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인강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인강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속보)흉기 전기차 또 불났다[영상] 개자석
- 훌쩍훌쩍 한국을 구했지만 한국인들은 잘 모르는 부대 ㅩㄺ
- 영화 속 위스키들 BarHideout
- 단식 종료 기념으로 산 책이 왔기 ㅇㅇ
- 펌] 미국내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을 반대하는 이유 Газпром_1989
- 네 약혼녀는 용 2 호주박
- 살인교사 1 (스압) ㅈㅎㄷ
- 싱글벙글 명절에 관련된 잡다한 지식 사데용
- 이재명이 쓴 대역전 드라마와 그가 얻은 것들 고닉팠
- 文 정부 KOICA 이사의 매관매직… 관련자 무더기 징계 ㅇㅇ
- 냉혹한 미국 청소년들...약탈의 세계..gif 인터네코
- 이재명에게서 노무현을 본다는 클리앙 박제사
- 오싹오싹 집념의 전복 세척 레전드..jpg ㅇㅇ
- 뇌절뇌절 라노벨 파워인플레 보이는여고생
- 냉혹한...음주운전 3번이나 하고도...또 벌금형의 세계..jpg 인터네코
한국건축의 이해 - 3부 [목조건축 각론 II]
[시리즈] 한국건축의 이해 · 한국건축의 이해 - 1부 [목조건축 개론] · 한국건축의 이해 - 2부 [목조건축 각론 I] · 한국건축의 이해 - 3부 [목조건축 각론 II] 3부에서는 목조건축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공포와 가구를 다룰 것임. 가구를 먼저 다룬 뒤 공포를 설명하겠음. 참고로 도면 사진이 많은데 확대해서 편집하면 화질이 깨지는거 같아서 그냥 원본으로 올렸음. 누르면 확대되니깐 글씨 안보이면 눌러서 보셈. [통영 세병관 종단면도. 도면 : 문화재청] [(통영 세병관) 대량, 중량, 종량의 개념. 사진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대량, 중량, 종량은 이미 1부에서 설명했으니 위 사진으로 대체하겠음. [서울 경복궁 근정전 행각 합량] 맞보란 형태상 대들보와 유사하나 정중앙에서 둘로 나눈 보를 말함. 일반적인 건축물에서는 공간 확보를 위해 하나의 보로 연결하지만, 문(門)이나 회랑 등 대칭적이고 공간확보가 굳이 필요하지 않은 건축물에서 이용됨. 한문으로는 합량(合樑)이라고 함. [툇보 개념도.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툇보, 한문으로 퇴량(退樑)이란 기본적으로 내고주에서 외주(外柱)를 연결한 보임. 툇보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뉨. 위 그림의 툇보가 그 중 간단한 것으로, 고주가 후방에만 배치되어 합량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나는 구조로 볼 수 있음. [서울 종친부 경근당 퇴량(上), 밀양 영남루 퇴량(下)] 또 다른 종류는 내진고주와 외진주를 연결한 툇보임. 영남루 퇴량의 경우와 같이 외주와 내진주 사이의 퇴칸에 설치되어 높이차가 생기는 것이 특징임. 이는 내진과 외진의 구분이 명확한 고전적 건축양식에서 드러나는데, 아래의 이량에 대한 설명에서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임. [구례 화엄사 각황전 이량] 귓보란 추녀를 받치기 위해 귓기둥에서 45°로 빠져나온 보를 말함. 위 사진과 같이 모서리에 비스듬하게 걸쳐 있음. 한문으로는 이량(耳梁)이라고 함. 추녀선을 따라 걸리기 때문에 추녀마루가 없는 맞배지붕에서는 확인할 수 없음.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앙시도. 도면 : 문화재청] 귓보는 기본적으로 내진의 귓기둥과 외진의 귓기둥을 연결하며 나타남. 따라서 내진과 외진이 구분되는 고전적 형식의 건물에서 확인할 수 있음. 