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상적인 철학적 사고의 예시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21 21:33:51
조회 80 추천 1 댓글 1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각각의 (물리학)이론들은 그 이론의 공리가 옳다는 전제하에 옳다.


그리고 똑같은 공리하에서는 다른 이론이 나올수 없다.


만약 상대론의 모든 공리가 옳다면 상대론 이외의 이론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대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있었다.


그렇다면 상대론의 공리중에 틀린것이 있거나 부족한 것이 있다는 의미가 된다.


결국 상대론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 양자역학적 현상이다.


그런데 양자역학은 초기에 미시입자에만 적용된다고 생각한 코펜하겐해석이 있었다.


하지만 그 코펜하겐 해석이 틀렸다는 것이 이중슬릿 실험의 분자나 미생물을통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즉, 미시와 거시의 구분없이 파동-입자 이중성은 성립해야한다.


또 미시와 거시는 명제적인 구분이 아니다.


결국 양자역학의 파동-입자 이중성이 미시와 거시의 구분이 없다면 결국 상대론과 양자역학의 차이는 연속과 불연속의 차이가 된다.


그렇다면 변화가 미시와 거시의 구분없이 불연속이라는 가정(공리)을 세워보면 어떨까?



이처럼 철학을 이상적으로 했다라면 저는 또는 누구나 시행착오없이 일반 양자역학을 이해(완성)할 수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이상적으로 하지는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제가 변화가 불연속일지도 모른다는 그 의심을 어찌저찌 하게 되었지만


역시 그 의심 자체로 충격이 컸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질량이 상대적일거란 생각도 이어지는 충격이었고 말이죠.


하지만 결국 제가 믿고 싶은대로 믿는것을 오히려 거부했기에 받아들일 수 있었죠.




변화가 불연속이면 왜 공간과 질량이 등가가 되고 질량이 상대적이게 될까요?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것은 애니매이션의 캐릭처럼 매순간 정지해있으면서 불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떠올려봅시다.


일단 가속도를 측정하려 할때 위의 애니메이션의 예처럼 정확히 한순간의 정지된 상태일 경우 가속도를 측정할수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 눈에는 마치 그 캐릭터가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결국 위의 설명처럼 우리 눈에는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불연속으로 변화한다고 해보자는 겁니다.


그럼 무중력의 공간에서 질량이 서로 다른 정지된 물체에 힘을 가해서 같은 속도로 움직이게 해본다고 합시다.


그럼 두 물체엔 결국 다른 힘이 가해진겁니다. 그런데 변화가 불연속이라면 매순간 그저 같은 위치에 두 물체는 정지해있을뿐이게 되죠.


결국 초기에 두물체가 정지해있다고 했을 때의 순간과 힘을 주어 같은 속도가 되었을때의 한순간을 비교해보려고 하면 비교할 수가 있을까요?


분명 두 물체엔 정지상태일 때완 다른 힘이 가해졌기 때문에 그 다른 힘이 가해졌다는 그 증거가 필요합니다. 그게 과연 무엇일까요?


상대론의 길이 수축입니다. 그럼 그 길이가 수축되었다는 증거가 무엇일까요? 바로 두 물체의 질량의 증가가 되어야 합니다.


즉, 길이가 수축했는데 물체의 질량이 늘어야 한다는 겁니다. 즉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와 e=mc^2이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된다는 것이죠.


다시 말해서 한순간의 정지 상태라 가속도를 구할 수 없을 때 그 힘의 증거가 길이수축이 되어야 하고 질량과 공간이 등가가 되어


길이 수축으로 인해 질량체의 질량이 초기 상태일 때보다 증가하게 된다는 겁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물체에 에너지가 가해졌다>물체가 길이를 더 수축시킨다>그로인해 질량이 증가했다. 따라서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가 성립합니다.


그럼 질량의 상대성은 어떻게 설명될까요?


이번엔 두 물체를 관측하는 관측자의 위치를 바꿔보죠. 그럼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진다는 것은 즉, 길이수축이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겁니다. 따라서 질량이 상대적이게 되죠.


그리고 제 이론에서 길이수축은 공간의 질량화입니다. 중력이 강해진다면 공간이 질량이 되고 그 반대로 중력이 약해진다면


질량이 공간화 된 것입니다.. 참 쉽죠? 저는 변화가 불연속일때 시간이 불변이고 질량이 상대적이라는 것을 총 4가지 방법으로 설명했습니다.


