라인 사전 구입 + 비수기) 가격임.40$라고 쳐도 56,000원으로 경주월드 정가보다 비싸지?반면 경주월드는 홈페이지에서 예약하면 35,400원제휴 혜택 받으면 26,000원으로도 이용 가능함.미국 파크들의 반값 이하임그리고 미국 파크들은 들어갈 때 시큐리티 체크해서 음식물 다 압수시킴.이 정책에서 제일 엄격한게 구.Cedar Fair랑 식스플래그 계열인데보통 United Parks(Seaworld)나 디즈니, 유니버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아예 식사류를 바리바리 싸들고 가지 않는 이상 물이랑 간단한 음료, 간식 정도는 OK 해주거든?근데 Cedar Fair랑 식스플래그는 물도 압수함. 딱 알레르기 환자식만 유아식만 허용해줌.(실제로는 물은 안잡는다고는 하는데 음료는 얄짤 없음)그래서 안에서 안 사먹을 수가 없음.근데 경주월드를 비롯한 국내 파크들은 외부음식 반입에 제한 없지?실질 요금은 더 벌어지는 거임.---------------결론짓자면- 경주월드는 식스플래그 지점 중에서 중-하위권 정도는 된다.- 근데 요금이 저렴해서 가성비로는 정말 좋다.- 특히 식음이나 기타 패스트레인까지 생각하면 더더욱 저렴하다.임.
작성자 : Dave.h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