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군 미사일, 전쟁 사흘이면 동나… 우크라이나처럼 싸울 의지는 있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22 09:49:06
조회 4785 추천 18 댓글 117

지난 4월 14일 저녁 무렵 흑해에 있던 러시아 흑해함대의 기함(旗艦) 모스크바함을 향해 4발의 우크라이나 넵튠 지대함(地對艦) 순항미사일이 발사됐다. 미사일 중 두발은 모스크바함의 근접방공시스템에 요격됐지만 나머지 두 발은 탄약고 인근 등에 명중, 폭발을 일으켰다. 화염에 휩싸인 모스크바함은 이튿날 흑해 바닷속으로 사라졌다. 러시아 국방부는 탄약고 폭발 사고와 거친 파도가 침몰 원인이라고 주장했지만, 미국 등에 의해 우크라이나 미사일에 격침된 것으로 확인됐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5대 교훈

러시아 해군의 자존심으로 불려온 모스크바함은 만재(滿載) 배수량 1만1500t으로, 러시아 수상 함정 가운데엔 쿠즈네초프 항공모함과 키로프급 원자력 추진 순양함에 이은 ‘넘버 3′ 대형 함정이다. 대함미사일 16발을 비롯, 각종 대공·대잠수함 미사일과 헬기 등으로 중무장하고 있다. 바다 위로 낮게 날아오는 적 대함미사일도 분당 4000발의 30㎜ 포탄으로 요격할 수 있는 AK-630 기관포 6문도 갖추고 있다. 이런 모스크바함을 격침한 우크라이나군의 넵튠 미사일은 최첨단 초음속 무기가 아니라 1980년대 기술을 써서 개발한, 음속보다 느린 무기였다.

우크라이나군은 미사일 발사 전에 튀르키예(터키)제 바이락타르 무인기를 여러 대 띄워 모스크바함 레이더 등 탐지 수단의 관심을 끈 뒤 미사일로 허를 찌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와 오랜 인연이 있었던 우크라이나군은 모스크바함의 약점을 잘 알고 있었다고 한다. 모스크바함 침몰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러시아 해군 최대 손실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가장 결정적 장면 중 하나로 두고두고 회자될 것이다.

지난 2월 러시아의 전면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전은 예상 외로 장기화하면서 ‘우크라이나의 예상 밖 선전, 러시아의 예상 밖 고전’이 주목을 받고 있다. 비록 돈바스 등 동부 지역이 러시아의 손에 넘어가기는 했지만, 개전 수일 내에 우크라이나가 항복할 것이라는 상당수 전문가들의 예상과 달리 우크라이나는 5개월이 다 돼 가도록 버티며 선전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전에선 우선 재블린 미사일 등 신무기들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하이브리드전이 관심을 끌고 있다. 하이브리드전은 기존의 재래식 전쟁·비정규전·사이버전에다 가짜 뉴스, 심리전, 외교전 등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온갖 도구를 동원, 군사적 수단과 비군사적 수단을 합쳐 일종의 총력전을 펴는 것이다. 하이브리드전은 원래 러시아가 종주국으로 2008년 조지아 침공, 2014년 크림반도 합병 때 위력을 발휘했다. 반면 정반대로 이번 하이브리드전은 우크라이나가 강세, 러시아가 열세인 형국이다. 우선 우크라이나는 SNS를 활용한 여론전, 심리전에서 러시아를 압도해왔다. 스페이스X, 구글 등 세계적 기업들의 우크라이나 지원, 국제 의용군 참전 등 민간 부문의 활약은 종전 전쟁에선 볼 수 없었던 모습들이다. 러시아가 나름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은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 정부가 종종 핵무기 사용 위협을 하고 있는 정도다.

하지만 무엇보다 “나에겐 죽음을 겁낼 권리도 없다”는 젤렌스키 대통령을 비롯한 우크라이나 지도자들과 국민의 항전 의지, 우크라이나군의 강한 정신 전력이 우크라이나 선전의 비결로 꼽히는 듯하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아무리 첨단 무기가 발달한 현대전이라 하더라도 정신력이 승리의 핵심 요소임을 새삼 일깨워주고 있다. 또 ‘한·미 동맹 같은 굳건한 동맹 관계를 우크라이나가 미국과 맺고 있었더라면 러시아가 전면 침공할 엄두를 냈겠는가’라며 동맹의 중요성도 새삼 깨닫게 해준다.

