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전세사기 이슈로 거래 절벽에 빠졌던 빌라 시장이 최근 다시 꿈틀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다세대주택 경매 시장을 중심으로 투자자들의 발길이 늘어나고 있으며 낙찰 후 단기간에 높은 차익을 거두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는 중이다.
평범한 직장인이지만 평소 재테크에 꾸준한 관심을 가져온 A씨는 지난해 말 인천 강화군의 준공 26년차 다세대주택을 경매로 5,600만 원대에 낙찰받았다.
해당 빌라는 전용면적 약 71.8㎡ 규모로 감정가는 1억 600만 원이었다. 2023년 11월 감정평가 기준으로 인근 빌라의 실거래가인 1억 700만원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최초 입찰은 유찰을 거듭했고 결국 세 번째 입찰에서 A씨가 단독으로 입찰해 약 46% 저렴한 가격에 낙찰을 받았다.
사진=SBS뉴스
낙찰가인 5,677만 원은 최저입찰가(5,194만 원)보다 소폭 높았지만 여전히 시세보다 4,000만 원 이상 저렴했다. 임차인 부재로 명도에 드는 추가 비용도 없었고 취득세 및 법무사 수수료 등 부대비용은 약 400만 원 수준에 그쳤다.
놀라운 점은 그가 낙찰 후 55일 만에 이 물건을 다시 1억 원에 매각하며 4,300만 원 이상의 차익을 실현했다는 점이다. 세금과 중개 수수료 등을 감안해도 순이익은 3,000만 원 이상일 것으로 추산된다.
해당 빌라는 강화도 초입 지역인 강화읍 갑곳리에 위치해 있으며 인근에는 강화풍물시장, 강화병원, 법원, 경찰서 등 생활 기반 시설이 밀집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고정적인 실거주 수요와 임대 수익 가능성이 존재하는 입지 덕분에 투자 수익률이 상당히 높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 정책으로 인해 빌라 거래량도 상승세
사진=SBS뉴스
부동산 경매 전문가는 "A씨 사례처럼 감정가 대비 입찰가가 낮고, 실투자금이 적은 소형 주택은 초보 투자자에게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적다"라며 "짧은 기간 보유 후 매도하는 방식으로도 기대 이상의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
실제로 빌라 시장의 거래량은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는 분위기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의하면 올해 4월 서울 다세대주택 거래 건수는 3,12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1월 1,646건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였으며 2월과 3월에도 각각 2,054건, 2,745건으로 꾸준한 상승 흐름을 보였다.
한때 3,000건 이상을 기록하던 서울의 빌라 거래량은 2022년 하반기 전세사기 사건 여파로 급격히 감소한 바 있다. 특히 2023년 1월에는 거래량이 1,179건으로 급락하며 시장이 사실상 마비 상태에 놓이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빌라 투자 수요가 다시 유입되면서 그 배경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가장 큰 요인으로는 정부의 임대사업자 정책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6월 4일부터 시행된 6년 단기임대사업자 제도는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 양도소득세 및 법인세 중과 제외 등 다양한 세제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수도권 기준 매입형 등록 주택이 공시가격 4억 원 이하일 경우 해당 혜택이 적용돼 저가 빌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