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국민연금과 세대 간 갈등

시나몬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03 16:51:24
조회 985 추천 18 댓글 24
														

최근 합의된 국민연금 개혁안에 2030대의 분노가 하늘로 치솟고 있습니다.


a16711aa372a69e87eb1d19528d5270300b2e2c8071816


젊은 세대의 입장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는 둥 시민 대표단이 미리 내정되어 있었다는 둥, 온갖 의혹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노후에 누릴 수 있는 연금제도에는 크게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이 있습니다. 기초연금은 선별적 복지입니다. 대상자와 부양의무자의 소득인정액을 봅니다. 소득인정액에는 일반적인 소득 뿐만 아니라 재산의 소득환산액이 포함됩니다. 소득인정액이 만 65세 중 하위 70%를 넘는 경우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과거 재산소득이라는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금융자산은 물론이고 자가, 자차도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한편 기초연금의 재원은 세금입니다. 국민연금과 달리 존속을 두고 말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국민연금은 (거의)보편적 복지입니다. 소득에 따라 대상 여부를 나누는 기초연금과 달리 모든 고령자가 수혜 대상입니다. 국민연금의 기원은 유럽식 복지국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2차전쟁 이후 피폐해진 사회에서, 국가가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구호와 함께 다양한 사회안전망이 형성됩니다. 공적연금제도는 1889년 독일에서 최초로 시행되었으며, 복지국가 사상에 힘입어 전세계로 확산됩니다. 국민연금의 연금액이 소득에 따라 비례적이긴 하지만, 수혜자에 차별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보편적 복지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죠.


7fed8171b58569ff3cee86e343836a3747ff36b3c4bcdb8edaa5c7991916


보험·연금은 위험을 헤지하는 수단입니다. 생명보험은 사망위험을 헤지하고 차보험은 교통사고 위험을 헤지하죠. 국민연금은 다소 어색한 '장수'라는 위험을 헤지합니다. 소득창출 능력을 상실한 고령층에 일정 수준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돈 없이 삶을 비참하게 마무리할 위험을 줄여줍니다.


국민연금은 오래 살수록 이득입니다. 죽을 때까지 나오기 때문입니다. 오래 살수록 연금을 더 많이 수령하죠. 최근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고령화가 연금 재정의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급개시연령 상향 당시 당시 기대수명은 75세였던 반면, 현재는 의학과 생활수준 진보로 83세입니다. 한편 국민연금 수급개시연령은 당시 60세에서 현재 63세입니다. 본래 15년만 받던 것을 지금은 20년씩 받고 있습니다. 1인당 수급 총액이 평균적으로 33% 증가한 것입니다.

보험은 보험사와 가입자 간의 확률게임입니다. 정보를 드러낼수록 손해보는 전투죠.


0fbcc923f69f0cae6bb0c4b01b9f3433919d17bc9b0c0c1235b350


보험료는 위험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험 가입 시 뿐만 아니라 가입 중에도 위험이 증가하면, 보험료가 인상되는 등 보험가입자에게 불리하도록 계약이 수정됩니다. 반면 국민연금은 수명증가로 인한 장수위험 급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2007년 마지막으로 모수개혁이 이루어진 후로 2024년 5월 지금까지도 손 대지 못하고 있습니다.


KDI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현행 보험료율 9% - 소득대체율 40% 체제에서, 올해 국민연금 수령을 시작한 1961년생의 기대수익비는 2가 넘습니다. 100만원을 내면 200만원 넘게 돌려받는다는 의미입니다. 1992년 이후 세대는 이미 기대수익비가 1 미만으로, 낸 보험료보다 덜 돌려받게 됩니다. 지금보다 보험료율이 2배 인상되어도 2004년 이후 출생자의 기대수익비는 1 미만이라는 암담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7fedf576c3f319f23defe9e74683706dfad3607a32f555f7d17a79f6940bfa497b151fe44ee5fb9f


해외의 공적연금은 한참 전에 합리화를 마쳤습니다. 캐나다는 보험료율 11.9% - 소득대체율 33.3%, 일본은 보험료율 18.9% - 소득대체율 36.4%로서 한국의 최근 개혁안과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영국과 독일은 연금 수급개시연령을 67세로 상향했습니다. 이것이 국민연금의 원 도입 취지인 ‘요람에서 무덤까지’에 알맞습니다. 고성장 시기에는 9%씩 걷어 40%로 돌려주는 일이 가능하지만, 저성장 시기에는 지속 불가능한 체제죠. 국민연금은 국민의 삶을 국가가 보장하기 위해 만든 제도인데 지금처럼 국민이 걱정하는 것이 말이 되지 않습니다.


신용화폐 시대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인플레이션은 채권자에게 손해를 가져옵니다. 10년간 1억원을 빌릴 때, 인플레이션이 있다면 10년 뒤 1억원은 지금의 1억원보다 실질가치가 낮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여 채무자(정부)의 실질 부담을 채권자로 전가하는 것을 인플레이션 조세라고 부릅니다.


