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조롱 대상 된 북 전술핵잠수함! 그렇다고 우리에게 위협이 안될까?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9.19 11:32:51
조회 1924 추천 5 댓글 13

지난 9월6일 함경북도 신포조선소에서 진수된 북한 신형 전술핵잠수함 '김군옥함'.  대형 발사관 4기, 소형 발사관 6기 등 총 10기의 수직발사관을 장착하고 있다. /노동신문 뉴스1

지난 9월6일 함경북도 신포조선소에서 진수된 북한 신형 전술핵잠수함 '김군옥함'. 대형 발사관 4기, 소형 발사관 6기 등 총 10기의 수직발사관을 장착하고 있다. /노동신문 뉴스1


북한은 정권수립75주년(9월9일)을 하루 앞둔 지난 8일 첫 전술핵공격잠수함을 건조했다고 전격 발표한 뒤 김정은이 주관한 진수식 모습을 공개했는데요, 함명은 ‘김군옥영웅함’(제841호)입니다. 함명인 김군옥은 6·25전쟁 초기 주문진해전 때의 북한 해군 지휘관인데요, 북한은 당시 김군옥이 어뢰정으로 미 7함대 중순양함을 격침하는데 공을 세웠다는 허위 주장을 내세우며 그를 전쟁 영웅으로 찬양해 왔습니다.


◇ 합참 “북 전술핵잠수함 정상 운용 모습 아냐”

김군옥함은 북한이 20여척을 보유하고 있는 로미오급을 개량한 약 3000t급의 잠수함으로 추정되는데요, 구형 로미오급 잠수함에 무리하게 수직발사관(VLS)을 10기나 집어넣다보니 매우 기형적인 형태가 됐고, 이 때문에 성능에 한계가 많을 것이라는 국내외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것입니다. 3000t급인 우리 도산안창호함은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탑재용 VLS 6기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합참은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모습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며 “외형 분석 결과 미사일을 탑재하기 위해 함교 등 일부 외형과 크기를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9월6일 신포조선소에서 진수중인 북 신형 전술핵잠수함. 잠수함 폭(직경)에 비해 길이가 비정상적으로 길어 수중 작전 능력이 불안정하고 크게 떨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중앙통신

지난 9월6일 신포조선소에서 진수중인 북 신형 전술핵잠수함. 잠수함 폭(직경)에 비해 길이가 비정상적으로 길어 수중 작전 능력이 불안정하고 크게 떨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중앙통신


정경운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연구위원 분석에 따르면 북 전술핵잠수함은 미사일 탑재를 위해 기존 로미오급 잠수함(76.6m)보다 9m 정도 선체를 늘려 길이가 85m 정도로 추정이 되는데요, 직경(폭)은 그대로 여서 장폭비(길이 대 폭 비율)가 정상치(9~10대 1)보다 큰 12.7대 1에 달한다고 합니다. 장폭비가 정상치보다 크면 수중 기동성과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지요.

또 추진체계와 배터리는 구형 로미오급과 같은데 미사일을 탑재할 수직발사관 구역도 일반적인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탑재 잠수함에 비해 기형적으로 큽니다. 때문에 ‘수중 경운기’라 불릴 정도로 수중 소음이 커지고 기동성도 제한되며 충전을 위해 더 자주 부상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SLBM 수중발사시 북 잠수함이 그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는 평가도 하고 있습니다.

◇ 김군옥함, 미니 SLBM, 전략순항미사일 탑재할 듯

김군옥함은 대형 수직발사관 4기, 소형 수직발사관 6기 등 총 10기의 수직발사관을 장착하고 있는데요, 그러면 어떤 미사일들을 탑재할 수 있을까요? 일각에선 북극성 3~5형 대형 SLBM도 대형 발사관에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지만 상당수 국내외 전문가들은 발사관 직경이 그 정도로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정 연구위원은 “대형 발사관 직경은 1.4m 이내, 소형 발사관은 70㎝ 가량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럴 경우 북극성 3~5형 SLBM 탑재는 어렵고, KN-23 미사일을 SLBM으로 개량한 미니 SLBM(직경 90여㎝)과 전략순항미사일(직경 50~60㎝) 탑재가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즉 대형 발사관에 미니 SLBM 4기를, 소형 발사관에 전략순항미사일 6기를 탑재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북극성 3~5형 SLBM 직경은 1.5~2m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미니 SLBM은 북한이 지난 2021년 수중 시험발사에 성공한 미사일로, 최대 사거리는 600㎞ 정도로 추정됩니다. 즉 남한과 일부 주일미군기지를 겨냥한 무기입니다. 전략순항미사일도 북한이 잠수함 수중 시험발사에 이미 성공했는데요, 최대 사거리는 1500~2000㎞로 남한과 오키나와를 포함한 주일미군기지를 겨냥하고 있습니다.

