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중세 시뮬 매너 로드, 뛰어난 고증만큼 아쉬움 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05 18:46:19
조회 725 추천 0 댓글 4
매너 로드 메인 화면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매너 로드 메인 화면 (사진: 게임메카 촬영)

[게임메카=이우민 기자] 도시 건설 시뮬레이션이 인기 있는 이유는 아무것도 없는 지역을 개척해나가고, 자신만의 마을을 발전시키는 재미에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는 크래프팅 생존 게임과 유사하지만, 단순히 건물을 세우는 것에서 한 단계 나아가 사회, 경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매력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그만큼 두터운 팬층을 보유하고 있는 도시 건설 시뮬레이션 게임 중에서도, 얼마 전 출시된 매너 로드는 많은 팬들의 눈길을 끌었다. 그도 그럴 것이 1인 개발로 만들어졌을 뿐 아니라, 중세 유럽 느낌을 잘 살린 건축 양식과 짜임새 있는 체계 시스템으로 사전 리뷰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매너 로드는 많은 기대감을 받으며 스팀 찜 순위 1위를 달성하였으며, 출시 후에도 5월 3일 기준 스팀 유저 평가 ‘매우 긍정적(88%)’을 기록 중이다. 직접 게임을 체험해본 결과, 사실성을 앞세운 도시 건설 시스템은 1인 개발임에도 결코 다른 게임에 뒤지지 않는 짜임새를 보였다. 다만 콘텐츠 부분이나 튜토리얼에 대해서는 아쉬운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실성을 살린 도시 건설은 충분히 매력적이다

게임을 시작하려면, 가장 먼저 시나리오와 난이도를 선택해야 한다. 시나리오에 따라 전투 없는 평화로운 세계에서 도시 건설과 교역에만 집중할 것인지, 혹은 전투 중심으로 영토를 정복할 지 를 고를 수 있다. 전투 빈도 뿐 아니라 시작 계절, 적 AI 난이도 등 상당히 세세한 부분까지 조절할 수 있어, 각자 취향에 맞는 세계를 생성할 수 있다.

생각보다 세세한 부분까지 설정할 수 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생각보다 세세한 부분까지 설정할 수 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그렇게 만들어진 세계에 첫 진입하면, 허허벌판에 텐트 야영지 1개와 주민 몇 명이 주어진다. 여기서부터 주변 자원을 채집하고, 건물을 지어가며 마을을 키워나가면 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른 건설 시뮬레이션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이 과정에서 사실성을 살린 매너로드만의 강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현실적인 식량 채집이 눈에 띄었다. 매너 로드의 식량 수급 방식은 교역을 제외하면 사냥, 열매 채집, 농사로 나뉜다. 다만 사냥은 과도하게 하면 주변 동물이 멸종하고, 겨울이 되면 식물이 자라기 어려워져 농사와 열매 채집을 할 수 없다. 아울러 농사를 할 때도 농지를 태우거나 윤작 등으로 토지 비옥도를 관리해야 한다. 이렇듯 사실성을 살린 요소를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단순한 자원 채집도 플레이어에게 여러 고민을 하도록 유도한다.

시작 후 보이는 건 야영지와 주민 몇 명뿐이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시작 후 보이는 건 야영지와 주민 몇 명뿐이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주변 자원이 많은 편은 아니기에, 채집도 신중한 고민을 거쳐 진행해야 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주변 자원이 많은 편은 아니기에, 채집도 신중한 고민을 거쳐 진행해야 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세밀한 구현된 농사 시스템이 돋보였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세밀한 구현된 농사 시스템이 돋보였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이에 더해 건물도 인원을 최소 1명씩 배치해야 기능이 작동하며, 플레이어가 직접 주민을 지정해야 한다. 실제로 플레이해보면 초반에는 건물 수에 비해 주민이 상당히 부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때문에 건설을 위해 목재 위주로 자원을 모을지, 혹은 겨울을 대비해 연료와 식량을 비축해둘지 등 전체적인 상황을 고려한 효율적인 인원 배치가 필요하다. 단순히 건물만 짓고 끝내는 게 아니라, 건설 요소에서도 전략적인 재미를 더한 느낌이었다.

전략적인 전투로 영향력을 쌓고 영토를 확장하자

매너 로드의 전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주기적으로 출현하는 도적단과의 소규모 전투, 그리고 다른 지역의 영주와 벌이는 대규모 전투다. 전투에서 승리할 경우 영향력이라는 스테이터스가 상승하며, 이를 사용하면 인근 지역을 점령할 수 있는 구조다. 때문에 게임은 도적단을 처리하며 영향력을 올린 뒤, 영토를 확장해나가며 다른 영주들과 전쟁을 벌이는 흐름으로 진행된다.

