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시간 개념의 변천사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01 21:02:01
조회 342 추천 0 댓글 1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상대론이 등장하기전 뉴턴역학적으로는 시간은 절대적으로 흘렀습니다. 시간이 절대적으로 흘렀다는 것은 제 기준으로 1초가 흐르면


다른 것들의 시간도 1초가 흐른다는 생각이죠. 그런데 상대론에서의 시간은 제 기준으로 1초가 흘렀다면 다른 것들의 기준으론 1초가


더 흘렀거나 1초가 덜 흐른 상태일 수 있게 되었죠. 그런데 상대론에서 시간이 상대적이긴 하지만 시공간은 절대적이게 설명됩니다.


시공간이 절대적이란 것의 의미는 만약 지구의 중력의 영향권의 크기가 반지름이 10만km인 구라고 가정한다면 어디를 기준으로 잡아도


지구의 중력권은 그 구의 부피만큼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그리고 그 중력권에서 중력이 가장 센부분에 있는 사람의 시간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가고 가장 약한 부분에 있는 사람의 시간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흐르게 되는 것이고요. 그래서 상대론적으로 시공간은


절대적이고 시간은 상대적이란 겁니다. 그럼 양자역학에서의 시간과 시공간에 대한 설명은 어떻게 달라질가요? 먼저 시공간이 절대적이지


않게 됩니다. 질량의 상대성으로 지구의 중력권이 기준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제가 a라는 사람과 5미터 떨어져있을 경우


a의 에너지의 상태가 질량 80% 공간 20%라고 하고, 당신이 a와 10미터 떨어져 있을 경우 a의 에너지의 상태가 질량 40% 공간 60%라고


해보죠. 또 위에서의 공간의 비율(%)이 바로 a가 만들어내는 중력권(시공간)의 범위입니다. 제 기준으론 결국 a의 총에너지중 20%가


중력권을 만들어낸 것이고, 당신 기준으로는 60%가 되니 중력권의 범위가 상대적이란 겁니다. 즉, 시공간의 상태가 상대적이란거죠.


그럼 시간은 어떻게 될까요? 제가 설명했던 우주의 구조는 결국 무한개의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가진 4차원의 연속체인 5차원이었죠.


또 우주는 대칭성때문에 존재하기 때문에 저 4차원의 구조가 새롭게 만들어진게 아닙니다. 즉, 이미 있던 구조안에서의 변화라


사실상 시간이 흐르는게 아니란거죠. 한 시간대에서 존재했던 3차원이 다음의 4차원(시간대)에서 불연속적으로 존재할 경우 그것을 인간은


시간의 변화라 인식하지만 결국은 우주의 시간은 절대적이란 겁니다. 또 저는 이걸 4차원내에서의 3차원의 변화는 불연속이기 때문에


기존의 시간개념을 적용할수 없고 따라서 시간이 흐르지 않고 절대적이라고도 했었죠. 프레임을 통해서 설명하기도 했었고요.


1초에 60프레임으로 불연속으로 존재하는 것과 1초에 120프레임으로 존재하는 것중 후자가 더 시간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흐르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사실상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라고 말이죠. 즉, 양자역학적으로 시공간은 상대적이고 시간(대)는 절대적이게 됩니다.




변화가 불연속이면 왜 공간과 질량이 등가가 되고 질량이 상대적이게 될까요?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것은 애니매이션의 캐릭처럼 매순간 정지해있으면서 불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떠올려봅시다.


일단 가속도를 측정하려 할때 위의 애니메이션의 예처럼 정확히 한순간의 정지된 상태일 경우 가속도를 측정할수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 눈에는 마치 그 캐릭터가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결국 위의 설명처럼 우리 눈에는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불연속으로 변화한다고 해보자는 겁니다.


그럼 무중력의 공간에서 질량이 서로 다른 정지된 물체에 힘을 가해서 같은 속도로 움직이게 해본다고 합시다.


그럼 두 물체엔 결국 다른 힘이 가해진겁니다. 그런데 변화가 불연속이라면 매순간 그저 같은 위치에 두 물체는 정지해있을뿐이게 되죠.


결국 초기에 두물체가 정지해있다고 했을 때의 순간과 힘을 주어 같은 속도가 되었을때의 한순간을 비교해보려고 하면 비교할 수가 있을까요?


분명 두 물체엔 정지상태일 때완 다른 힘이 가해졌기 때문에 그 다른 힘이 가해졌다는 그 증거가 필요합니다. 그게 과연 무엇일까요?


상대론의 길이 수축입니다. 그럼 그 길이가 수축되었다는 증거가 무엇일까요? 바로 두 물체의 질량의 증가가 되어야 합니다.


즉, 길이가 수축했는데 물체의 질량이 늘어야 한다는 겁니다. 즉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와 e=mc^2이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된다는 것이죠.


