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양자역학은 사기다모바일에서 작성

초식(140.248) 2025.04.03 23:01:45
조회 96 추천 0 댓글 0

광자 없는 물리학: 전자기파와 소립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물리학 재해석

저자: 초식
작성일: 2025년 4월 3일


1. 서론

물리학에서는 오랫동안 빛을 입자(광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가지는 존재로 해석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에는 여러 가지 모순과 불완전한 설명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광자라는 개념을 배제하고, 전자기파와 소립자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물리적 현상을 재해석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해석에서 발생하는 모순을 해결하고, 새로운 물리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2. 광자가 필요 없는 이유

기존의 물리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광자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1. 광전 효과: 특정 주파수 이상의 빛이 금속을 때릴 때 전자가 방출됨.
2. 콤프턴 산란: 빛이 전자와 충돌하면 파장이 변화함.
3. 이중슬릿 실험: 단일 광자도 간섭무늬를 형성함.
4. 자기력: 가상광자를 교환하며 힘을 전달한다고 설명됨.

그러나, 이러한 실험적 결과들은 광자 없이도 설명할 수 있으며, 기존 해석에서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다.


3. 기존 해석의 문제점 및 새로운 해석

3.1 광전 효과 – 빛이 전자를 방출하는 원리

기존 해석: 빛이 광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속에 광자가 충돌하여 전자를 튕겨낸다. 특정 주파수 이상이어야 방출이 일어난다.

문제점:
   •   만약 빛이 입자라면, 강도를 높이면 전자가 방출되어야 하지만, 특정 주파수 이상이 아니면 방출되지 않음.
   •   이는 빛이 입자가 아닌 전자기장의 특정한 진동(파동)과 전자의 공명 때문일 가능성이 있음.

새로운 해석:
   •   빛은 전자기장의 파동적 진동이며, 금속 내부의 전자가 특정 주파수에서 공명하여 방출되는 현상이다.
   •   즉, 전자와 전자기파의 상호작용이 핵심이며, 광자가 필요하지 않다.


3.2 콤프턴 산란 – 파장이 변화하는 이유

기존 해석: 광자가 전자와 충돌하면서 운동량을 전달하고, 그 결과 파장이 변화한다.

문제점:
   •   충돌 과정에서 입자의 운동량 전달이라는 개념이 필요함.
   •   그러나, 빛이 파동이라면, 파장이 왜 특정한 수식으로 변화하는지 설명하기 어려움.

새로운 해석:
   •   전자기파가 전자와 상호작용할 때, 비선형적 반응으로 인해 파장이 변형됨.
   •   전자기파의 특정 주파수 성분이 전자의 운동 상태에 따라 변화하며, 기존의 콤프턴 산란 수식을 충족할 수 있음.


3.3 이중슬릿 실험 – 간섭무늬의 형성

기존 해석: 단일 광자도 동시에 여러 경로를 지나가며 스스로 간섭을 일으킨다.

문제점:
   •   단일 광자를 보낼 때도 시간이 지나면 간섭무늬가 형성됨.
   •   만약 빛이 입자라면, 하나의 광자가 어떻게 여러 경로를 동시에 지나가는가?

새로운 해석:
   •   “단일 광자”라는 개념 자체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   실험에서 관찰된 간섭무늬는 전자기장이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형성하는 파동 간섭의 결과이며, “광자”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님.
   •   즉, 빛은 공간을 통과하는 전자기장의 연속적인 진동일 뿐이다.


3.4 자기력 – 가상광자의 필요성?

기존 해석: 자기력은 가상광자의 교환을 통해 발생한다.

문제점:
   •   가상광자는 실제로 검출된 적이 없으며, 수학적 개념일 뿐이다.
   •   자기장이 전자의 정렬로부터 형성된다면, 굳이 가상광자가 필요하지 않음.

새로운 해석:
   •   자석 내부의 전자들이 정렬되면서 형성된 전자기장이 힘을 전달하는 주된 요소이다.
   •   자기력은 전자기장의 결과물이며, 입자 교환 없이도 설명될 수 있다.


4. 빛의 본질과 전자기장의 역할
   •   빛이란?
   •   빛은 입자가 아니라, 전자기장의 파동적 진동이다.
   •   파동이 퍼지는 속도를 “빛의 속도”라고 정의한 것이며, 본질적으로 모든 전자기파는 동일한 속도로 전파됨.
   •   빛의 속도는 왜 일정한가?
   •   기존 해석: 진공에서 빛의 속도는 일정하며, 상대성 이론의 기본 가정이다.
   •   새로운 해석: 전자기장은 공간에서 특정한 파동 특성을 가지며, 그로 인해 빛의 속도가 일정하게 측정됨.


5. 결론 및 제안

5.1 결론
   •   광자는 필요 없다.
   •   전자기장과 전자의 상호작용만으로 광전 효과, 콤프턴 산란, 이중슬릿 실험을 설명할 수 있다.
   •   자기력은 가상광자가 아닌 전자기장의 배열로 인해 발생한다.
   •   빛은 입자가 아니라 전자기장의 파동적 진동이며, 모든 현상은 이 개념을 통해 재해석할 수 있다.