전체 세력지도는 '시드마이어의 문명'과 비슷하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전체 세력지도는 '시드마이어의 문명'을 연상케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전투를 위한 군대 편성 부분도 장비 제작부터 병사 모집 등 전반적인 과정이 구현됐다. 궁병, 창병, 민병대 등 원하는 병과를 선택하고, 이에 맞는 창, 활, 방패 등 필수 장비를 생산하면 자동으로 모병이 완료된다. 여기에 갑옷과 투구 등 방어구를 생산해 전력을 보강할 수도 있다.

보병, 창병, 궁병 등 다양한 병과가 존재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보병, 창병, 궁병 등 다양한 병과가 존재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전력이 부족한 것 같다면 돈을 지불해 용병을 고용할 수도 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전력이 부족한 것 같다면 돈을 지불해 용병단을 고용할 수도 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이렇게 만든 군대를 적 부대 쪽으로 이동시키면 전투가 시작된다. 전투는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진행되며, 플레이어가 부대 단위로 위치 고수, 후퇴, 자율 사격 등 행동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다. 특별히 화려한 액션이 있는 것도 아니고, 전투 모습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난장판에 가깝다. 다만 오히려 그 점이 전투의 사실성을 더한다. 사실 중세 시대 농민병을 대충 징집해 전투를 벌이다 보면 완벽한 대열을 지키기보다는 수십 명이 뒤섞이며 혼란스러운 광경이 펼쳐지기 마련인데, 매너 로드의 전투는 그 부분을 충실히 구현하며 현실 고증을 살렸다.

전투가 난잡하다고 해서, 전략성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여러 행동 명령과 지형을 이용하면 다양한 전략 구현이 가능했다. 예를 들면 궁병을 매복시킨 후 보병으로 적을 유인해 기습 공격을 가하거나, 학익진 진형으로 상대를 에워싸 적보다 유리한 위치에서 전투를 진행하는 등 전략을 활용해 큰 전략차를 뒤집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었다.


🔼 🔼 전투는 난잡하지만, 오히려 그 점이 사실성을 더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전투는 난잡하지만, 오히려 그 점이 사실성을 더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진입 장벽과 콘텐츠 부족 등, 개선할 점도 많다

매너 로드는 훌륭한 게임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아쉬운 점도 많은 게임이었다. 특히 콘텐츠 볼륨이 부족하며, 튜토리얼이 불친절해 게임에 적응하기까지의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우선 도시 레벨이 오를 때마다 찍을 수 있는 특성의 종류가 부족하다. 도시 건설 시뮬레이션에서 특성은 발전 방향을 천차만별로 바꾸는 중요한 요소인데, 현재 매너 로드에 구현된 특성은 대략 15개 정도로 전체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다른 특성은 뭐가 있지?’라는 두근거림에 마우스를 올려보면 ‘개발 중입니다’라는 문구만 출력될 뿐이었다. 그러다보니 결국 도시를 키워나가는 방향이 단순해지기 쉬웠다.

현재 구현된 특성은 전체의 절반 정도 뿐이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현재 구현된 특성은 전체의 절반 정도 뿐이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이에 더해 튜토리얼도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 튜토리얼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겉핥기식 설명뿐이었다. 기자의 경우 전투를 위해 병사를 모으려 했으나, 이들에게 줄 장비를 어떻게 만드는 지 몰라 한참을 헤맸다. 제작 방법에 대한 설명도 거의 없다시피하여 결국 인터넷의 힘을 빌리거나 수많은 건물들을 일일이 찾아보는 수 밖에 없었다. 그 외에도 국고 시스템, 거주 지역 개발 방법 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진행이 막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생겼다. 이 때문에 본격적으로 게임을 플레이하기도 전에 지쳐버리는 경우도 꽤 있었다.

