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무엇이 시간의 기준이 되는가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9.30 22:02:11
조회 88 추천 0 댓글 2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일단 기준이란 것은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요? 예를 들어 식품류에는 보통 유통기한이 적혀져 있는데 그 유통기한을 정하는 기준은 뭘까요?


어떤 경우에는 상했다고 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상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어야겠죠? 단순하게 보자면 먹고 식중독에 걸리지 않아야 할테고요.


음식은 시간이 지나면 상하게 되는데 만약 하루가 지날때마다 두명의 사람에게 그 음식을 먹게 한다고 했을때 한 사람은 식중독에 걸리게 되고


한 사람은 식중독에 걸리지 않았다면 유통기한은 누구에게 맞춰져야 할까요? 당연히 걸린사람에게 맞춰져야 합니다. 즉, 둘 다 식중독에 걸리지


않는 시간이 있을 경우 그 시간을 유통기한으로 정해야겠죠. 물론 그 기준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만약 어떤 기준이 변하지 않는다면


여러모로 편리해집니다. 열과 오를 맞춰야 하는데 기준이 자꾸 움직이게 되면 열과 오를 맞추기 위해 기준에 변화 따라 사람들이 계속 움직여야


하니까 말이죠. 또 법도 자꾸 바뀌게 되면 혼란스럽죠. 그러니 불변인 것과 가변인 것이 있을 경우 불변인 것이 기준이 되는게 합리적이죠.


그런데 기준이 변화해도 결국 변화한게 없는 경우도 있을까요? 있습니다. 예를 들면 수직선이 만약 0을 기준으로 좌우로 무한하다면 0을 어느쪽으로


옮겨도 좌우 대칭이 유지되지만, 무한한 수직선이 아닐때 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성을 유지되고 있다면 그 0의 위치를 바꾸게 되면 좌우 대칭이


깨지게 되죠. (물론 수직선이 양쪽으로 무한할 경우 좌우 대칭은 어떤 수를 기준으로 해도 유지가 됩니다.) 즉, 기준 자체가 불변이거나 기준 자체가


변해도 대칭이 유지되는 경우가 가장 기준에 적합하겠죠. 그렇다면 시간의 기준은 무엇이 되어야 할까요? 빛을 기준으로는 시간이 흐르지 않는데


인간은 시간이 흐른다고 생각하죠. 그런데 그런 인간의 감각과 인식은 매우 인간중심적입니다. 그러니 인간은 인간중심적으로 시간이 흐른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그러나 자연철학인 수학과 물리학의 경우 인간의 감각과 인식을 최대한 배제해야 하는게 어쩌면 당연한겁니다. 감정은 물론이고

말이죠. 그런데 시간은 정말 흐르는 걸까요? 상대론의 시공간이동이란 개념을 볼 때 질량체는 시간 또는 공간을 이동하게 되지만 빛의 경우


시간을 이동하지 못하고 공간만을 이동합니다. 그런데 제가 시간을 이동해서 저를 기준으로는 새로운 시간에 존재하게 되었을 때 저는 시간이


변해서 그 시간으로 이동한 것이 되지만, 빛은 시간을 이동하지도 않았는데 그 시간에 존재하고 있다면 그것을 도대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다시 말해서 빛은 시간을 이동하지도 않았는데 제가 이동한 시간에 이전에 관측했던 빛이 도대체 왜 존재하냐는 것이죠. 답은 간단합니다.


그 빛은 그 시간에 원래 (확률적으로) 존재해 있던 것이라는 겁니다. 제가 설명한 시간대란 개념은 그런 시간의 불변성을 가장 잘 설명해주죠.


즉, 빛이 시간 이동을 하지 않는게 아니라 이미 모든 시간대에 (확률적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겁니다. 상대론적으로 빛은 길이를 0으로 수축시키기


때문에 한 시간대에서의 모든 공간에 확률적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죠. 결국 시간이 흐르는 것과 시간이 흐르지 않는 것이 있을 때 시간의


기준은 시간이 흐르지 않는 쪽이 되어야 하고, 또한 자연의 기준은 불완전한 인식과 감각을 가진 인간을 기준으로 해서는 안된다는 겁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는것처럼 보이더라도 시간이 불변이란 것을 가장 잘 설명하는 구조는 바로 제가 설명한 시간대라는 개념입니다.




아래는 질량의 상대성을 쉽게 이해해보는 사고실험입니다.


먼저 질량이 100kg인 물체와 질량이 1000kg인 물체가 동시에 불연속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해보죠.


그 둘은 동시에 존재했다가 존재하지 않았다가 존재했다가 존재하지 않았다가가 반복된다는 겁니다.