이런 우크라이나전의 교훈을 우리가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이유가 있다. 단순히 세계적인 파장이 너무 큰 전쟁이라서가 아니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전이 걸프전이나 이라크·아프가니스탄전보다 한반도 전장 환경 및 전면전 양상과 더 비슷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유사시 우리가 과연 우크라이나보다 잘 싸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오스트리아 비영리기관인 WVS에서 설문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응답자들 중 전쟁이 일어날 경우 ‘싸우겠다’는 응답자는 67.4%, ‘싸우지 않겠다’는 응답자는 32.6%를 기록했다. ‘싸우지 않겠다’는 비율은 1981년 6.5%에 불과했지만 조사 때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7년 이후에는 32.6%까지 크게 높아졌다고 한다.

군 교육훈련 및 기강도 문제다. 복무 기간이 18개월로 줄어든 상태에서 한동안 북 눈치 보기와 코로나 때문에 제대로 훈련도 하지 못해 우리 병사들이 유사시 강한 대적관(對敵觀)을 갖고 싸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실정이다. 우크라이나전이 장기화하면서 탄약 등 보급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데 우리 군의 경우 상당수 유도 폭탄과 미사일은 개전 사흘이면 동이 나고 주요 탄약도 1주일을 버티기 힘든 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군 모두 예비전력(동원전력) 시스템 및 훈련이 미비돼 있어 고전했던 점도 열악한 한국군 예비전력에 시사하는 바가 많다. 그동안 군 수뇌부는 예비전력의 중요성을 말로는 강조해왔지만, 전체 국방비의 0.4%에 불과한 예비전력 예산은 충격적인 우리 예비전력 실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최근 군 내에선 각 기관별로 우크라이나전 교훈을 분석하는 세미나가 활발하다. 걸프전과 이라크전을 심층 분석하며 한·미 양국군의 아킬레스건을 노려왔던 북한은 우크라이나전에서도 하이브리드전 등 교훈을 도출해 우리의 약점을 파고들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하이브리드전으로 변모하는 전쟁 양상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전력과 기술을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국방부와 대통령실이 직접 나서 적극적으로 우크라이나전의 교훈을 찾아내고 유사시 싸워 이길 수 있는 국가와 군대를 만드는 데 활용해야 할 것이다.