◇ “김군옥함은 남한 겨냥한 무기”

전문가들은 김군옥함의 성능과 탑재 미사일 사거리 등을 감안하면 결국 이 잠수함은 주로 우리(남한)와 주일미군, 특히 우리를 겨냥한 무기라고 보고 있습니다. 북한이 전략핵잠수함이 아니라 전술핵잠수함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도 음미해볼 대목입니다. 문제는 비록 김군옥함이 현재로선 성능이 크게 떨어지더라도 북 해안 가까이 연안 물속에선 작전할 수 있고 SLBM이나 전략순항미사일 수중발사 능력을 입증한다면 우리에겐 실질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항해중인 해군의 3000t급 잠수함 '도산안창호함'.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탑재 수직발사관 6기를 장착하고 있다. /뉴스1

항해중인 해군의 3000t급 잠수함 '도산안창호함'.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탑재 수직발사관 6기를 장착하고 있다. /뉴스1


그럴 경우 우리 P-3C 등 대잠수함 초계기 전력은 북 해안 가까이까지 접근하기 어려워 결국 핵추진 잠수함 등 장시간 수중에서 매복 작전할 수 있는 대응수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북한은 핵추진 잠수함 보유를 여러 차례 공언했고 김정은이 지난 17일까지 5박6일간 러시아를 방문,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등을 통해 첨단 군사기술을 제공받기로 한 터여서 핵잠수함 보유도 시간문제인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핵추진 잠수함 확보 등 서둘러야

