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지역의사제·공공의대 없인 의대정원 늘려도 '밑빠진 독 물붓기'" CBS

ㅇㅇ(211.202) 2024.01.19 10:39:20
조회 119 추천 0 댓글 0

"지역의사제·공공의대 없인 의대정원 늘려도 '밑빠진 독 물붓기'"

핵심요약

보건의료노조 '5대 패키지정책' 제안…"의협, 입법 반대 명분 없어"
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는 "野, 지역의료법안 철회하라"…李이송 거듭 비판
정부 2025년도 大入 '의대증원 발표' 임박…최소 1천~2천명 이상 확대 유력

연합뉴스연합뉴스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규모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지역의사제 도입·공공의대 설립 없는 의대정원 확대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고 밝혔다.
 
2025학년도 대학입시 이후 늘어날 의사들이 인프라 붕괴위기에 처한 지역·필수의료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패키지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보건의료노조는 15일 입장을 내고 "정부가 발표할 정책 패키지에는 필수의료 수가 인상, 의료사고 부담 완화, 전공의 근무여건 개선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대한의사협회(의협)이 보건복지부에 요구해 온 내용들"이라며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를 살리는 패키지정책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구체적으로 △지역의사제 도입 △공공의대 설립 △필수의료 운영체계 개선·지원 △병상 과잉공급과 무분별한 개원 규제 △실손보험과 비급여진료 규제 등 5대 정책을 대안으로 제안했다.
 
지역의사제는 의료인력의 '수도권 쏠림'을 완화할 수 있도록 의대정원 일부를 선발 시부터 별도로 뽑아 의료취약지에서 10년간 의무적으로 복무하게 하는 제도다. 복무의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학부 때 지급한 장학금은 반납해야 하며 의사 면허도 취소된다.
 
이와 함께 시민사회계가 설립을 강력하게 주장해온 공공의대도 수업료·기숙사비 등 학업에 필요한 경비를 대학 측이 지원하되 의사 면허를 취득하면 정부가 정한 의료기관에서 10년간 종사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2가지 법안(지역의사 양성을 위한 법률안·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 운영에 관한 법안)은 지난해 12월 20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한 상태다.
 
보건노조는 "지역의료에 종사할 의사를 안정적으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지역의사 선발전형을 통해 지역의료를 책임질 의사를 선발하고 졸업 후 지역에서 일정기간 의무복무하도록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을 반드시 수반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0순위 과제라고 주장했다. 지방 환자들이 수도권 '원정 진료'를 가지 않고 거주지역에서 1차 진료부터 최종 치료까지 가능한 지역완결적 의료체계를 구축하려면 필수적인 장치라는 것이다.
 
노조는 "의협은 수가 인상을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내세우면서 지역의사제 도입을 반대하고 있지만 지역의료에 종사할 의사 부족은 수가 인상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행위별 수가제를 기반으로 가산율을 올려주는 공공정책수가는 인구가 적어 진료량을 늘리기 어려운 지방에서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지난해 공공의료기관 200여 곳에서 충족이 미달된 정원만 2400명이 넘는다며 "공공병원이 의사를 구하지 못해 필수진료과가 문을 닫고 고액의 연봉을 제시해도 의사를 구하지 못하는 공공의료 공백 발생 현실을 개선하려면" 국가가 책임지고 종사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제도들이 헌법상 직업 선택의 자유와 의사 이동권을 제한한다는 의협의 주장에 대해서는 "국회입법조사처의 의견처럼 지역·공공의료 의무복무제는 지역 간 의료인력 불균형 해소와 필수의료 공급이라는 정당한 입법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국가의 정책수단"이라며 "위헌 소지는 1%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전체 의사 수가 적은 게 아니라 필수의료 쪽 의사가 부족한 것이 문제'라고 보는 의협이 이 제도들을 반대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이른바 '피·안·성(피부과·안과·성형외과)'에는 의사가 몰리고 생명과 직결된 필수과는 인력난에 시달리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필수의료 운영체계 개선·지원책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필수진료과의 전공의 정원 배정을 확대하고 전공의 수련은 국가가 지원하는 한편, 해당 과들이 정상 운영되기 위한 적정인력 기준 마련 및 적정 보상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효과 없는 '수가 퍼주기'가 되지 않으려면 중증도, 위험도, 긴급성, 필요도와 시간·노력·비용 투여도, 서비스 질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고도 짚었다.
 