위 부석사 무량수전을 보면 가운데 8개의 내진고주가 서 있고, 각 고주에서 평주로 12개의 툇보가 연결되어 있음. 그리고 모서리에 내진의 귓기둥과 외진의 귓기둥을 45°로 연결한 것이 바로 귓보임. (붉은색 선 표시)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앙시도. 도면 : 문화재청] 모임지붕에서도 귓보가 나타남. 이 경우 또한 처마선을 따라 외진과 내진의 귓기둥을 연결함. 4개의 내진주에서 각각 퇴량 둘, 이량 하나가 외진주에 연결되어 있음. [서울 숭례문 상층 앙시도. 도면 : 문화재청] 다만 숭례문의 경우와 같이 내진과 외진의 구분이 없는 측면 2칸의 건물에서도 이량이 걸릴 수 있음. 숭례문은 우진각지붕이라 추녀선을 따라 두 이량이 만나는 형태가 되었음. [구례 화엄사 각황전 횡단면도 및 배면도. 도면 : 문화재청] 이량은 중층건물에서도 중요한 요소임. 위의 화엄사 각황전 도면을 보면 하층의 내진고주 다섯은 그대어 상층까지 올라가 역시 내진주의 역할을 하고 있음. 그러나 외진주의 경우 하층에서 끊기고 툇보 위에 상층의 외진주가 올려져 있음. 이 경우 모서리에서는 이를 받칠 툇보가 없어 귓보가 상층 외진의 귓기둥을 받쳐야 함.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이나 부여 무량사 극락전의 경우에는 하층 내진고주가 그대로 상층까지 올라가 상층 외진주가 되기도 함. 이런 경우에는 이량이 필요하지 않음. [보은 법주사 팔상전 1층 앙시도. 도면 : 문화재청] 이 귓보만으로 상층 기둥의 하중을 견디기 어려운 경우, 귓기둥과 인접한 두 평주를 연결한 보를 설치함. 이를 귀접이보 혹은 귀잡이보라고 하는데, 위 그림에서 귓보와 수직으로 나 있는 또 다른 보가 바로 그것임. [부산 동래향교 반화루 충량] 충량(衝樑)이란 측면 평주에서 대들보에 수직으로 연결된 부재를 말함. 조선 초기 이전 고전적 건축양식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후부터 주로 사용되었음. 팔작지붕이나 우진각지붕과 같이 측면에도 지붕면이 있는 건물을 지을 때에는 측면 지붕의 서까래를 받치기 위한 도리가 전후 방향으로 걸려야 함. 따라서 이 도리를 고정시킬 부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충량임. [나주 불회사 대웅전 충량. 용머리가 달린 것이 충량이고, 용머리 아래로 충량을 받치는 것이 대들보임. 사진 : 문화재청] 충량은 대들보와 마찬가지로 평주 위에 올라가기에 높이가 같음. 하지만 충량이 대들보 위로 올라가야 하기에 대들보 방향의 높이가 더 높음. 따라서 굽은 목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음. [나주 불회사 대웅전 횡단면도와 앙시도. 도면 : 문화재청] 위 횡단면도를 보면 충량(붉은 원) 우측 아래로 대들보(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가 받치고 있음. 또 충량 중간에 세워진 작은 기둥(동자주)가 위의 도리와 연결되어 측면 지붕을 받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아래의 앙시도에는 2개의 충량(붉은 원)이 세로 방향의 대들보에 걸려 있는 모습이 보임. [안동 봉정사 대웅전 앙시도와 횡단면도. 도면 : 문화재청] 봉정사 대웅전은 여말선초 건축물로, 충량이 나타나기 이전의 고식 건축양식이 드러남. 위 앙시도를 보면 충량이 아니라 도리 위에 측면 도리를 얹어 충량을 대체하였음. 내진과 외진의 구분이 없는 건축은 충량이 등장하기 전까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됨. [순천 선암사 대웅전 충량] 충량은 굽은 목재를 사용하기에 장식적인 건축이 유행한 조선 후기 건축과 맞물려 충량에 많은 조각을 새겼음. 위 선암사 대웅전의 예와 같이 용을 조각한 경우가 대다수임. [예산 수덕사 대웅전의 우미량과 단퇴량] 이외에도 보의 종류 중에는 우미량(牛尾樑)과 단퇴량(短退樑)이 있음. 