대우는 그저 그 중 하나일뿐이고 말이죠. 대우의 설명이 가장 쉽고 불완전성정리의 가장 쉬운 예가 되기에


대우무새가 된 것뿐이죠. 그냥 여러분이 제 이론을 반박하고 싶다면 반박하려하지 말고


그냥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에 대한 논문을 써보세요. 그게 제 이론과 겹치지 않는다면 그게 새로운 이론인겁니다.



왜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까지만 통합될 수 있을까?


물리학자들은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고 싶어했습니다. 그 이유는 두가지 이론이 평행하게 존재하기 보단 하나의 이론이


다른 이론을 포함해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와 그게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설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었죠.


그런 의도로 물리학자들이 연구했던 대표적인 이론이 바로 양자장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입니다.


저는 사실 양자장론을 전혀 모릅니다. 그런데 제가 말하고 싶은건 이 양자장론이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수학적으로 합치는데


성공했지만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데는 실패했다라는 겁니다. 관련해서 제가 쓴 책에도 이미 쓴 적이 있지만 다시 써보자면


상대론은 변화가 연속, 양자역학은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현상적인 공리가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즉, 공리가 모순되므로


통합된 이론이 만들어질 수 없다고 했었죠. 쉽게 말해서 변화는 연속이면서 불연속이다란 공리를 쓸수는 없다는 겁니다.


그럼 여기서 생기는 의문은 바로 왜 그럼 특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합칠 수 있었던 건가?가 됩니다.


그럼 도대체 왜일까요? 바로 특수상대론은 관성계를 설명하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즉, 관성계는 등속운동과 정지 상태를 설명하는것이고 양자역학의 불연속도 결국 관성계를 의미하죠.


따라서 합쳐질수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사실 이건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론을 설명할 때 세웠던 가정 2가지중 하나와 관련되어있습니다.


1. 모든 관성 좌표계에서의 물리법칙은 동일하다, 2. 모든 관성계에서의 빛의 속력은 동일하다


결국 위의 가정중 바로 1번이 바로 양자역학과 특수 상대론이 통합될 수 있던 이유가 됩니다.


그런데 결국 왜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통합될 수 없는걸까요? 이 우주에 비관성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연속으로 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제논의 주장처럼 인간 감각의 착각이다라는 것이죠.


화살의 역설처럼 매순간 모든 물체는 정지해있고 가능한 것은 오직 허수시간동안의 기준의 변화에 따른 질량의 상대적인 변화뿐입니다.


물론 기준의 변화를 연속이 아닌 불연속으로 설정하면 이마저도 역시 관성계가 되어버리죠.


결국 양자장론의 한계는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 것까지라는 겁니다.


