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성주 레이더가 北미사일 보면, 평택서 쏜다… 사드의 진화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3.17 14:34:13
조회 1542 추천 12 댓글 16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이 지난 10일 미 의회 청문회에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성능개량을 사실상 언급함에 따라 주한미군에 배치돼 있는 사드 성능이 어느정도 향상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한미군 등 미군이 추진중인 사드 성능개량은 3단계로 구성돼 있다. 1)사드 발사대의 원격 조종(발사) 2)사드 레이더를 이용한 패트리엇 미사일 원격 발사 3)사드 레이더를 통한 사드 미사일 및 패트리엇 미사일 발사대 통합 운용으로 이뤄진다. 그 1단계로 미국이 지난 2019년8월 태평양에서 실시한 첫 ‘사드 원격발사’ 영상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 주한미군사령관, 올해 내 주한미군 사드 3단계 성능개량 강력 시사

당시 주한미군 사드 운용부대 관계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태평양 마셜제도 서쪽에 있는 콰절라인 환초 미사일 실험장에서 처음으로 사드 미사일 발사대의 LOR(Launch-On-Remote), 즉 원격발사 시험이 성공적으로 실시됐다. 당시 미 국방부는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사드 미사일 발사 장면 영상과 사드 미사일이 표적에 명중하는 장면을 찍은 적외선 영상 등을 공개했다.



미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미사일 시험발사 장면. 최대 사거리 200km,  최대 요격고도 150km로 주한미군 성주기지에 1개 포대(발사대 6기, 미사일 48발 이상)가 배치돼 있다. /미 국방부

미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미사일 시험발사 장면. 최대 사거리 200km, 최대 요격고도 150km로 주한미군 성주기지에 1개 포대(발사대 6기, 미사일 48발 이상)가 배치돼 있다.<출처: 미 국방부>


‘FTT(Flight Test THAAD)-23’으로 알려진 당시 시험발사에서 원격 발사된 사드 미사일은 중거리 탄도 미사일 표적을 성공적으로 요격했다. 사드 미사일은 최대 사거리 200㎞, 최대 요격고도 150㎞로 최대 속도는 마하 8.2에 달한다. 중국이 강력 반발한 사드 레이더(AN/TPY-2)는 최대 600~800㎞ 떨어진 표적을 탐지,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다. 경북 성주 기지엔 1개 포대(발사대 6기, 미사일 48발 이상)가 배치돼 있다.

◇ 미, 2017년부터 사드 단계적 성능개량 추진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지난 10일 미 의회 청문회에서 공화당 소속인 마이클 터너 의원이 “북한의 위협에 직면해 있는데 미사일 방어 우선사항으로 무엇이 필요한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라고 묻자, 그는 “우리는 몇년 전부터 ‘연합긴급작전요구(JEON)’에 대한 의회의 지원을 받는 혜택을 누렸다”며 “MDA(미 미사일방어청)가 세가지 ‘특정한 역량’(specific capabilities)을 배치하는 과정에 있다”고 했다.

그는 “하나는 이미 여기(한국)에 있고, 다른 두 개는 올해 (주한미군에) 배치될 것”이라고 말해 다른 두 개가 새로운 미사일 방어 무기(미사일)가 아닌가 하는 관측도 나왔다. 하지만 주한미군과 우리 국방부 모두 “새로운 장비나 무기 배치가 아니다”라고 강력 부인해 사드 성능개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이 언급한 ‘연합긴급작전요구’는 지난 2017년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커지자 당시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사령관이 미 국방부 등에 긴급 건의, 의회 예산지원을 받아 추진돼왔다. 1단계는 사드 발사대의 원격 조종이다. 현재는 사드 발사대와 포대(레이더, 교전통제소 등)가 유선(광케이블)으로 연결돼 있어 500m 이상 떨어져 있기 어렵다. 하지만 이를 무선으로 연결하면 발사대가 포대와 수십㎞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성주 기지에서 대구 기지로 사드 발사대만 옮겨 놓은 뒤 원격으로 쏠 수 있게 된다.

◇ 사드 원격 발사로 평택.오산 기지, 수도권도 사드 방어 가능?

아직까지는 어렵지만 기술진보 속도를 감안하면 머지 않아 사드 발사대를 평택·오산 기지까지 이동시킨 뒤 성주에서 원격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성주기지와 평택기지는 150㎞ 가량 떨어져 있어 현재는 성주기지에서 사드 미사일로 평택기지까지 방어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평택·오산 기지까지 원격발사가 가능해지면 그동안 불가능했던 평택·오산기지, 수도권의 사드 방어가 실현될 수 있다.