우미량은 소 꼬리 모양의 목재로 인접한 두 도리를 연결하며, 단퇴량은 퇴량보다 짧은 보로 이로 인해 도리가 하나 더 생김. 이 두 구조는 고려시대 건축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으로, (아마도) 5부 [목조건축의 역사]에서 설명하겠음. [서울 삼청동 민가. 종도리와 주심도리만 있는 삼량가임.]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 종도리, 중도리, 주심도리가 있는 오량가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종도리, 중상도리, 중하도리, 주심도리가 있는 칠량가임.] [예산 수덕사 대웅전. 종도리, 중상도리, 중도리, 중하도리, 주심도리가 있는 구량가임.] 이 도리의 개수에 따라 불리는 명칭이 다름. 출목도리를 제외한 도리의 총 개수를 n개라 하면 n량가라고 함. 위 사진들을 비교해 보며 확인해보기 바람. [서울 경복궁 경회루 종단면도. 도면 : 문화재청] 도리가 늘어나도 거의 항상 구량가를 넘지는 않음. 예외적으로 위 경회루의 경우처럼 거대한 규모의 건물에서는 십일량가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이는 몹시 특수한 사례임. 고려시대 건축물에서는 단퇴량과 우미량의 사용으로 도리의 개수가 많았으나, 조선시대에는 가구구조가 간소화되면서 전반적으로 도리의 수가 줄어드는 양상이 나타났음. [장혀 개념도.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장혀(長舌)란 도리 바로 밑에 있는 받침대와 같은 목재로, 단면이 도리보다 좁은 직사각형임. 이후 공포를 설명할 때 나오겠지만 도리 아래에서는 주로 소로라는 부재가 결합함. 소로에는 홈이 있어 위와 아래의 목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리는 폭이 넓기에 좀 더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장혀를 통해 하중이 전달되어야 함. 아래 사진을 보면 공포 좌측 끝의 U자형 부재가 방형의 장혀와 결합되어 있고, 그 위에 둥근 도리가 붙어 있음. [영주 부석사 조사당. 공포의 소로가 출목도리 아래 장혀에 연결되어 있음.] 창방은 기둥머리에서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임. 도리, 장혀와 방향이 같지만, 도리와 장혀는 공포 위에, 창방은 공포 아래 위치한다는 점이 다름. 위 사진에서 기둥머리에서 좌우로 가로지르는 부재가 바로 창방임.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上), 울진 불영사 응진전(下)] 다포식 건물의 주간포(기둥과 기둥 사이에 들어가는 공포)가 창방 위로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창방만으로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운 경우 평방까지 이용함. 위 참당암 대웅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창방은 주로 세로로 길며 모서리가 둥근 형태이고, 평방은 주로 가로로 긴 각진 직사각형 형태임. 앞선 부석사 조사당 사진에서는 가로지르는 부재가 하나라면, 위의 두 사진에서는 약간 둥근 형태의 창방 위에 각진 평방이 올라가 있는 모습이 확인됨. [창방과 평방의 개념.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창방뺄목과 평방뺄목의 개념. 사진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창방과 평방은 기둥 위를 따라 계속 이어지다가 귓기둥 위에서 끊김. 이 때 귓기둥 바로 위에서 끊기는 것이 아니라 약간 튀어나와서 끊기는데, 이것을 뺄목이라고 함. 통상 창방뺄목에는 운문(구름무늬)이나 동물 조각 등을 새김. [동자주의 개념. 