북 김군옥함이 현재로선 많은 한계가 있다지만 북한이 머지 않은 시일내 이를 극복하고 우리에게 실존적 위협으로 부상할 수 있는 만큼 평가절하만 하지 말고 경각심을 갖고 핵추진 잠수함 확보와 대잠수함 작전능력 등 우리 역량 강화를 서둘러야 할 때입니다.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912 <BEMIL 현장취재> 육군 수도기계화사단, 한미연합 통합화력훈련 현장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851 4
911 이라크 고위 장성, 국산헬기 ‘수리온’ 탑승하러 방한…첫 수출 기대감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4 600 2
910 KAI, FA-50 단좌형 개발에 355억 투입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3285 10
909 <BEMIL 현장취재> 12.7mm 대물저격총 위력 시범 최초공개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1520 7
908 오늘부터 한미연습… 美전략폭격기·핵추진잠수함 전개 가능성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4 1319 7
907 금전적 보상만으론 어렵다… ROTC 지원 급감 해결책은?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675 4
906 “한층만 맘대로 내려가도 탈영”... ‘도심 빌딩 방공 GOP’ 가보니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6 1279 3
905 K-함정 호주에 팔릴까? 호주 국방부, ‘대구급 호위함’ 장바구니 목록에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2226 8
904 우크라전의 교훈...美, 2조6000억원 헬기사업 전격 취소한 까닭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3498 17
903 4대 세습 포기? 김정은의 전면전 도발이 어려운 진짜 이유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2983 10
901 美항모 11척 중 5척, 총선 전후 한반도 일대 모인다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2307 16
900 주한미군, 전차 없는 스트라이커 여단 순환 배치… 독자 지상전 서둘러야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2252 7
899 사우디에 천궁2 4조2500억 수출 계약! “수출 총규모 10조 육박”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021 14
898 “미사일 아닙니다, 자주포입니다”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797 15
897 北, 이번엔 신형 잠수함서 순항미사일 쏜 듯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1987 3
896 “미국도 못 지켜준다”… 홍해 바닷길 방어, 양만춘함으로 버거운 까닭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2461 3
895 마하 14, 1000㎞ 날아갔다… 北이 쏜 극초음속 미사일의 실체 [3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2737 6
894 이재명 ‘우리 북한’ 발언에 서해용사들 “전우 잃은 가슴에 비수꽂아”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2 1022 4
893 핵추진잠수함·핵무장 허용? 트럼프 재집권을 전화위복 만들 ‘비법’ [2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2568 12
892 초저공으로 날아가 러 상륙함 ‘쾅’… 우크라의 족집게 타격무기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2060 4
891 한국엔 3일 연속 포격 도발 [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8 1707 1
890 ‘쏠까요 말까요’ 묻는 대신… 軍, 도발 원점 바로 때린다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3 1464 10
889 北을 ‘적’이라 표현했다고 호통 쳤던 文정부 국방차관 [4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3354 55
888 악천후에도 김정은 벤츠 추적한다… 우리 정찰위성이 北 압도하는 비결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2509 8
887 <단독 인터뷰> 김관진 “전투형 강군의 핵심은 강인한 정신력과 훈련” [3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6 2259 27
886 날아오는 미사일·로켓 다 막는다… 이스라엘 전차 살린 무기의 정체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1 2041 6
885 김정은 ‘가성비 갑 무기’ EMP… 한국 3대 아킬레스건 노린다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0 2216 6
884 한미 ‘핵전쟁’ 대응 훈련 합의… ‘핵 우산’ 넘어 핵 사용 전제로 훈련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8 1559 10
883 중국 북해함대 남하 견제? 중국이 대만 침공 때 우리 군엔 무슨 일이?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5 1123 3
882 SAR 40기 더 쏘고 EMP탄 개발... 국방부, 국방 중기계획 발표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2115 4
881 러 병사 얼굴까지 확인한 뒤 쾅...우크라, 드론 月1만대 쏟아 붓는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761 2
880 GP 소위 연봉 4년 뒤 5000만원, 2027년까지 최대 30% 인상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1 1409 4
879 “북한의 10배 이상 성능” 군 정찰위성 1호 미국서 발사 성공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6 1409 10
878 영화 ‘서울의 봄’ 속 군사반란 주역 하나회의 정체는?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5 1870 4
877 한국 첫 정찰위성 발사… 북한 위성 해상도의 10배, 30㎝ 물체도 식별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4 1349 4
876 실전서 위력 커지고 있는 인지전, 이스라엘군에 가짜뉴스 기동타격대 떴다 [2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5573 22
875 두바이서 고난도 비행 선보인 수리온...K-방산, 중동서 제2 대박 날까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2404 4
874 북 11개 GP 다 복원, 해안포 개방… 합참 “당연히 상응 조치 하겠다 [1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2837 7
873 안보 정상화 시동... 대북 감시활동 어떻게 달라지나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966 2
872 잘 날고 있는 KF-21을 국책연구기관이 저격? 도대체 왜 이런 일이…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2500 8
871 우크라軍 전술 짜주고, 하마스 땅굴 탐지… 전쟁 뒤흔드는 ‘절대 반지’?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7 1284 2
870 북한 미사일 발사 정보, 미국서 실시간 제공받는다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1184 4
869 고도 100㎞에서 적 미사일 ‘쾅’...우주전쟁 문 연 이스라엘판 사드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805 3
868 하마스 땅굴의 ‘천적’…이스라엘 특수부대·괴물 불도저의 정체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6 1309 5
867 수조원 첨단 통신망 있는데… 비상시 軍간부들 휴대폰 쓰는 이유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2 1535 2
866 미사일 내열재 ‘박스갈이’ 논란과 전략소재의 국산화 과제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1499 4
865 이스라엘·하마스 지상전보다 치열한 심리전, AI·소셜미디어가 승패 가른다 [1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5 1050 6
864 “중력과 상식 깼다” 조종사들도 놀란 F-22 랩터 비행의 비밀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4 2556 13
863 한미일, 사상 첫 연합 공중 훈련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3 1744 21
862 한국형 아이언 돔의 ‘불편한 진실’과 방위사업청장의 이례적 ‘고백’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0 835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