쉘 프로그램에서 입력을 처리 하는 방법으로는 파일에 있는 자료는 파일이름을 인자로 해서 처리할수 있고, 표준입력이나 내부 자료도 입력이 가능하다.
read명령은 사용자의 표준 입력을 받아들여 변수에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C의 scanf나 getchar와 유사.
read 변수이름 으로 사용할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열을 입력하는것을 기다리고 입력후 엔터를 치게되면 그 값을 변수에 저장한다.
exec < $1은 표준입력을 파일로 재지향 시킨다. 인자를 파일이름으로 주면 read 변수이름의 변수값에 파일의 내용이 표준입력으로 쓰이게 된다.
here자료는 쉘 스크립트를 입력으로 하여 쉘 명령어에게 전달하는 특별한 입력 방식이다.
명령어 << 구분자
here 자료문
구분자
형식이며 here 자료는 구분자가 나올때 까지의 자료를 말한다.
grep $1 <<EOF
kim 90
yu 100
choi 89
EOF
으로 작성하고 인자로 yu를 입력했다면 yu 100이 출력되게 된다.
진심 엎드려서 하려니까 모가지가 뿌러질거같다. 좀 편하게 하려고 했는데 더불편함.
쉘 종료는 exit 명령어로 할수있는데 인자로 1~255의 값을 가지고 인자값을 반환하여 종료상태로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쉘 프로그래밍에서 종료 상태 0은 성공 1~255는 오류코드를 나타낸다.
이전 쉘 명령의 종료상태는 쉘 변수 "$?"을 참조함으로써 알 수 있다.
echo OK 의 $?는 0
echoo OK의 반환은 1~255
exit 100의 반환은 100
bourne 쉘은 산술 연산 기능을 내장하지 않아 expr이라는 외부 명령을 통해 연산식을 사용한다.
expr은 산술 연산 외에도 문자열 비교나 부문자열(문자열 일부)을 추출하는 연산을 가지고 있다.
+,-,*,/,%
=,!=,<,<=,>,>=
&,|
match 일치하는 부문자열 길이 반환
substr 부문자열 추출
index 부문자열의 위치를 반환
length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
a=1
a='expr $a+1'
echo $a
이면 2가 출력되는 식으로 사용한다.
bash 쉘은 expr 명령 대신 let이나 "(())"을 사용하면 쉽게 산술 연산이 가능하다. 또한 **,++,+=,-=,/=,*=,>>,<<,&=,|=,!,^,^=등도 가능하다.
문자열 연산은 =,!=,-n,-z가 있고 같으면 참, 같지않으면 참, null이 아니면 참, null이면 참의 값을 반환하고
산술연산은 -eq, -ne, -gt, -lt, -le, !,가 있고 수식이 같으면참, 수식이 같지 않으면 참, 수식1이 수식2보다 크면 참, 수식1이 수식2보다 크거나 같으면 참, 수식1이 수식2보다 작으면 참, 수식1이 수식2보다 작거나 같으면 참, 수식1이 거짓이면 참의 값을 반환한다.
파일 연산은"[]"구문을 사용하는데 -r, -w, -x, -f, -d가있고 파일이 존재하고 읽기 가능하면 참, 파일이 존재하고 쓸수 있으면 참, 파일이 존재하고 실행 가능하면 참, 파일이 일반 파일이면 참, 파일이 디렉토리이면 참의 값을 반환한다.
책에는 표로 깔끔하게 나와서 알아보기 쉬운데 적어놓으니 알아보기가 힘들다. 표만드는 태그라도 배워놓던가 해야겠다.
참이면 0, 거짓이면 1의 반환값을 갖는다.
쉘또한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와 마찬가지로 제어문을 갖는다.
if, then, elif, else 구문을 가지며
if 조건문
then
실행문
[elif 조건식
then 실행문]
[else
실행문]
fi
의 구조를 갖는다
then은 조건문의 결과가 참인경우 실행할 실행문을 갖고 elif는 추가로 검사를 확장한다. else는 조건문들이 만족하지 않을때 실행하게 된다.
for구문은 반복문으로
for 인자 in 리스트
do
실행문
done
의 구조를 갖는다
리스트는 문자열의 집합, 파일 목록이 올수있고, 단순히 프로그램에 나열될 수도 있다.
for문은 반복하려는 횟수만큼 리스트를 만들어서 사용해야한다.
for day in mon tues wednes thurs fri
do
echo "$day{day} is a weekday."
done
같은 형식으로 사용
bash에서는 C언어의 for문처럼 "(())"을 사용해서 특정 조건이 만족될때 계속 반복가능하게 개정됬다.
LIMIT=10
for((a=1;a<=LIMIT;a++))
do
((sum+=a))
done
같은 형식으로 사용
while [조건식]
do
실행문
done
-------------------------
until [조건식]
do
실행문
done
------------------------
case 변수 in
조건)
실행문;;
조건)
실행문;;
..
esac
같은 구조들로 for문대신 반복실행문을 만들수도있고 C의 switch 문과 비슷한 case문도 만들수 있다. until은 while문과 반대로 조건문이 거짓일때 동작한다.
break로 반복문을 빠져 나갈수도 있고 continue로 반복문의 처음으로 돌아갈수도 있다.
bourne 쉘과 달리 bash 쉘은 함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모듈화해서 구성할수있으며, 쉘 스크립트 자체가 이미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므로 실행 속도가 빠른편이다.
function 함수이름
{
명령어들
}
함수이름()
{
명령어들
}
의 구조를 갖는다.
함수 내부의 지역변수는 local var과 같이 표현할수 있고 return을 인자값으로 저장하여 종료상태를 확인할수있다.
쉘 스크립트이 디버깅은 echo 명령을 삽입해서 변수 값을 출력해보거나 tee명령으로 수행결과를 파일로 저장해서 확인할수있고, assert명령으로 특정 조건을 검사해볼수도 있다.
set 명령으로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확인할수도있다.
set명령어의 옵션은 -n, -v, -x, -u가 있고 순서데로 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고 문법 에러만을검사, 명령어를 실행하기 전에 명령어를 출력, 명령어의 결과를 간단하게 출력, 정의 되지 않은 변수를 만나면 에러를 발생과 같은 내용을 갖는다.
set -xv를 스크립트에 추가하게 되면 명령어와 실행결과 출력되는 과정을 확인할수 있다.
어영부영 쉘스크립트도 했고 낼부터는 GCC를 이용해서 C를 만들어 보려그 하긔 > _ <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