사진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자주란 2부에서 말했듯 가구 위에 올라간 기둥임. 동자주는 보 위에 올라가 상위 보와 도리를 지탱하며, 동자주 위에서 보와 도리가 직교하며 교차함. 위 사진과 같이 아래쪽 보에 동자주를 세워 작은 보가 올라감으로써 지붕의 틀이 갖춰짐. 동자주는 기둥이지만, 워낙 짧다 보니 기둥의 형태가 아닌 경우가 더 많음. 위 사진과 같이 통상적 기둥의 형태를 한 동자주를 동자형동자주라고 하며, 화반동자주, 복화반형동자주, 포동자주 등 종류가 다양함. [영주 부석사 조사당의 포동자주(上), 안동 봉정사 극락전 복화반형 동자주(下)] 한편, 종도리를 받치는 부재는 동자주가 아닌 대공(臺工)이라고 함. 대공 또한 동자주와 마찬가지로 형태가 다양함. [대공의 개념.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대공의 종류.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대공 좌우에는 종도리가 굴러다니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人자형 부재가 있는데, 이것을 솟을합장이라고 함. [영주 부석사 조사당의 포동자주와 사다리형대공, 솟을합장(上),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파련대공과 솟을합장(下)] 3부에서는 본래 공포까지 다루려고 했으나, 내용이 과중해지는 것 같아 4부로 미룸. 추석 기간이니만큼 관심이 있다면 시간 내어 찬찬히 읽어 보았으면 함. - dc official App
작성자 : BABO고정닉
싱글벙글 남초에서 퍼지는 어떤 바이럴에 대한 소고
저번에 실베 게이 관련 자료주작 글을 썼던 싱붕이다. https://m.dcinside.com/board/singlebungle1472/887018 그때는 실베 글만 보고 말았는데 문득 내용 중에 개드립닷컴 글이 생각나 원본 페이지를 찾아봤다. 그런데 댓글 반응이 예사롭지 않아 더 찾아보게 됐다 캡쳐랑 설명때문에 글이 많이 길어져서 요약만 보고 싶으면 맨 밑으로 가는 걸 추천 그래서 글쓴이의 닉네임으로 쓴글을 검색해 보았더니... 3개만 빼고 죄다 그쪽 관련 글들(노란색 마킹)만 나왔다ㅋㅋㅋ 중간에 닉네임이 바뀐걸 기억해두자 제목으로 검색하니 여러 커뮤에 퍼져 있다 클리앙 글을 봤더니 이미 테라포밍이 꽤 유명한듯 역시 누가 저격하는 댓글을 남겼다 밑에 2개 링크를 클릭해봤다 딱 2개 올렸는데 모두 그쪽 글이다. 펨코는 다른 주제 글도 있지만 그쪽 관련 글도 상당히 올라와있고 싱벙갤이나 실베에서 봤던 글도 보인다 그리고 '알파남' '성생활' 이런말을 잘쓰는게 뭔가 익숙하다 이 닉네임이 쓴 댓글 중 하나 ??? 아까 개드립에서 봤던 닉네임이 떠오른다 참고로 이 댓글은 한국 성관념이 미국화 된다는 글에 달렸는데 그 이유가 구글 검색량이 보추, 트젠은 상승하고 여자는 하락해서ㅋㅋㅋㅋ 당연히 비추만 먹음 그리고 단순 빠는 수준이 아니라 아예 그쪽에 대해 상당히 관심이 많아보인다 그런데 이 작성자가 쓴 글에 이상한 점이 많았다 https://m.fmkorea.com/5921371253 지금 심각하다는 미국 z세대 성생활 근황...jpg남자 양성애자 비율이 4명중에 1명꼴이라함무려 cdc ( 보건청) 라는 미국 공식 단체와 , 가장 크다는 통계회사 갤럽 조사로 교차검증된 자료이에 lgbt가 너무 힙하고 멋있게 포장되는거 아니냐는 우려, 거기에 유행에 취약한 z세대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거다라는 방증이다. vs 과거는 더 높았으며 한때 왼손잡이가 박해받다가 허용되자 왼손잡이들과 떡상한거랑 같은 궤다.시...m.fmkorea.com 저 글에서 이렇게 썼는데, 이에 대한 근거는 없으며 오히려 첨부한 기사에서는 z세대 중 남녀 모두 포함한 성소수자 비율이 cdc와 갤럽 조사에서 각각 26%, 20%였고, 양성애자는 11%, 13%였다. 