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1/3
- 한국史 인물열전 [이징옥] 사랑은다이아
- 호주 여기저기 다니면서 돌아다녔던 오락실 정리해봄(리겜위주) 펜스피너Sound
- 유재석도 못당하는 이성미 매운맛 드립 oo
- 의외로 호감인 남자아이돌 ㅇㅇ
- WBC 사건 김광현 & 이용찬 공개사과.jpg ㅇㅇ
3줄,장문)Stay Alive에 대한 재밌는견해(feat.AI 저작권)
디제이맥스 시리즈 최초로 AI 드로잉을 채용한 NieN의 Stay Alive. 방송에서 제작진들의 ai의 사용에 대해 소명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림 도용이라는 해프닝이 붙여진 BGA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AI 시장이 급진적으로 발달해 이에 따른 악영향(ㄹㅇㅇㅋ, ㄴㅇㅂㅇㅌ)도 무시 못할 수준으로 불어난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꺼라위키의 각주에서 미국 저작권법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Stay Alive또한 디맥과 네오위즈의 저작물로 인정될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에 대해 좀 더 찾아봄. 우선 꺼라위키에 정리된 미국 저작권법 가이드라인 - AI 저작물이 저작권 보호을 받는 예는 다음과 같다. 인간 예술가는 AI를 사용하여 그림에 대한 여러 스타일을 생성하지만 예술가는 이러한 스타일의 요소를 선택, 수정 및 결합하여 최종적이고 고유한 작품을 만듭니다. 인간 아티스트는 AI를 사용하여 추상 패턴을 생성하지만 아티스트는 이러한 패턴을 수동으로 선택, 재배치 및 수정하여 고유한 디지털 콜라주를 생성합니다. 아티스트는 AI에 특정 입력 매개변수(예: 색상 팔레트, 주제)를 제공하고 AI 생성 출력을 추가 수동 조정 및 추가를 위한 기반으로 사용하여 독특한 최종 작품을 생성합니다. 해당 내용을 정리하자면, 비록 AI로 창작한 작품이더라도 이를 그대로 쓰지않고 하나의 도구로 사용하여 인간이 직접 수정 및 이펙팅을 하면 이 역시 저작물로 인정되어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다는 것이다. 비단 꺼라위키가 아니라, 실제로 미국 저작권청에서 AI를 날것으로 쓰면 저작권 인정이 안되지만, 이에 인간의 창의성이라는 적절한 소명이 이루어지면 AI그림이더라도 저작물로 인정이 된다는 판례가 존재한다. 국내 법무법인의 변호사도 'AI그림을 토대로 새로이 만들어진 별개 저작물은 저작권이 인정된다'라고 밝힌적이 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번 익텐4 방송에서 덤핑라이프와 벡따거가 밝힌 BGA 비하인드를 읽어보면 "SB_ENGINEER님이 Stay Alive 노래를 듣자마자 인공지능을 주제로한 호러무비를 주제로 생각하시고 하셨는데...." "...이 AI드로윙에 대해서 뭔가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생각하는거보다도 저희가 이거를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나 이런 "툴"로써 저희가 활용할수있는 방법을 고민을해본거예요."(덤핑라이프) "근데 저는 AI, 원화나 영상? 혹은 음악이나 몇가지들이 AI를 많이 시도하고있는데,(중략)원하는 메세지가 있고 그걸 툴로 활용함에 있어서 어떤 긍정적인게 있다면 저는 할수있다고 생각해요."(벡따거) 제작진들과 SB가 이번 Stay Alive에 대해 작품의 주제, 그리고 도구라는 측면에서 AI그림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음악에 맞게 그림 재배치와 타이포그래피 및 반전 효과 등등을 넣어 직접 제작한것으로 볼때 'AI로 창작한 작품이더라도 이를 그대로 쓰지않고 하나의 도구로 사용하여 인간이 직접 수정 및 이펙팅을 하면 이 역시 저작물로 인정되어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다는 것이다'라는 가이드 라인에 충족되기 때문에 Stay Alive의 BGA는 누구의 그림도 표절하지 않는 온전한 네오위즈의 저작물로 인정 받을수 있다. 3줄요약) 1) AI를 그대로 쓰지않고 인간의 노력이 들어가면 이를 저작물로 인정받을수 있다 by 미국 저작권법 2) Stay Alive는 이를 모두 충족한다 3) 디맥은 안전합니다 여러분
작성자 : EZ2MAX고정닉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