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D-29:탈목표평가모형/타바의모형/강의법/목표설정이론

30일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7.10.26 16:12:07
조회 1643 추천 6 댓글 5

#개요

1. 스크리븐의 탈목표평가모형

 - 목표의 질도 고려해야

 - 판단의 준거: 내재적/외재적

 - 평가의 기능: 형성/총괄

 - 평가의 목적

 - 평가자의 역할


2. 타바의 교육과정 개발모형

 - 특징1: 목표설정 이전에 요구 진단 단계가 들어감

 - 특징2: 타일러의 학습경험을 내용과 학습경험으로 구분

 - 특징3: 교사가 직접 교육과정 개발 - 처방적 / 단원개발부터 - 귀납적

 - 시험전 단원 개발: 요구진단 / 목표설정 / 내용선정 / 내용조직 /학습경험 선정 / 학습경험 조직 / 평가내용과 방법 결정 / 균형과 계열성 검증


3. 강의법

 - 개념: 교사의 설명중심

 - 적합한 경우: 지식전수 / 어려운 내용 전달 / 전반적인 학습방법 제시 / 단기파지 우선

 - 장점: 다량 사실 체계적 전달 가능 / 많은 학생 짧은 시간 경제적 / 수업시간 수업량 수업자가 조절 가능

 - 단점: 고등정신 기르기 미흡 / 개인차 고려 불가 / 활동기회 제약


4.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 개념: 목표가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목표의 성과 결정 요인: 목표의 구체성 / 곤란성 / 목표에의 참여

 - 어려운 목표가 쉬운 목표보다 높은 과업 성취 가져옴

 - 구체적인 목표가 막연한 목표보다 높은 과업 성취 가져옴

 -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미시적 수업상황에서 활용해볼만

 - 문제점: 목표 수용 요소 밝히지 못함 / 목표 설정에 참여하는 것은 긍정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요인도 있음 / 단순한 과업에는 적합하나 복잡하고 산출이 비구체적인 직종에는 적용 어려움



#서론

교사가 교육평가 이론과 교육과정 개발 모형, 그리고 교수법과 이를 위한 목표설정이론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는 교사의 구조적인 교수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곧 학생들의 수업이해 및 학교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스크리븐의 탈목표 평가모형, 타바의 교육과정 개발모형, 교수법으로서의 강의법 그리고 로크의 목표설정이론에 대해 논해보겠다.


#본론

스크리븐은 목표를 설정할 때 타일러와 달리 목표의 옮고 그름, 즉 목표의 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목표가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에 관해 평가자는 판단해야 하며, 교육적으로 좋지 않다면 평가를 거부해야 한다.

목표 판단의 준거로 내재적 준거와 외재적 준거를 제시하였다. 내재적 준거는 처음 의도한 목표를 달성했는가에 대해 측정하는 것이고, 외재적 준거는 부수적이고 확산적인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측정하는 것이다. 교육평가는 외재적 준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평가의 기능으로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형성평가는 진행 중에 있는 수업 계열이나 수업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형성적으로 하는 평가이다. 총괄평가는 이미 완성된 수업계열의 가치를 총합적으로 판단하려는 평가이다.

평가의 목적은 프로그램의 장점이나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평가자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위해 교육 목표의 장점을 판단하는 책임을 지니는 것이다.


타바의 교육과정 개발모형 또한 합리적 모형의 일종이다. 하지만 타일러와 달리 목표 설저 이전에 요구진단 단계가 들어가는 점과 타일러가 말한 학습경험을 내용과 학습경험으로 구분한 점이 특징이다.

타바의 모형은 교사가 직접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절차를 제시하여 처방적이고

단원개발부터 교과형성으로 진행하므로 귀납적이다.

따라서 단원개발 단계에서 시험적 단원 개발은 8단계로 이루어지는데, 단계는 요구진단, 목표설정, 내용선정, 내용조직, 학습경험 선정, 학습경험 조직, 평가내용과 방법의 결정, 균형과 계열성 검증이다.