현재 수도권이나 오산 기지 등에 배치된 패트리엇 PAC-3 미사일은 북 후방 지역에서 노동·북극성2형 등 중거리 미사일이 고각(高角) 발사돼 고속으로 낙하할 경우 요격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사드는 이들 미사일에 대한 요격이 가능하다.


패트리엇 미사일 최신형인 PAC-3 MSE 시험발사 장면.  최대 사거리 40km, 요격고도 30여km로 요격고도가 PAC-3 CRI형보다 높아졌지만 1발당 가격이 62억원에 달한다.  
주한미군에는 이미 배치돼 있고 우리 군도 올해부터 60여발을 도입한다. /미 록히드마틴

패트리엇 미사일 최신형인 PAC-3 MSE 시험발사 장면. 최대 사거리 40km, 요격고도 30여km로 요격고도가 PAC-3 CRI형보다 높아졌지만 1발당 가격이 62억원에 달한다. 주한미군에는 이미 배치돼 있고 우리 군도 올해부터 60여발을 도입한다.<출처: 미 록히드마틴>


2단계는 사드 레이더를 이용한 패트리엇 미사일 원격 발사다. 현재 사드 미사일은 사드 레이더로, 패트리엇 미사일은 패트리엇 레이더로 각각 유도된다. 성주 사드 레이더의 유효 탐지거리는 600~800㎞인 반면, 패트리엇 레이더는 최대 100~200여㎞에 불과하다. 그러나 패트리엇 미사일 체계가 사드 레이더를 활용하게 되면 북 미사일을 좀 더 멀리서 빨리 포착할 수 있어 요격 대응 시간을 벌게 된다.

◇ 1발에 48억~62억원 달하는 패트리엇 미사일 고가 논란

마지막 3단계는 사드 레이더를 통해 사드 미사일은 물론 패트리엇 미사일도 발사할 수 있도록 통합 운용하는 것이다. 통합 운용하면 고도 150㎞ 상층부터 20㎞ 이하 하층까지 사드와 패트리엇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된다.

특히 지난 2018년 이후 북한이 40~50㎞ 이하의 낮은 고도로 비행해 요격이 어려운 KN-23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과 600㎜급 초대형 방사포를 집중 개발함에 따라 2·3단계 성능개량 필요성이 시급해졌다. 지금은 북한이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과 초대형 방사포 등을 성주 사드기지를 향해 ‘섞어 쏘기’ 할 경우 속수무책으로 초토화될 수밖에 없다.