현재 국민연금은 세금입니다.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 현황을 보면 국채 비중이 16%가량입니다. 여기에 지방채, 공공기관 발행 채권, 주금공 발행 MBS 등을 합하면 공공분야 채권이 대략 26%쯤으로 파악됩니다.

24b0d719e6dd36b26bb1c28a1fc52130b81fb022467d99bacbddf920dac324928330

국민연금이 세금인 이유는 적자국채를 국민연금이 일부 받아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추구하고 있지만, 관리재정수지는 오래 전부터 적자였습니다. 통합재정수지는 정부의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지표입니다. 관리재정수지는 여기에 국민연금, 고용보험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의 수지를 뺀 지표입니다. 나라 곳간을 헤아리는 데 관리재정수지가 훨씬 정확합니다.


a16711aa372a76b660b8f68b12d21a1dd581da32c2


국민연금은 국채의 주요 매수주체로서 재정적자를 일부 감당합니다. 정부예산 일부에 국민연금의 돈이 포함된 셈입니다.


정부가 빚을 내는 것 그 자체로는 문제가 없습니다. 재정건전성을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로 계산하는 것에는 두 가지 함의가 있습니다.


a16711aa372a6ae87eb1d19528d527034d783f3bbe

먼저 분자인 국가채무가 감소하면 재정이 건전해집니다. 그리고 분모인 GDP가 증가해도 재정은 건전해집니다. 여기서 GDP는 명목으로 계산하므로, 인플레이션은 재정건전성에 도움이 됩니다. GDP가 국가채무보다 많이 증가하면 재정은 자연스럽게 안정되죠. 문제는 국채로 조달한 예산을, GDP가 적자국채를 초과하여 증가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가입니다. 흔히 정부 지출에는 구축효과가 있다고 하죠. 아래 방정식의 민간부문에서 집행되어야 할 투자(I)가 정부부문(G)으로 이동하면 동일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더욱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고, 외려 민간부문은 수축되는 것을 말합니다.


a16711aa372a6be87eb1d19528d527033985d25a22ac


국채가 안전자산이고 자산 형성을 돕는다고 홍보하지만, 인플레이션 조세라는 측면을 보면 내 부를 똥으로 만드는 설거지 수단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요새 정부는 부동산시장 안정화에 수십조를 때려박고 있습니다. 국가경제에서 건설산업의 특징으로 광범위한 벨류체인에 기인한 레버리지효과가 있습니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음에도 성장에 기여하는 비중이 높은데, 선진국일수록 건설투자의 성장 기여도는 점차 감소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동일 경제규모에서 GDP대비 건설업의 비중이 높은 기형적인 구조입니다.


a16711aa372a6ee87eb1d19528d5270394ad4e7a33fe


최근 발표된 GDP 자료에서 건설부문이 경제성장률을 까먹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죠.


a16711aa372a6de87eb1d19528d52703032a83ffe57a97


현재 주택가격은 무주택자 및 젊은 세대에게 그림의 떡입니다.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이 26으로 글로벌 중위수(11.9) 대비 2배가 넘습니다. 무주택자 입장에서 요즘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수십조를 때려박으며 그 재원으로 국민연금 즉, 월급이 쓰이는 것을 보면 실소가 터져나옵니다. 내가 열심히 일할수록 내집마련의 꿈이 멀어지는 꼴입니다.

국민연금은 소득재분배 기능이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계산식을 보면 전체 근로소득과 본인의 근로소득을 1:1로 평균합니다. 본인 소득이 낮으면 연금액이 평균 수준으로 높아지고 소득이 높으면 연금액이 평균 수준으로 낮아지도록 평준화합니다.


a16711aa372a6fe87eb1d19528d52703c44d0770da


또한 소득 창출이 가능한 노동자에게 걷어 소득이 없는 고령층에게 나누어줍니다. 문제는 재산격차입니다. 젊지만 집이 없는 근로소득자와 전월세를 내주는 자산보유자 고령층 중 누가 더 취약계층인지는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국민연금의 건전성을 위해서라도 물가를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문제는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에 주거비가 빠져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는 집값 상승에 의한 인플레이션을 전월세만 제한적으로 반영합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주거비가 CPI의 30%에 육박합니다. 한때 CPI에서 자가주거비가 잡히지 않으면서 문제시됐죠.


상품가격 상승만 인플레이션이 아닙니다. 자산가격 상승도 인플레이션입니다. 자산가격 상승은 부의 효과(Wealth Effect)를 통해 소비에 영향을 미칩니다. 많은 나라에서 자산가격인플레이션은 용인하면서 자산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아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가계자산 중 주식의 비중이 40%를 차지하기 때문에 나스닥이 급락할 경우 연준은 기준금리를 인하하죠. 그 결과 최근 미국의 버핏지수는 180%에 육박합니다. 우리나라는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주거비를 제외함으로서 집값 상승을 방치합니다. 그렇게 젊은 계층에게 수도권 부동산은 그림의 떡이 되어버렸습니다. 또한 부동산은 대부분 고령층이 보유했습니다. 일찍 태어나서 먼저 집을 사놓지 않았으면 부동산 시장은 접근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의식주는 삶의 필수 요소인데 말입니다.


a16711aa372a60e87eb1d19528d527039e47f16ba294


이것은 현대사회의 계층 간 장벽이 되었습니다.