강의법은 교사의 설명중심 학습방법이다.

지식의 전수가 목표일 때나 어려운 내용의 설명이 필요할 때, 혹은 전반적인 학승방법을 제시할 때 적합하다.

장점으로 첫째, 다량의 사실을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둘째, 많은 학생을 짧은 시간에 가르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셋째, 수업시간이나 수업량을 교사가 조정할 수 있다.

단점으로 첫째, 고등정신을 기르기에 미흡하고, 둘째,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이 불가능하며, 셋째, 학습자의 활동기회를 제약하게 된다.


로크의 목표설정이론에서는 목표가 인간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 본다.

목표가 실제 행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위한 요인으로 목표의 구체성, 목표의 곤란성, 목표설정에의 참여가 있다.

목표설정이론은 어려운 목표가 쉬운 목표보다 높은 과업 성취를 가져오고, 또한 구체적인 목표가 막연한 목표보다 높은 과업 성취를 가져온다는 점을 시사해주었다.

학교 현장에서는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미시적 수업상황에서 활용해 볼 수 있는 기법이다.

이론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목표 수용 요소를 밝히지 못하고 있고, 둘째, 목표설정에 참여하는 것이 항상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또한 셋째, 단순한 과업에는 적합한 이론이지만, 복잡하거나 산출이 비구체적인 직종에는 적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결론