대형병원 분원 등 '병상 과잉공급'과 무분별한 개원도 규제가 필요하다고 봤다. 노조는 "더 이상 병상공급을 민간시장에 내맡겨놓지 말고, 신규 의료기관 개설·증설을 억제해 공급을 조절하는 병상총량제와 지역별로 진료과목별 동네의 원수를 제한하는 '개원쿼터제'를 강력하게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입자가 3500만에 달하는 실손의료보험과 비급여진료도 필수·지역의료를 무너뜨리는 주범으로 지목했다. 실손보험 규제와 더불어 과잉진료를 유발하는 행위별 수가제 등에 대한 전면적 제도 개선도 요구했다.
 
보건노조는 "의협의 민원사항 해결에만 급급한 채 필수·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한 근본대책을 빼놓으면 안 될 것"이라며 5대 패키지정책 추진을 촉구했다.
 
반면, 전국광역시·도 의사회장 협의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흉기 피습 이후 부산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전원해 치료를 받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헬기이송을 거듭 비판하며 "민주당은 지역·응급의료 관련 법안을 당장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시·도의사회장협의회는 "이 대표가 조속히 회복해 국민을 위한 의정활동을 계속해 주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면서도 "최근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강행한 지역의사제·공공의대 설립 법안은 세간의 말처럼 한낱 표심팔이용이란 말인가. 아니면 지역·응급의료체계를 믿지 못하겠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의료정책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정치적 유·불리가 아닌 오직 국민 생명과 건강을 최고 가치로 두고 추진해야 한다"며 "작금의 민주당의 행태는 지역·응급의료정책에 관여할 자격이 없다"고 비난했다.
 
한편, 정부는 최소 1천~2천 명 증원을 목표로 의대정원 확대 발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압도적인 찬성 여론 등을 감안할 때 최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주장한 '350명 증원'은 턱없이 모자라다는 입장이다.
 