에너지 보존법칙이 성립하려면 질량이 가진 에너지가 질량이 아닌 상태로 바뀌었다가 다시 질량이 되어야 합니다.


저는 그 경우 질량이 공간화가 된다고 했었죠.


그럼 그 경우 질량이 서로 다른 물체가 '동시'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100kg의 질량의 에너지가 만든 공간이 질량화가 되는 것보다 1000kg의 질량의 에너지가 만든 공간이 질량화가 되는 것이 더 빨라야 합니다.


이렇게 아주 간단하게 상대론에서 설명하는 중력가속도가 설명되죠.


즉,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물체가 불연속으로 동시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질량이 더 큰쪽의 공간의 질량화가 더 빨라야 하고


그것이 중력가속도의 차이로 연결된다는 겁니다. 이런 간단한 사고 실험조차도 못하고 제 설명이 틀렸다고 하는 것들은


과연 사고력을 가진 것들인가 아니면 그냥 돌덩이인가 혼란스러울 정도입니다. 똑똑한 척은 다하면서 말이죠.


그게 이곳 물갤의 전공자들의 수준이란게 참 불쌍하고 말이죠. 적극적으로 제 설명을 비난만하는 것이 아닌 침묵하는 부류도 마찬가지고 말이죠.


다시 말하지만 제 주장의 핵심은 간단합니다.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 질량이 상대적이다이고 그게 틀렸다고 하려면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 질량이 상대적이 아닌 절대적이라는 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해보면 되는 겁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사고력만 있다면 제 설명이 옳다는 것을 쉽게 알수있다고 누누히 이야기 했지만


결국 제 설명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는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그 자체에 거부감을 갖고 있기 때문인것이죠.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면 과학을 하지 말길 바랍니다. 저도 사실 제 이론을 감정적으로는 굉장히 싫어하지만


이론적으로는 증명이 끝났기 때문에 거부하지 못하고 받아들이고 있을 뿐입니다.


어떤 이론이던 그 이론의 공리하에서는 현상과 상관없이 절대적으로 옳습니다.


수학이 현상과 상관없이 공리안에서 옳은 것 처럼 말이죠. 그런데 물리학이란 현상과 일치하는 이론이 옳은 이론인 것이고 말이죠.




빛이 절대속도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바로 기준이 달라져도 항상 같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런 불변(절대성)을 가진 것이 공리에 새롭게 추가될수록 '(에너지의) 대칭성'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기존에 불변인줄 알았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즉, 상대속도를 가질줄 알았던 빛이 절대속도라면 기존에 불변이라 생각했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그게 상대론에서의 길이의 (수축)가변입니다. 그런데 저는 변화가 불연속이라고 했고 그로인해 시간이 불변이 되면


마찬가지로 기존에 기준이 바뀌어도 불변이라 여겼던 것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죠. 그리고 이를 시각적으로 자명하게 보여주는 영상이 있습니다.




위의 영상처럼 매순간 모든 것이 정지해있다고 가정된 상황에서 포커스(기준)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크기는 크게보이거나


작게보이게 되는데 결국 상호작용이 임의의 기준과의 거리에 따라 상대적이게 될 경우 그 상호작용의 상대성으로 인한 어떤 현상이


발생해야합니다.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란 것이죠. 즉, 기준에 따라 질량이 다르다는 것이 질량의 상대성의 의미란 것이죠.


즉, 초등학생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제 이론입니다. 또 뉴턴역학과 상대론도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했고 말이죠.