다시 말해서 한순간의 정지 상태라 가속도를 구할 수 없을 때 그 힘의 증거가 길이수축이 되어야 하고 질량과 공간이 등가가 되어


길이 수축으로 인해 질량체의 질량이 초기 상태일 때보다 증가하게 된다는 겁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물체에 에너지가 가해졌다>물체가 길이를 더 수축시킨다>그로인해 질량이 증가했다. 따라서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가 성립합니다.


그럼 질량의 상대성은 어떻게 설명될까요?


이번엔 두 물체를 관측하는 관측자의 위치를 바꿔보죠. 그럼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진다는 것은 즉, 길이수축이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겁니다. 따라서 질량이 상대적이게 되죠.


그리고 제 이론에서 길이수축은 공간의 질량화입니다. 중력이 강해진다면 공간이 질량이 되고 그 반대로 중력이 약해진다면


질량이 공간화 된 것입니다.. 참 쉽죠? 저는 변화가 불연속일때 시간이 불변이고 질량이 상대적이라는 것을 총 4가지 방법으로 설명했습니다.


대우는 그저 그 중 하나일뿐이고 말이죠. 대우의 설명이 가장 쉽고 불완전성정리의 가장 쉬운 예가 되기에


대우무새가 된 것뿐이죠. 그냥 여러분이 제 이론을 반박하고 싶다면 반박하려하지 말고


그냥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에 대한 논문을 써보세요. 그게 제 이론과 겹치지 않는다면 그게 새로운 이론인겁니다.



왜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까지만 통합될 수 있을까?


물리학자들은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고 싶어했습니다. 그 이유는 두가지 이론이 평행하게 존재하기 보단 하나의 이론이


다른 이론을 포함해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와 그게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설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었죠.


그런 의도로 물리학자들이 연구했던 대표적인 이론이 바로 양자장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입니다.


저는 사실 양자장론을 전혀 모릅니다. 그런데 제가 말하고 싶은건 이 양자장론이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수학적으로 합치는데


성공했지만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데는 실패했다라는 겁니다. 관련해서 제가 쓴 책에도 이미 쓴 적이 있지만 다시 써보자면


상대론은 변화가 연속, 양자역학은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현상적인 공리가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즉, 공리가 모순되므로


통합된 이론이 만들어질 수 없다고 했었죠. 쉽게 말해서 변화는 연속이면서 불연속이다란 공리를 쓸수는 없다는 겁니다.


그럼 여기서 생기는 의문은 바로 왜 그럼 특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합칠 수 있었던 건가?가 됩니다.


그럼 도대체 왜일까요? 바로 특수상대론은 관성계를 설명하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즉, 관성계는 등속운동과 정지 상태를 설명하는것이고 양자역학의 불연속도 결국 관성계를 의미하죠.


따라서 합쳐질수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사실 이건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론을 설명할 때 세웠던 가정 2가지중 하나와 관련되어있습니다.


1. 모든 관성 좌표계에서의 물리법칙은 동일하다, 2. 모든 관성계에서의 빛의 속력은 동일하다


결국 위의 가정중 바로 1번이 바로 양자역학과 특수 상대론이 통합될 수 있던 이유가 됩니다.


그런데 결국 왜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통합될 수 없는걸까요? 이 우주에 비관성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연속으로 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제논의 주장처럼 인간 감각의 착각이다라는 것이죠.


화살의 역설처럼 매순간 모든 물체는 정지해있고 가능한 것은 오직 허수시간동안의 기준의 변화에 따른 질량의 상대적인 변화뿐입니다.


물론 기준의 변화를 연속이 아닌 불연속으로 설정하면 이마저도 역시 관성계가 되어버리죠.


결국 양자장론의 한계는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 것까지라는 겁니다.