정경실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지난 10일 제24차 의료현안협의체에서 "필수·지역의료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인력 확대는 많은 국민의 숙원 정책"이라며 "정부는 국민 목소리에 응답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지방직9급 합격예측 사전예약 네이버페이 증정 운영자 24/05/31 - -
262535 뇌물현이 대가리로 축국(축구[soccer] 아님)차고 싶다 개좆씹남국(110.8) 02.16 60 5
262530 결혼안하고 연애만 하면서 살건데 9급 ㄱㅊ? [1] 공갤러(121.142) 02.16 251 0
262529 모두공 혜자패스 공갤러(118.235) 02.16 110 0
262526 교포 한녀언니들 대부분 자존감 높고 정병없는 이유가 ♡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47 0
262523 다들 붙어라 [1] 자칭댄서오크난쟁이공무원 (121.124) 02.16 68 0
262520 안녕 나는 냐룽이야! [1] 냐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79 0
262519 티오 개씨발이네 2찍씨발년들아 [1] 공갤러(223.38) 02.16 274 2
262518 이거보면 이번 한국사 100점 안보면 과락 공갤러(218.54) 02.16 180 1
262514 영어 관련자들은 다 잘려야 출제위원 비속 손자(112.149) 02.16 109 0
262502 지역인재 7급 기회가 있다면 해볼만 한가요? [4] 공갤러(58.230) 02.15 426 0
262499 내가 지원하려던 지역 티오 1명이네 ... ㅇㅇ(115.143) 02.15 206 0
262498 기상 공갤러(1.252) 02.15 72 0
262493 19년도에 산 국어 영어 기본서 쓸만한가요? 공갤러(59.8) 02.15 117 0
262492 도청 행정7급 질문받음 ㅇㅇ(106.101) 02.15 208 0
262491 본인 좋아하는 전성기때 한지민랑 결혼 vs 아이큐 170 ㅇㅇ(118.235) 02.15 57 0
262490 경찰 35년하고 퇴직하면 연금 얼마나받냐??? [1] 공갤러(118.32) 02.14 314 1
262485 보호직 입문인데 기간 얼마잡고 공부해야 함 공갤러(112.121) 02.14 121 0
262482 암기 공부법좀요 [2] 공갤러(1.238) 02.14 158 0
262479 잠깫다 공갤러(39.114) 02.14 65 0
262478 이 새끼 뭐냐 [2] ㅇㅇㅇㅇ(223.38) 02.14 323 0
262476 4급 서기관이면 높은건가요? [3] 공갤러(114.204) 02.14 302 0
262474 출관직이랑 보건직중에 뭐가 괜찮을까? [1] 공갤러(61.77) 02.13 284 0
262467 다들 붙어라 정병좆밥자칭댄서난쟁이공무원 (121.124) 02.13 67 0
262466 남자가 운전면허 없으면 폐급임? ㅇㅇ(211.199) 02.13 117 0
262461 기출만 다회독한 사람은 도박임. 공갤러(122.34) 02.13 276 0
262460 25년 국어 문제개편관련 고전시가 이제 안나오나요? 질문 도와주세요 [1] 공갤러(218.155) 02.13 246 0
262458 기재부 공무원은 뭔가 사람들이 보는눈이 다름?? [1] jjjjj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66 1
262454 공무원 월급 암담하다 [1] 공갤러(223.39) 02.13 460 4
262453 기상 ㅇㅇ(210.181) 02.13 55 0
262448 결혼해서 맞벌이하는거 정신승리하는지인 공갤러(185.211) 02.12 83 0
262447 공무원 관련질문은 어디다가 하면되나요? [1] ㅇㅇ(119.204) 02.12 106 0
262446 일반행정 점수별로 얼마나 걸림?? 공갤러(183.97) 02.12 91 0
262443 공무원에 대한 정의라는데 맞음? ㅇㅇ(211.186) 02.12 142 1
262440 현직중에 이런 부류들 많아? [2] (&?((222.102) 02.12 173 0
262438 33살인데 여태 알바한번 안해봤는데 이거 결격사유되냐? [2] 공갤러(118.235) 02.12 211 0
262437 수산직 괜찮냐? 공갤러(116.33) 02.12 237 0
262433 100% 환급 평생무제한 올패스 ㅇㅇ(223.38) 02.12 127 0
262432 다들 붙어라 정병성병우리춤밀리면어떡해 (121.124) 02.12 60 0
262430 클린스만을 주둥이로 이길 수 있는 유일한 새끼 공갤러(110.8) 02.12 106 2
262426 나 대위전역예정인디 [3] 공갤러(223.38) 02.11 185 0
262424 초시생인데 개편전 공부 [2] 공갤러(218.150) 02.11 188 0
262423 7급 일반공무원 vs 초등교사 [4] 32(211.44) 02.11 432 0
262421 공시 VS 대학원 [2] 공갤러(61.98) 02.11 146 0
262420 다시 보는 문버지 공갤러(218.54) 02.11 95 1
262418 안녕 나는 냐룽이야! 냐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80 0
262417 선관위는 자수해라 https://www.youtube.com/live/g 공갤러(193.36) 02.11 65 0
262415 본인 좋아하는 전성기때 태연이랑 결혼 vs 아이큐 170 ㅇㅇ(118.235) 02.11 70 0
262413 교육 공무원 왜함? 공갤러(61.85) 02.11 158 0
262410 장애전형 있으면 40일 단기합격 가능함 ㅇㅇ(221.165) 02.11 230 0
262407 다들 붙어라 [1] 정병아다택 (121.124) 02.11 7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