그럼 이곳의 사이비는 중학교 수준의 대우도 모르는 걸 보면 초등학교 수준도 안되는 인간들이라는 걸까요?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186588 나는 무언가를 증명하려 한적이 없다. [3]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97 0
186587 양자컴퓨터 공부하는 사람 있나요 [1] 물갤러(211.234) 23.11.14 84 0
186586 한동안 물갤 병신들 안패니까 스물스물 기어나오고 자빠졌네 ㅋㅋ [3] ㅇㅇ(112.152) 23.11.14 124 0
186585 우주공간의 중력은 0 이다 ㅇㅇ(112.152) 23.11.13 70 0
186584 자전 [1] ㅇㅇ(112.152) 23.11.13 62 0
186583 빵셔틀새끼들은 맨날 억까당하며 쳐맞아서 ㅇㅇ(112.152) 23.11.13 37 0
186582 질량이 뭔지 아는사람 1억준다 [27] ㅇㅇ(112.152) 23.11.13 222 0
186581 왜 우리에게 미시입자의 변화가 불연속으로 보일까요?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52 0
186580 아직도 여기남은건 ㅇㅇ(112.152) 23.11.13 63 1
186579 부기우의 통찰vs아벨의 사유 물갤러(211.236) 23.11.13 51 0
186578 부기우는 오펜하이머 같음 물갤러(211.236) 23.11.13 68 0
186577 멀리있는게 작게 보이는 이유가 뭐냐 [4] 물갤러(211.235) 23.11.13 112 0
186576 개무섭네 10년전에 어그로 끌던 사람들 그대로있네 물갤러(46.114) 23.11.13 60 1
186575 뭐라도 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46 1
186574 일반 상대론 개고수 있냐. 대학원생이면 더 좋고 [6] ㅇㅇ(211.224) 23.11.13 149 0
186573 우주에 자연법칙이 존재하는 이유 [17] 아벨교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115 1
186572 우리 몸의 부분 부분의 시간은 상대적인가 절대적인가.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2 69 0
186571 공학에서는 물리 공식이 의미있는 게 아니라 [2] ㅇㅇ(114.207) 23.11.12 95 0
186569 내가 생각해봤는데 뇌와 생각은 [4] 물갤러(118.235) 23.11.12 76 0
186568 소리에 대해 질문(벽간 층간소음) [4] 물갤러(118.235) 23.11.12 68 0
186567 연구란 무엇일까?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2 57 0
186566 지구는 평평하다 ㅇㅇ(211.213) 23.11.12 45 0
186565 타는 냄새는 왜 엮하지않을까 [3] 물갤러(118.235) 23.11.12 44 1
186564 우리가 실제로 분자를 보지도 않고 검증도 안 했는데 왜 있다고 하는 거임 [4] 물갤러(39.115) 23.11.11 70 1
186563 자연상수e와 암흑에너지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1 83 0
186561 공부와 연구를 구분하지 못한다면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1 66 0
186560 '물리학' 만 배운 사람이 무서운 이유는 [11] ㅇㅇ(114.207) 23.11.11 228 3
186559 부기우님 뭐하시는 분이신가요?? [2] 물갤러(106.101) 23.11.11 94 0
186558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물갤신입 인사드려요 [1] 물갤러(106.101) 23.11.11 50 0
186557 구조역학적 현대적 물리학계산입니다.... feat.(나도 못 만듦..) [1] 물갤러(180.229) 23.11.11 77 1
186556 다음에서 기계의 비틀림응역을 물리학도가 구해보시오 [7] ㅇㅇ(114.207) 23.11.10 79 1
186555 본래 기계란, 노동기기에 대해서 있었습니다.... feat.(기계공학) [14] 물갤러(180.229) 23.11.10 79 1
186554 차원으로 설명하는 통일장 이론과 (끈)이론의 간단한 차이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60 1
186553 기계공학이란 무엇입니까?.... feat.(오늘의 소득 ^^) [12] 물갤러(180.229) 23.11.10 89 1
186552 방금 부기맨 미래가 보였다 ㅇㅇ(112.152) 23.11.10 47 0
186550 매번 재미있는 생각을 하다가도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50 0
186548 암흑물질관련 (ㄹㅇ물알못임) [6] ㅇㅇ(211.235) 23.11.10 86 0
186546 이상적인 철학적 사고의 예시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68 0
186545 문과 궁금증 풀어줄사람? [3] 물갤러(106.101) 23.11.09 57 0
186544 편광필름 3장 겹치는거 원리 밝혀짐? ㅇㅇ(114.30) 23.11.09 46 0
186543 물리학과가 취업이 안 되는 이유는 이거 아님? [24] ㅇㅇ(114.207) 23.11.09 353 1
186542 왜케 자멸하는 애들이 많냐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95 0
186541 이거 근거 있냐? 물갤러(39.7) 23.11.09 49 0
186539 한국인들은 천성이 엠비티아이 e형이 많은듯 [1] a(219.240) 23.11.09 65 0
186538 조롱은 쉬운것 물갤러(118.235) 23.11.08 36 0
186537 스스로를 강한 알파메일이라고 생각한다 물갤러(118.235) 23.11.08 41 0
186536 헌팅 어플 선 뭐든 사랑의 결실을 맺으면 그만인 것이다 물갤러(118.235) 23.11.08 31 0
186535 이중슬릿 실험과 결어긋남 해석의 한계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65 0
186534 이거 간단해보이면서 잘 모르곘네 물갤러(218.158) 23.11.08 35 0
186533 어려운걸 대단하게 생각하지 말자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76 0
뉴스 톰 크루즈, 26세 연하 여배우와 공개 열애 디시트렌드 08.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