게임 내 준비된 도움말. 칸에 비해 설명이 너무 빈약하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게임 내 준비된 도움말. 칸에 비해 설명이 너무 빈약하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종합적으로 아직 3만 9,900원이라는 값어치를 하는 게임은 아닌 것 같다는 결론이다. 게임성만 보장된다면 그 외 다른 불편함은 감수할 수 있는 유저들에게는 추천할만 하나, 구매 가격만큼의 콘텐츠 분량을 원하는 유저에게는 불호로 느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또한 불친절한 튜토리얼로 게임에 적응하기 힘들다는 것 역시 감점 요소였다.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콘텐츠 추가와 튜토리얼 개선이 주요 관건으로 떠오른다. 진입 장벽만 넘으면 완성도 높은 게임성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를 증명하듯 아직까지 일 최고 동시접속자 9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그만큼 유저들을 계속 붙잡을 수 있는 발빠른 업데이트로 이러한 흐름을 이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3226 킹콩소프트 ‘SNK올스타파이트’ 20일 정식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151 0
13225 넷마블 나혼렙, 더블 레벨업으로 확 커진 스케일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1210 0
13224 닌자가 주인공,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 발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781 0
13223 소니, 스팀-PSN 연동 철회 후 ‘178개국’ 구매 차단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917 0
13222 [주간스팀신작] V 라이징·하데스 2 포함, 11선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828 0
13221 [오늘의 스팀] V 라이징, 헬다이버즈 2 동접 제쳤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428 0
13220 바하 1편 느낌 공포게임, 크로우 컨트리 호평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221 0
13219 게임도 레벨업, 넷마블 나혼렙 구글 매출 1위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575 0
13218 [롤짤] 젠지가 위기일 때 나타나는 수호신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17155 0
13217 MSI 결승 직행한 젠지와 부활 노리는 T1 [12]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3133 2
13216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구글 매출 2위 등극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9453 0
13215 번지 고전 FPS '마라톤 클래식' 스팀 무료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806 0
13214 MS에 항의, 하이파이 러쉬 스팀 응원 리뷰 러쉬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337 0
13213 나쁜짓 총집편, 범죄 시뮬레이터 데모 공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541 0
13212 [인디言] 다마고치에 타이쿤 더한 ‘차깨비 찻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591 0
13211 고전에서 V 라이징까지, 뱀파이어 게임 변천사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029 0
13210 음악 나오는 105cm 마스터 소드, 젤다 굿즈 예판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770 0
13209 EA CEO "배틀필드 차기작은 엄청날 것"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002 0
13208 [오늘의 스팀] 메트로배니아 애니멀 웰 '압긍'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314 0
13207 [이구동성] Xbox 선장의 가혹한 처분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514 0
13206 그라나도 에스파다 "버그·폭언 논란 직원 조사 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863 0
13205 다회차 추천, 스팀 '무한 리플레이' 세일 열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630 0
13204 와우·콜옵, 미국서 320억 규모 특허 침해 휘말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881 0
13203 그라비티, 1분기 매출·영업익 모두 크게 감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70 0
13202 P의 위용, 네오위즈 1분기 영업익 1,085% 증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360 0
13201 긴축재정 들어간 컴투스, 흑자전환 성공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51 0
13200 고양이 뷰 오픈월드, ‘리틀키티, 빅시티’ 정식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62 0
13199 엔씨, 사내 리뷰 시스템 개편해 더 많은 신작 낸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500 0
13198 FC 모바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행사 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17 0
13197 원피스 등, 넷플릭스 대표작 로블록스에 모였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67 0
13196 신작 성과, 컴투스홀딩스 1분기 매출 25.9% ↑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19 0
13195 엔씨소프트, 직원 수 90% 수준으로 감축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528 0
13194 명중률 상승, 세나 2 '불굴의 복수자 카일' 등장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55 0
13193 젠지와 T1, VCT 퍼시픽 결승 진출 두고 맞대결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92 0
13192 펄어비스 1분기 매출 854억, 전년 대비 0.5% ↓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27 0
13191 붉은사막, 올해 게임스컴서 시연 버전 선보인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697 0
13190 엔씨, 1분기 영업익 전년 동기대비 68% 감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74 0
13189 스타시드에 특수속성 프록시안 '에라디카' 등장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426 0
13188 넷마블 나혼렙, 출시 첫 날 글로벌 매출 140억 원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3213 0
13187 배그 모바일 국내대회 'PMPS 시즌 1 파이널' 개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84 0
13186 아스달·나혼렙 이어, 넷마블 레이븐2 29일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68 0
13185 차기 확장팩으로, 용군단 '검은 심장' 열렸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61 0
13184 넷이즈 MMO '원스 휴먼' 사전예약 1,200만 참여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82 0
13183 AK-47 포함, 서든어택 AK 7종 이동속도 증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669 0
13182 넷마블 나혼렙, 27개국 애플 매출 TOP10 진입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44 0
13181 SD 건담 참전! '건담 브레이커 4' 오는 8월 발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12 0
13180 K리그 8개 구단, FC 온라인으로 한판승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58 0
13179 넷마블 '마블 퓨처파이트' 티어-4 센트리 등장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06 0
13178 [오늘의 스팀] 정식 출시된 V 라이징, 호평 이어져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095 0
13177 폴고슴도치즈? 소닉 파티게임 ‘소닉 럼블’ 발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62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