1d8fe574b5806af639ed83e74e89756d3602e4a67e98c86c8b51e8bd1d577e779b38f177f650e6


현재 국민연금은 고갈 위기를 방치한 채 젊은 계층을 착취하는 구조입니다. ① 빈자의 주머니를 털어 부자에게 주며, ② 국가가 국민의 안녕을 보장하는 취지와 반대로 국민이 국가의 안녕을 책임지게 된 것이 현 국민연금 제도의 불합리함입니다.


추천 비추천

18

고정닉 5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AD LEET 예상 성적 발표! 모의지원으로 합격예측! 운영자 25/07/01 - -
AD 해커스풀서비스로 표점 확인하고 네페 3만원 무료받기! 운영자 25/07/23 - -
643590 아아..나는 산타고 칼국수를 먹기위해 사는구나... [1] 시나몬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7 77 2
643589 하늘 찍었음 [2]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7 87 1
643587 무궁화삼천리화려강산 [1] 시나몬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7 79 1
643585 오늘의 점슴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7 68 1
643584 ㅇㅇ 서갤러(223.39) 24.05.27 77 0
643580 자자 착석하세요 [1]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7 92 1
643579 이제 x86 죽냐?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7 81 0
643578 구글<-----유튜브 원 툴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7 72 0
643577 날씨 넘 더워 [1]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7 88 0
643572 31시간 잠 자고 유포니엄 보려고 기상 [2]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6 94 1
643571 화장실에서 볼일보고 손좀 씻자 [4] 망붕닌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6 111 3
643569 제 마누라가 되기위한조건 [2] 시나몬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176 3
643568 17남 셀소합니다 [1] まえしまあみ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143 6
643567 노괴들끼리 빨아주네 ㅋㅋ 서갤러(118.235) 24.05.25 89 4
643564 대학 4년동안 이렇게 추억이 없어도 되는건가 [4] ㅇㅇ(112.152) 24.05.25 211 2
643561 망붕이들중에 재모말고 태광 가 본 사람 있음? [14] ㅇㅇ(106.102) 24.05.25 153 0
643560 보면 무적권 거르면 되는 배경화면 [1] 서갤러(220.89) 24.05.25 145 0
643559 서담 쫄보들 밖에 없던데 [1]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122 1
643556 폰 테마나 배경화면 추천 좀 [1]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97 0
643555 전집 왓음 [3] 시나몬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98 0
643554 킨텍스 왓음 [4] まえしまあみ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107 0
643553 애니 역사상 처음 보여주는 쿠미코의 표독한 표정 [2]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128 0
643551 TSMC 왤케 잘만듦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102 0
643547 이게 인생이지 캬 ㅋㅋㅋ [8] まえしまあみ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161 2
643546 4년마다 이익이 2배씩 증가하는 기업이 있음 [3]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5 122 0
643545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ETF 좋아하는 이유 [2]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114 0
643539 서강대생 [2] ㅇㅇ(121.141) 24.05.24 119 3
643538 <울려라 유포니엄> <- 정신 나간 애니 [3]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82 0
643536 고기, 술 [9] 망붕닌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105 3
643535 서담 한녀들 나이로 긁혔노 ㅋㅋㅋㅋ [1] 서갤러(118.235) 24.05.24 143 0
643533 재택 좀 시켜줘 [2]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83 0
643532 아몰랑 [2]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86 0
643531 삼전이개미친새끼들 [2] 망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101 0
643529 코파일럿 이거 머하는거임 [8] まえしまあみ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565 0
643528 날씨 풀리니까 안좋은점 서갤러(14.39) 24.05.24 79 0
643526 요새 많이 걱정되는 딱 한 가지 [5]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166 1
643525 다행이 5월말에 끌어올려줬군 [1]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79 0
643524 누누티비 말햇제 ㅇㅇ(175.114) 24.05.24 97 0
643520 저도 자랑 한번. . [5] まえしまあみ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4 142 0
643518 종목추천 [2]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95 0
643517 하 올해 책 읽을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매일 부글부글 끓음 [4]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83 0
643516 부자 아니면 지수추종하지마세요 [4] ShakeSha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133 0
643515 '이자소득자의 안락사' 시급하다 [2] 시나몬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98 1
643514 복무자/대상자, 예비군, 민방위 분들 이미지 꼭 참고 바랍니다. 레알병제모(223.39) 24.05.23 85 0
643513 삼전 <- 개버러지 주식 [1] まえしまあみ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83 0
643511 1루타 가보자 ㅋㅋ [7] 천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129 0
643508 역시 시대의 흐름은 애니메이션과 만화다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79 0
643507 페이커의 위대함 영원히 기록된다 [2]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99 0
643504 돈도 벌었으니 [1] 카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102 0
643503 오늘 넘 더움 [2] 망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94 0
뉴스 더이상 못 참아…BTS 뷔, 팬들에 쓴소리 디시트렌드 07.3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