출처: 유용원의 군사세계 [원본 보기]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추천 비추천

18

고정닉 1

1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608 밀어내기 충돌도 서슴치 않는다... ‘탱크 바이애슬론’ 실전 뺨치네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30 2013 6
607 [단독] 박민식 보훈처장 “김원웅 국회 카페 특혜에 국회 고위층 개입”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9 2200 20
606 병역자원 급감 비상! 지원 여성병사 제도 도입한다면? [6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6 2359 24
605 한국군 대장이 한미 연합 UFS 첫 지휘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5 1500 6
604 독일 라인메탈 '링스' 보병전투장갑차 스파이크 대전차미사일 발사 영상공개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4 1589 5
603 중국제 짝퉁? 대전차로켓 단 러시아 닌자 로봇 군견 [2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3 2978 7
602 한·미, 오늘부터 동시다발 야외 훈련.. 9일간 '을지 자유의 방패'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2 1302 12
601 북한이 가장 두려워했던 김관진, 문재인정부의 '적폐청산 기획수사'였나 [4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19 3055 52
600 우크라이나에 도착한 미국의 ‘강철비’ 하이마스 다연장 러시아군 정밀 타격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18 1926 10
599 중국이 봉쇄 훈련한 바시 해협은 우리 자원 수입로.. 강 건너 불 아니다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17 1891 17
598 공군, 40년된 노후 '팬텀' 운용..이유가 이 미사일 때문? [2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16 3621 12
597 문재인 정부의 과도했던 유엔사 강화 견제도 바로잡아야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12 2863 41
596 세계 5위권 진입 확실시되는 K-방산 수출, 하지만..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11 2014 18
595 미국, 중국 무력시위 앞두고 세계 최대 다국적 해군훈련 영상 집중 공개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10 1696 13
594 폴란드 방산수출 총규모, 25조원이 아니라 40조원이 넘는다고? [2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9 2528 23
593 중국, 대만 포위 때… 주한미군 정찰기 대만해협 출동했다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8 1704 15
592 피라미드 위에 태극기 그리자 "코리아" 환호 쏟아졌다 [3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5 2388 42
591 세계 최초 잠수함에서 수중 발사가 가능한 정찰 드론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4 1962 5
590 “원전에 폭발물·반도체공장 피습”... 한미 훈련, 실전처럼 한다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3 1869 7
589 정조대왕함 장착 SM-6.. 극초음속 미사일 킬러로 변신한다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2 1602 10
588 한미 연합훈련, ‘국가 총력전’ 개념으로 확대 [1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1 2472 20
587 정조대왕함, 1800km 밖 표적 1800개를 탐지할 수 있다고?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9 2397 20
586 해군의 첫 8,200톤급 차세대 이지스구축함 '정조대왕함' 진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617 6
585 러시아가 정신 나간 무기를 만들었... [3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3925 12
584 전투기로 변신한 블랙이글스 그 훈련기… FA-50, 유럽에 떴다 [1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2065 12
583 <단독 인터뷰> KF-21 첫비행 성공으로 이끈 류광수 부사장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994 3
한국군 미사일, 전쟁 사흘이면 동나… 우크라이나처럼 싸울 의지는 있나 [11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4785 18
581 KF-21의 경쟁자가 되기에는 갈 길 먼 튀르키예 5세대 전투기 TF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2963 5
580 초음속 전투기 띄웠다 KF-21, 부분 스텔스 성능 갖춘 '베이비 랩터'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2617 22
579 [현장취재] 영국 리아트 국제 에어쇼 6세대 전투기, 블랙이글스 비행 등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1344 4
578 미국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잇따라 성공.. 중국·러시아에 반격 시작됐다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1869 19
577 누리호, KF-21 잇딴 '빅 이벤트',하지만 항공우주청 설립은 아직도. [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1695 8
576 능동방어장치, 정찰무인기 등을 탑재한 이스라엘 중형 전투로봇 '로버스트'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2079 7
575 '궁극의 공병무기' 국산 장애물 개척 전차 '코뿔소' 등 신규 무기 7종 [2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2828 18
574 독일 라인메탈 신형 전차 'Panther KF51' 공개! [5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3926 23
573 첫 비행 앞둔 '보라매', 북한·중국 떨게 할 '한국형 독침' 장착한다 [3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1753 21
572 군(軍) 수장의 권위와 명예의 상징 합참의장에 대해 알아보자 [1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2529 6
571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소형 폭탄을 장착한 중국 DJI사의 상용 드론 매빅3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2238 6
570 청와대, 합참의장 조사 때 수사관까지 참여.. 조서 날인도 시켰다 [1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2930 44
569 우주전함인 줄.. 최강 미국 스텔스함 림팩 첫 참가, 중국 보란듯 공개 [5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3392 15
568 NLL 넘은 북한 선박 나포했다고.. 문재인정부, 합참의장 소환조사했다 [2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2855 72
567 천영우 전 청와대 수석이 던진 북핵 대책 등 세가지 안보 화두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432 2
566 핀란드 '라이트닝 스트라이크 22' 훈련에 참가한 K9 '무카리'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953 16
565 러시아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지르콘' 시험 발사 성공, 바렌츠해에서 발사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1707 7
564 폴란드 2조 규모 수출 이루어지나? 우리 기술로 만든 전투기 FA-50 [3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2616 22
563 축구장 6개 초토화.. 우크라이나 도착한 미국 '강철비' 하이마스 위력 [2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3752 7
562 동해안 지도 펼친 김정은, 전방부대 전술핵 배치 시사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2150 2
561 미 육군 정예 특수부대 제 10 특전단 '그린베레'의 해상척후조 훈련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3 2917 11
560 진화하는 북 핵.미사일 위협과 국방 인공지능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2 1670 4
559 일본 육상자위대 최신 장비 등장! 2022 '후지 종합화력연습'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3016 1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