전체 성소수자 비율을 남자 양성애자의 비율로 바꾸는게 저번에 본 실베글과 패턴이 똑같다. https://m.fmkorea.com/5895598124 ㅇㅎ) 재평가중인 알파메일 성생활 근황...jpgㅇㅎ) 재평가중인 알파메일 성생활 근황...jpgm.fmkorea.com 또 다른 글 (참고로 저 글에서 올라오는 소위 알파메일들이라는 사진들은 실베나 개드립 글과도 많이 겹친다. 이게 뭘 의미할까?) 개드립 펨코 싱벙갤 실베를 순회하는 패턴답게 이 글도 싱벙갤에 올라왔는데 누가 이런 댓글을 남김 찾아보니 진짜로 카일리제너는 타이가와 아이를 임신한적도 없었다ㅋㅋㅋ 심지어 두번째 일은 아예 카일리와 헤어진지 한참 후에 일어났고 타이가는 저 두 스캔들 모두 부정함 두번째는 뮤비 촬영용으로 저 트랜스젠더에게 dm한 컨셉이었다고 해명했고 저 트젠도 뮤비 출연자들이랑 엮인 적 없고 어그로였다고 인정함 그리고 트위터는 타이가의 전부인 블랙차이나가 작성했는데 해킹이었다고 해명함; 전부인은 카일리랑 사귀는 줄도 모르고 집에서 쫓겨났다고 하니 사이가 안좋은 것도 맞고 ㅇㅇ... 다음 나오미 왓츠 아들에 대한 글 이것도 여자처럼 하고 다니는 건 맞아서 트젠 아니냐는 말이 나오는건 맞지만 공식적으로 정체성을 밝힌적은 없고 호르몬 이런 얘기도 더더욱 없음ㅋㅋㅋㅋ(일단 08년생이라 너무 어림) 이 사람도 수술했는데 갑자기 뗀걸 다시 달아줌ㅋㅋㅋㅋ 왜 이렇게 내용을 조금씩 주작하는지 이해가 안감 그리고 구글링하다 발견한 사실이 이런 류의 글들이 거의 대부분 일베의 특정 고닉이 쓴 글로부터 파생되는 흐름을 보인다는 것이다. 마지막 말이 의미심장하다 아무튼 이렇게 일베에서 먼저 올라오면 개드립이나 펨코 싱벙갤 (혹은 빌보ㄷ갤)등으로 퍼지는 패턴을 보인다. 그리고 디시로 유입되면 실베에 올라가는 식이고. 이 고닉의 작성목록을 보니까 개드립에서처럼 이런 글만 올리는 건 아니었고 레벨을 보면 알겠지만 하루에 몇십개씩 글을 올리는 헤비업로더였음 이 글은 개드립이 먼저인것 같음 재밌는건 캡쳐 시간을 보면 개드립에서 글이 올라온지 얼마 되지 않아 다른 사이트에 퍼졌단 거임 일베 헤비업로더와 다른 사이트로 퍼가는 유저들은 서로 어떤 관계인지 의문 그리고 다른데로 퍼가는 유저들은 일정 기간동안만 활동한다는 특성을 보이는데 아무래도 행적이 기억돼서 저격당할까봐 주기적으로 아이디를 바꾸는게 아닐까 싶음 이미 다른 닉네임으로 열심히 바이럴하고 있을듯 마지막으로 하나 더 싱벙갤에 올라와서 실베 루트를 타는 경우도 작성자 아이디가 다 비슷했다. 동일인물이 거의 확실하다. * 간단하게 요약해라 남초 중심으로 돌면서 성소수자 관련 글만 올리는 집단이 있다 팩트만 올리는게 아니라 세부 수치를 교묘(?)히 바꾸거나, 한쪽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생겨난 루머를 가져와 요새 서양에서는 동성애가 대세다, 알파메일들은 남자랑도 잔다, 트젠이 여자보다 예뻐서 더 인기다 이런 프로파간다를 열심히 주장하고 싶어하는 듯 보인다 실제는 별로 그렇지 않은데 어디서 난리났다, 뒤집어졌다 이런 호들갑 떠는 표현도 잘 쓰더라 각 사이트에서 올리는 글 주제나 사진이 겹치는 걸 봤을때 동일인물이 커뮤 돌아다니면서 올리는 경우도 많아 보이고 글이 작성된 날짜를 보면 주로 일베 모 헤비업로더를 중심으로 글이 퍼지는 모양새를 많이 보임 알파남, 보추, 성생활 이런 말을 즐겨쓴다 이미 이런 바이럴을 인지하고 피곤해하는 유저들도 많이 보임 그와중에 굳이 수술한 트젠도 비수술로 주작한다던지 자꾸 전체 성소수자 비율을 바이남성 비율로 바꾼다던지 바이남성과 알파메일을 엮어서 글을 자주 쓰는 걸 보면 둘을 열정적으로 엮어주고 싶어하는 듯 이제 베트남론은 끝나고 게이론 트젠론 바이럴의 시작? 뭐 사실 커뮤 글 주작 많은게 하루이틀도 아니긴 함 이 글도 길어졌는데 결론은 커뮤글 곧이곧대로 믿지말고 어디서 몰려와서 바이럴하는 애들 많다는걸 잘 느꼈다 팩트가 궁금하면 그냥 알아서 원문으로 검색하는 걸 추천 그리고 추석 잘 보내라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