사드와 통합 운용될 주한미군 패트리엇 PAC-3 미사일은 CRI형과 MSE형 두가지가 있다. CRI형은 최대 사거리 30㎞, 최대 요격고도 20여㎞로 1발당 가격은 48억원에 달한다. 최신형인 MSE형은 최대 사거리 40㎞, 최대 요격고도 30여㎞로, CRI형에 비해 사거리와 요격고도 모두 향상됐다. 최근 이스칸데르와 같은 회피 기동을 하는 표적(미사일) 요격시험에도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1발당 가격이 62억원이나 돼 너무 비싸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 군도 패트리엇 PAC-3 CRI형 60여발을 보유하고 있고, 올해부터 MSE형 60여발도 도입할 예정이다. PAC-3 CRI형이나 MSE형 모두 가격이 너무 비싸 국산 요격미사일을 성능개량해 도입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산 요격미사일 천궁2는 최대 사거리 20㎞, 최대 요격고도 15㎞로 PAC-3 미사일 CRI형보다 성능이 다소 떨어지지만 1발당 가격은 약 20억원으로 훨씬 싸다. 천궁2는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중동국가들이 도입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http://bemil.chosun.com/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1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307 드론이 전투기에 공중 급유.. 인간·로봇 연합 '멈티 작전 시대' [1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5 1374 13
306 갑판 30%나 커진 현대중공업 3만톤급 한국형 경항모! [3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4 2177 7
305 덩케르크 철수 작전 때문에 탄생한 군함이 있다?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1 2023 13
304 2021년 6월의 전쟁 영웅, 백두산함을 만나다!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0 1660 24
303 스키점프대 적용한 한국형 경항모 모형 최초 공개! [9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9 2949 18
302 국산 K4 고속유탄기관총 역대급 총기 언박싱 첫 공개! [3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8 3094 8
301 英 항모와 함께 온다, 美 F-35B 스텔스기 4년만에 한국에 [1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7 2008 53
300 열대어 닮은 NASA 초대형 수송기의 엄청난 능력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4 1982 14
299 세계 최정상의 155밀리 자주포 PzH 2000의 급속사격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3 2311 9
298 가장 진보한 전투기 전자 광학 추적 시스템 F-35 전투기의 EOTS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2 604 3
297 AR과 네비게이션 기능까지 탑재된 첨단 야간투시경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1 2421 8
296 '궤도 이탈' 굴욕은 잊어다오.. 일본 최신형 전차의 '백발백중'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31 1019 6
295 전 세계가 놀란 최강의 수소폭탄 '차르 봄바'의 위력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8 4515 35
294 미국을 충격에 빠트린 F-117A 스텔스기 격추 사건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7 3294 19
293 소련 전투기의 충격적인 한국 민간 여객기 공격 사건들 [1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6 1631 13
292 ‘교도소보다 못하다’는 군 부실급식 5대 해법 (1) [7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5 3655 5
291 일본까지 달려온 프랑스 상륙함, 중국 앞에서 연합훈련 [10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3121 42
290 “순위 밀렸던 ‘아파치’를 왜 지금?” 모두 “내 것부터” 자군 이기주의 [2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1 3017 9
289 중고 탱크에서 28억 원 상당의 금괴 발견한 영국 밀덕 [6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0 4715 35
288 <밀리터리 시크릿> 북한 신형 방사포 위협과 아이언 돔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8 1794 15
287 중국군에 맞설 인도 경전차 사업...국산 K21-105가 도전장 [2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7 2352 6
286 단 두 대만 생산된 비운의 마하 3 슈퍼 폭격기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4 2492 7
285 “세계 최고 수준 미사일연구소로!” 국방과학연구소의 대변신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3 2082 6
284 천연고무로 러시아 최신예 전투기를 샀다고? [1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2313 13
283 차기 이지스함 요격미사일, SM-3 대신 SM-6 도입 적극 검토!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1623 11
282 공군 KF-16의 폭탄 투하시험, 미국까지 가서 한 이유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2730 6
281 사우나, 수영장 등 호텔 부럽지 않은 러시아 핵잠수함 내부 [2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7 4112 14
280 최고 존엄 앞에선 모두가 명배우 [3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6 3479 55
279 <밀리터리 시크릿> 인니 잠수함 침몰의 비극, 우리 잠수함은?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4 1455 8
278 발사 직후 바다에 풍덩… 러시아 최신형 미사일의 ‘굴욕’ [2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3 2421 13
277 러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실전에서 요격한 이스라엘 미사일 '바락 ER'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30 2199 14
276 공군 최정예 특수부대인 항공구조사의 실전적인 훈련 [1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9 2874 25
275 英 항모 전단, 中견제 위해 아시아로… 부산도 온다 [5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8 2363 50
274 여성징병제 실제로 도입될 수 있을까? [14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7 5188 38
273 美 해병대 레이저 공격에 드론이 불타다 빠지직… [2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6 2679 13
272 왜 미군은 군복 성조기를 거꾸로 달까? [4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3 6495 14
271 꺼꾸로 매달려서 사격하는 러시아 특수부대 [1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2 2784 9
270 개발에 48조 원 든 최신예 美 항공모함에 소변기가 없는 이유 [6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1 4972 8
269 <단독> 공군 F-15K 성능개량에 4조원이나 든다고? [46/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0 2464 11
268 색깔별 다른 항공모함 갑판 요원들의 임무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9 2084 14
267 건빵이 군대 전투식량이 된 이유 [18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6 4040 27
266 천조국 미국만이 보여줄 수 있는 공중지원기의 최대 순간 출격 훈련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5 2034 12
265 중동의 왕세자가 보고 반한 대한민국 특전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4 1043 4
264 94세 전직 공군총장까지 참석한 KF-21 출고식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3 2559 16
263 한국엔 못오는 美 랩터, 日 스텔스기와 첫 연합 훈련 [4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2 2868 31
262 6.25 때 맹활약한 美 해군 최후의 전함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9 2249 37
261 러시아 해군 최초 핵잠수함 3척 북극해 동시 부상 훈련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8 1799 5
260 20년만에 개발 성공한 KF-X, 요격 미사일 등 '독침무기' 장착한다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7 2426 17
259 총알보다 빠른 비행기? 세계에서 가장 빠른 항공기 TOP 10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6 2480 22
258 <단독> “현무-4 단 1발로 北 금수산태양궁전 완파 가능” [5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5 2879 2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