그리고 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제 시간대란 개념이고 말이죠.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188961 야 기우야 완전론은 왜 [1] 던갤러(106.102) 24.04.22 62 0
188960 해석역학 예제 2.3.2 질문 해도 될까요 [1] ㅇㅇ(203.253) 24.04.22 69 0
188959 거 자꾸 절대론적으로 생각 한거라고 계속 [20] DC 갤러 그(183.103) 24.04.22 119 1
188958 나는 특수상대성 이론 논문에서 [28] 물리기초(121.150) 24.04.22 152 0
188957 로런츠 변환식은 광속불변을 증명하는 식이 아니다. [101] 물리기초(121.150) 24.04.22 208 0
188956 근데 가만 생각해 보니 광속불변 현상은 [5] DC 갤러그(183.103) 24.04.22 90 1
188955 여기상대론 거부하는애들 잘들어 [2] 던갤러(1.227) 24.04.22 81 0
188954 물리황님들 한번만 도와주세요 [1] 물갤러(118.235) 24.04.22 84 0
188952 줄의 중간점 장력 이거 어케 구함?? [2] 물갤러(59.31) 24.04.22 90 0
188951 시간이 지나도 물갤은 여전히 저능아 동물원이구나 ㅇㅇ(106.101) 24.04.22 85 11
188950 밑에 일반역학 짜친다는 글쓴이인데 [1] ㅇㅇ(222.96) 24.04.22 130 0
188949 이거 한번 물어 보자 [9] DC 갤러 그(183.103) 24.04.21 124 0
188947 질문좀여 [4] 물갤러(118.235) 24.04.21 73 1
188946 동일한 직선상에서 운동 [1] 물갤러(39.7) 24.04.21 154 0
188945 이틀동안 고민했다 [110] ㅇㅇ(118.235) 24.04.21 277 1
188944 천하장사 이만기는 힘에 대해 잘 알까? [9] 술독(14.32) 24.04.21 114 0
188943 줄무게 포함된 장력문제는 어캐구함? [27] 물갤러(122.38) 24.04.21 134 0
188942 나는 시발 물리학이 이해가 안되는게 [40] ㅇㅇ(118.235) 24.04.21 247 0
188941 쌍둥이 역설을, 그것이 정말로 역설이 [17] DC 갤러 그(183.103) 24.04.21 148 1
188940 새로운 계의 새로운 관찰자를 발견 하였다. [2] DC 갤러 그(183.103) 24.04.21 98 1
188939 넌센스 퀴즈 (남녀 차별) [3] 술독(14.32) 24.04.21 174 0
188937 (급함) 힘에 대해 질문 [28] ㅇㅇ(39.7) 24.04.21 157 0
188936 표면장력에 대해 다시 생각해봄 [5] ㅇㅇ(223.39) 24.04.21 87 0
188935 형들 주먹으로인한 충격력 계산하는개념좀 ㅜ [9] 물갤러(211.234) 24.04.21 95 0
188934 X 물갤러(211.234) 24.04.21 39 0
188933 일반물리 문제 풀어주실수 있나요? [1] 물갤러(1.229) 24.04.21 146 0
188932 그렇게 보이느냐? 아니면 실제 그러냐? [12] 술독(14.32) 24.04.21 101 1
188931 상대론에 있어서 제 삼자의 관점으로 본다는 것이 [20] DC 갤러 그(183.103) 24.04.21 111 1
188930 쌍둥이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한다. [22] 술독(14.32) 24.04.21 164 1
188929 부기우 씹새야 ㅇㅇ(39.7) 24.04.21 58 2
188928 이건 열역학 법칙과 무관한거임? [2] 물갤러(125.143) 24.04.21 96 0
188927 가만 생각해 보니 상대성 이론은 [27] DC 갤러 그(183.103) 24.04.21 176 1
188925 특수상대성이론번역1 [3] 물리기초(211.224) 24.04.21 96 1
188924 외향적 성격을 고쳐라가 표어인 이유 [1] 외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1 104 1
188923 개쩌는 상대성 이론 반박. [6] 물갤러(220.116) 24.04.21 125 0
188922 일반역학이 엄청 짜치는데 [4] ㅇㅇ(222.96) 24.04.21 427 2
188921 이제 앞으로 특상론은 [18] DC 갤러그(183.103) 24.04.21 175 2
188920 기우야 현타 왓냐 왜 글안쓰냐 던갤러(106.102) 24.04.20 54 0
188919 쌍둥이 역설은 [91] DC 갤러그(183.103) 24.04.20 186 0
188918 고2 물리1 중간 [1] ㅇㅇ(39.124) 24.04.20 88 0
188917 강원도 횡성에 사는 ㅂㅅ돼지 레프리스톱 ㅋㅋ [2] 물갤러(196.240) 24.04.20 59 0
188916 레프리스톱 아냐? ㅋㅋ 뻘글쓰다가 복싱갤에서 개털림 [1] 물갤러(196.240) 24.04.20 56 0
188915 상대성 이론은 이걸로 끝났다고 본다. [67] 물리기초(211.224) 24.04.20 432 0
188914 ㅇㅇ(121.161)의 질문 [10] 술독(14.32) 24.04.20 115 0
188913 질문쩜.. [2] 물갤러(118.221) 24.04.20 77 0
188912 누가 양자역학을 더럽히는가? [11] 술독(14.32) 24.04.20 160 0
188911 기호 질문 [1] 물갤러(123.100) 24.04.20 60 0
188910 파장의 물리적해석좀 가르켜줘 [7] ㅇㅇ(61.79) 24.04.20 90 0
188909 공대에서 일반물리 듣는 학생이에요~~ [4] ㅇㅇ(223.39) 24.04.20 125 0
188908 대학원오라는데 가면 이득뭐임? [1] ㅇㅇ(1.233) 24.04.20 81 0
뉴스 여리(如理)∙Raynes∙Bright World, 7월 5주 차 위클리 키트앨범 스포트라이트 선정! 디시트렌드 08.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