이상으로 스크리븐의 탈목표 평가모형, 타바의 교육과정 개발모형, 강의법, 로크의 목표설정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교육학 이론에 대한 이해는 교사가 2015개정 교육과정을 교실현장에 적용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곧 학생들의 학교적응과 교수학습 활동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앞에서 언급한 교육학 이론들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학교현장에서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지방직9급 합격예측 사전예약 네이버페이 증정 운영자 24/05/31 - -
2258 님덜 경쟁률이랑 컷은 상관관계가 있는편인가요 [7] ㅇㅇ(39.7) 18.10.27 561 0
2257 자살각 124234(222.96) 18.10.26 232 0
2255 생물 충남 2.7:1 실화? [2] dd(211.199) 18.10.25 1050 0
2254 올해 교육학 어떤거 버려야되는지 알려줄게 [8] 고승덕고(14.46) 18.10.25 1696 25
2253 교사준비하다가 순경준비하는데 [8] ㅇㅇ(121.186) 18.10.25 681 1
2251 웹 어쩌고 하는 교수모형 다들 외우셨음? [2] ㅇㅇ(39.7) 18.10.25 357 0
2250 님들 1차컷이 71이고 2차컷이 172.6인데 [1] ㅇㅇ(39.7) 18.10.24 622 0
2249 님들 원서접수하심?? [4] ㅇㅇ(61.98) 18.10.24 394 0
2247 내가 쒸바 이정도했으면 붙지않겠나 ㅇㅇ(39.7) 18.10.24 299 1
2246 호이와타터 의사결정모형 이거 다 보는 이론이야? [1] ㅇㅇ(223.62) 18.10.24 417 0
2244 논술기출된부분은 다들봐? [1] ㅇㅇ(121.132) 18.10.23 349 0
2243 교육학 과락만 면하려는데.. 교육과정 교육평가 이 두개만 봐도 되려나? [1] ㅇㅇ(124.80) 18.10.23 568 0
2242 언제까지 PC를 무기로삼는 사람들한테 당하고만 살거냐 ㅇㅇ(121.139) 18.10.23 374 11
2241 경쟁률 5.5대 1이면 떨어지면 바보에여?? [1] ㅇㅇ(175.223) 18.10.22 637 1
2240 타바 교육과정 단계 외워야하냐? [3] 라스뿜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22 477 0
2239 님덜아 scamper가 6색모에요? [4] ㅇㅇ(175.223) 18.10.22 326 0
2238 장애인 임용 [6] ㅇㅇ(1.229) 18.10.22 1488 1
2237 작년 강원도 보신분들 교육학 채점 어땟음? [2] 라스뿜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21 568 0
2236 미래가암울하다 ㅇㅇ(58.140) 18.10.21 204 1
2235 요즘 인기시험 [1] 따먹기(27.117) 18.10.20 368 0
2233 졸업논문 써야하는데여 마감직전에 교수님한테 내도댈가여 [1] ㅇㅇ(110.70) 18.10.19 210 1
2230 님들 교육평가에서 통계파트 안나오겟져? [6] ㅇㅇ(110.70) 18.10.18 540 0
2229 사회교과군 임고 합격 난이도가 어느순임? [1] ㅇㅇ(223.38) 18.10.18 1179 0
2226 핵톡 올해 좀 바뀜? [2] ㅇㅇ(218.149) 18.10.17 484 0
2224 교육학 ㄹㅇ 미지의 영역 [14] ㅇㅇ(110.70) 18.10.17 1621 0
2223 교육학 과락피하는게 목푠데 [5] ㅇㅇ(1.212) 18.10.17 1158 0
2222 티오 내년도 올해 비슷할까? ㅇㅇ(223.62) 18.10.16 261 0
2221 형들 제가 교사가되고싶은데 [6] ㅇㅇ(175.223) 18.10.15 708 0
2220 다른 교과들은 과학고 교육과정(전문교과) 외움? [1] 라스뿜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15 361 0
2219 지금이라도 임용 때려치고 계약직 들어가서 연차 쌓는게 나을까 ㅇㅇ(175.223) 18.10.14 356 2
2218 교대가서 중등교사 되려면 [5] ㅇㅇ(121.169) 18.10.14 715 0
2217 좆방대애들은 서울못올라오게 해야되는거 아니냐 [1] 111(210.121) 18.10.13 415 0
2215 경기 면접 난이도 어떰?? [5] qwr2764(110.70) 18.10.12 742 0
2214 도대체 영양 왜 욕해?? [9] ㅇㅇ(223.63) 18.10.12 1097 1
2213 혹시 면접관 자격이 어떻게 되나? ㅇㅇ(112.169) 18.10.12 196 0
2212 임용공부 중 흡연 vs 금연 [3] 금연(175.114) 18.10.12 648 0
2211 왜 임용고시라고 하냐? [3] ㅇㅇ(110.70) 18.10.12 640 0
2209 교육학 날먹이면 좋은거냐? [2] ㅇㅇ(110.70) 18.10.11 434 0
2208 진티오 어디서봐요? 서울만 나왔나요? [3] ㅇㅇ(218.149) 18.10.11 384 0
2207 서울 진티오 ㅇㅇ(121.143) 18.10.11 539 0
2206 지금 여기저기 진티오기사뜨는데 [3] ㅇㅇ(175.223) 18.10.11 405 1
2205 아 걍 식품영양과 가서 교직이수나 할껄ㅠㅠ [1] ㅇㅇ(110.70) 18.10.11 1306 16
2204 님덜 서울 티오뜬거봤어여? [1] ㅇㅇ(175.223) 18.10.11 405 1
2203 지금 이론강의 10일짜리 듣는게 맞을까 [1] ㅇㅇ(223.38) 18.10.11 214 0
2202 인생 날로먹고싶으면 교사가 답이냐? [13] 카피닌자카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10 833 0
2201 교육학 책 뭐봄? [1] ㅇㅇ(110.70) 18.10.10 462 0
2200 교대 19학번은 임용 답 없나요? [6] alla(59.9) 18.10.10 1014 0
2199 님덜 초우량이랑 변혁적이랑 몬차이에여 [3] ㅇㅇ(175.223) 18.10.10 316 0
2198 올해 교육학 행정파트에서 뭐나올까 [4] ㅇㅇ(223.62) 18.10.09 485 0
2195 중등임용과목 음악은 어떠냐 [13] ㅇㅇ(110.70) 18.10.07 177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