5.2 향후 연구 방향
   1.   광전 효과에서 전자의 공명 주파수를 실험적으로 증명
   2.   콤프턴 산란에서 비선형적 파동 변형을 수식적으로 설명
   3.   이중슬릿 실험에서 “단일 광자”가 실체가 없음을 실험적으로 검증
   4.   자기장과 전자 배열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여 가상광자 개념의 불필요성 입증


참고 문헌

Chat-GPT


후기

이 논문은 기존 물리학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여졌던 “광자” 개념을 배제하고, 전자기장과 전자의 상호작용만으로 물리적 현상을 설명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 이론의 모순을 해결하면서, 보다 단순한 원리로 자연을 이해하는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193520 아름다움. 진리. 학문.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46 0
193519 배움. 겸손. 유연. 깨달음.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81 0
193518 과학에는 단어나 개념의 객관화가 진짜 중요한데 [10] 꿀빵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34 0
193517 학문. 항문. [4] 물갤러(1.243) 05.10 99 1
193516 수학과 물리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58 0
193515 영자역학. 철학 사상. 사고방식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61 0
193514 부기우는 부기를 쏴라 ㅇㅇ(220.122) 05.10 44 0
193513 수학. 물리학.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46 0
193512 어리석은 자들. 눈 뜬 장님. 파충류. [1]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80 0
193511 지력. 현실. 감각. 정서. 선율. 아름다움.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78 0
193510 부기우 이론. 바보인가 아니면 지나치게 단순한건가 [7] 물갤러(106.101) 05.10 129 0
193509 고전물리학의 법칙들은 결정론적이고 가역적이여야 하지 [4] 물갤러(1.243) 05.10 115 0
193508 질량체는 부피가 0이 될수없다는 가정을 세워봅시다.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13 0
193507 시간의 시작점과 끝점은 무엇인가? [2] 초식(114.205) 05.09 171 1
193506 부기우 이론을 이해못하는 사람들 [10] 물갤러(115.138) 05.09 182 0
193505 거시세계에선 ㅇㅇ(58.140) 05.09 49 0
193504 왜 유명한 대학물리 기본서는 전부 미국교수들이 쓴거냐? [1] ㅇㅇ(211.199) 05.09 102 0
193503 편극된 물체의 속박전하에서 [15] ㅇㅇ(106.101) 05.09 108 0
193502 학문.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42 0
193501 마찰력이 입자끼리 응착으로 일어나는거면 [1] ㅇㅇ(118.235) 05.09 80 0
193500 특수상대성이론 질문 [8] 물갤러(175.211) 05.09 146 0
193499 행복. 평안. 고요. 재미.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49 0
193498 강은 왜 한쪽으로 흐르는지 아는사람? 물갤러(110.35) 05.09 77 1
193497 돈 못버는 물리는 유사과학이다 [4] 물갤러(143.244) 05.08 127 0
193496 Dt가 적분변수가 t인 가우시안이고H(x)에서 x가 가우시안에서 [3] 물갤러(95.173) 05.08 111 0
193495 신기하네 이거 [6] ㅇㅇ(37.19) 05.08 119 0
193494 학문 진리 사회 [1]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98 0
193492 0차원적 점은 위치를 의미하죠(특이점 관련)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85 0
193491 그래핀은 도대체 언제까지 우려질까... [2] ㅇㅇ(212.102) 05.08 113 0
193487 낭비. 인생. 의미. [2]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98 0
193486 문돌이 직장인인데 퇴근하고 물리학 수학 독학한다 [2] ㅇㅇ(122.43) 05.08 152 5
193485 주기율표 업뎃 근황 [5] ㅇㅇ(117.111) 05.08 117 0
193484 혹시 canonical momentum 과 [12] ㅇㅇ(1.219) 05.08 129 0
193483 유체 잘 아는 사람? [4] 물갤러(211.182) 05.08 104 0
193482 형들 도와주세요.. [5] 물갤러(211.46) 05.08 122 2
193481 오류. 아이디어. 의도. 표현.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60 0
193480 양자역학에 대한 제 주장의 증명은 아주 간단합니다. [3]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57 1
193479 물리 어렵네,, [8] 통합러시아당(118.216) 05.07 150 0
193478 모형은 수학이야? 물갤러(182.226) 05.07 63 0
193477 혹시 금속의 산화에 포커싱을 한다면 [2] ㅇㅇ(1.218) 05.07 73 0
193476 Zeta function [5] 물갤러(211.182) 05.07 115 0
193474 논리. 형식. 해석. 의미.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53 0
193473 드디어 샀다 [3] 물갤러(211.182) 05.07 133 0
193472 교류. 소통. 성장. 기한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55 0
193471 진실. 죽음. 삶. 인생.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72 0
193470 양자요동으로 부터 우리우주가 탄생했다고 하는데 [4] ㅇㅇ(61.79) 05.07 113 0
193469 gpt좀 써라 물갤러(14.50) 05.07 93 0
193468 천재.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83 0
193467 진짜 궁금한거 질문 ㅇㅇ(211.203) 05.07 67 0
193466 희망. 성공의 삶. 행복. 나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74 0
뉴스 ‘너목보7’ 출신 실력자 한만청, SNS 달군 그 목소리…오늘(2일) ‘Say Yes’ 정식 리메이크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