그리고 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제 시간대란 개념이고 말이죠.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189136 패배자 부기우 [4] ㅇㅇ(220.122) 24.04.27 103 0
189135 각속도 2차원이랑 3차원 다른 이유가 뭐야? [2] 물갤러(39.115) 24.04.27 99 0
189134 중력이냐 중력장이냐... [9] 술독(14.32) 24.04.27 164 0
189133 아인슈타인이 DC 갤러그(183.103) 24.04.27 59 0
189132 물리 공식 22-4 원뿔 진자 주기, 구심력 물리기초(211.224) 24.04.27 48 0
189130 근데 하펠ㅡ키팅 실험은 [36] DC 갤러그(183.103) 24.04.27 169 0
189129 로런츠 변환과 고전 역학의 대결, 고전 역학 승 [106] 물리기초(211.224) 24.04.27 258 0
189128 문제아를 제거해버렷다 이 던갤러(106.102) 24.04.27 46 0
189126 어제10시간동안 혁신적인 개념을 떠올렷는데 던갤러(106.102) 24.04.27 51 0
189125 핵분열시 질량이 줄어드는것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7] 고갤럭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7 99 0
189124 물리학에 범위 붕붕(220.83) 24.04.27 62 0
189123 일반물리 가속도 문제 도와주실분..문제 간단해요 [2] 물갤러(219.241) 24.04.27 128 0
189120 나어 지겁븐 [6] 물리기초(211.224) 24.04.26 90 1
189119 원자끼리 충돌하면 에너지가 생기는거지? [5] ㅇㅇ(61.79) 24.04.26 108 0
189118 정면 충돌 [10] 술독(14.32) 24.04.26 127 1
189116 쌍둥이는 아무래도 모순이 맞는게 아닌가 보임. [6] DC 갤러 그(183.103) 24.04.26 157 0
189114 인간이 태양계벗어나는게 가능함? [2] ㅇㅇ(106.101) 24.04.26 80 0
189113 물리 망상을 무시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5] 물리기초(211.224) 24.04.26 84 0
189112 물리 공식 22-3 원뿔 진자 물리기초(211.224) 24.04.26 55 0
189111 물리 공식 22-2 원뿔 진자 구심력 물리기초(211.224) 24.04.26 66 0
189110 일상론 질문. 급해요 [20] 술독(14.32) 24.04.26 142 0
189109 뉴럴 링크라는 기술이 가능한 건 가요? [1] 물갤러(218.155) 24.04.26 66 0
189108 열복사랑 전자기파 같은거임? [2] ㅇㅇ(61.79) 24.04.26 63 0
189107 원자는 충돌하면서 에너지가 생기는거지? ㅇㅇ(61.79) 24.04.26 48 0
189105 말뚝 박아도 쌍둥이는 여전히 살아 있다 보이네 [15] DC 갤러 그(183.103) 24.04.26 110 0
189104 엘리트를 배출하는 최고의 교수법 물갤러(210.217) 24.04.25 57 1
189103 일반물리학 질문 받아주시면 사례하겠습니다! [1] 물갤러(118.235) 24.04.25 59 0
189102 운동량 변화량의 부호에 대해서 [1] 물갤러(211.219) 24.04.25 229 0
189101 이것도 확실히 모순 맞는거지? DC 갤러 그(183.103) 24.04.25 75 0
189100 근데 맥스웰이 아인슈타인 에디슨 뉴턴 다 압살하지않냐 [3] 물갤러(111.91) 24.04.25 339 0
189099 둘이 왜 식이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1] 물갤러(118.235) 24.04.25 74 0
189098 상대성의 정의? 있긴 있냐? [3] 술독(14.32) 24.04.25 87 0
189097 이거 ㄱ 맞다해야됨? [2] 물갤러(223.39) 24.04.25 73 0
189096 오늘 얻은 새로운 물리 지식 물리기초(211.224) 24.04.25 67 0
189095 물리 공식 22-1 원뿔 진자 물리기초(211.224) 24.04.25 61 0
189094 오늘 친 내신 물리1 시험문제인데 오류 아님? [6] 물갤러(58.230) 24.04.25 276 0
189093 난 그이유를 알지 그리고 이상대론의 비밀도 알고있지 던갤러(106.102) 24.04.25 37 0
189092 상대론은 사실 끼워맞추기인데 이게 현실에서는 잘작동함 [1] 던갤러(106.102) 24.04.25 49 0
189091 물리기초하고 dc갤러 근데 ㅈㄴ 웃긴게 [1] 던갤러(106.102) 24.04.25 73 0
189090 바뀌긴 해야해 근데 둘다 근사적으로는 맞는이론임 [1] 던갤러(106.102) 24.04.25 56 0
189089 특상론이건 일상론이건 완벽한건 아니지 [1] 던갤러(106.102) 24.04.25 54 0
189088 이 책 어떤가요? [1] ㅇㅇ(138.199) 24.04.25 80 0
189086 앞서 쓴 글에서 두 계 간의 상황이란 것을 [102] DC 갤러 그(183.103) 24.04.25 182 0
189085 물리 공식 21 도르래 회전 역학 물리기초(211.224) 24.04.25 51 0
189084 물리 고수 형님들 질문좀 - 각속도 토크 관련 [2] 물갤러(221.163) 24.04.25 88 0
189083 마이컬슨 몰리 실험으로 광속 불변의 원리 해석 [5] 물리기초(121.150) 24.04.25 103 0
189082 이거 그냥 평속쳐서 풀어도 됨??? [1] 물갤러(1.221) 24.04.25 90 0
189080 관성이랑 질량 배우는데 [2] ㅇㅇ(218.233) 24.04.24 94 0
189078 대학생 벼락치기하는데 조언좀요 [2] 물갤러(218.235) 24.04.24 155 0
189077 새가 왜 이렇게 생긴거냐? DC 갤러그(183.103) 24.04.24 72 0
뉴스 “조정석♥ 거미 둘째 가졌다…임신 4~5개월차” 디시트렌드 08.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