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산불 가능성 높은 구간 사전에 식별하고, 화재 발생 뒤엔 확산 경로 추해 대응 국방부 등의 대형 헬기 협조, 임도 설치에도 공들여야
[파이낸셜뉴스] 산불 예방·진화를 위한 장비와 인력, 예산 부족은 고질적인 문제다. 올봄 경상북도 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근본 원인도 사실상 여기서 시작됐다. 그러나 현실상 개선은 쉽지 않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정공법이 어렵더라도 인공지능(AI), 정부 부처 유기적 협조 등 다양한 모든 수단을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고기연 한국산불학회장은 8일 "미국은 위성까지 띄워서 산불을 초기에 발견한다"면서 "한국도 AI 분석이나 딥러닝을 통해 산불을 초기에 감지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AI 활용은 수년째 제자리인 예산, 고령·계약직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불진화대, 절대적으로 부족한 대형 헬기 등의 빈 공간을 채우는 대안으로 꼽힌다.
예컨대 AI로 위성이나 드론이 촬영한 건조 상태 나무와 풀, 온도·습도 등의 이미지를 분석한 뒤 산불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사전에 식별할 수 있다. 산에서 불법 소각하고, 담배를 피울 경우 AI가 폐쇄회로(CC)TV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 미리 경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재 발생 후라면 바람 방향, 속도, 지형 등을 고려해 불길 확산 경로를 예상하며 소방·진화대·장비 배치 등을 결정하는 것 역시 AI가 할 수 있다.
실제 해외 선진국들은 이미 AI나 로봇 등을 활용해 산불을 초기에 감지하고 진화한다. 미국은 AI기반 예측 모델로 산불 위험 지역을 실시간 표시하고, 호주는 AI드론이 산불 위치 좌표를 매 순간 소방대에 전송하고 있다.
산림청 장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국방부 등 정부 부처·기관이 보다 적극 협조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국방부 치누크(CH-47) 헬기는 일반 헬기 대비 담수량이 최대 5배다. 따라서 한 번 띄웠을 때 다른 헬기보다 더 넓은 면적에서 진화 활동을 할 수 있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지난 3월에도 뒤늦게 군용 헬기를 보낸 탓에 산불 진화 골든타임을 놓쳤다"며 "화선이 넓어지지 않게 초기에 대형 헬기를 투입해야 하는데 헬기 구매 절차를 오늘부터 밟아도 1년 안에 필요한 대형 헬기 목표치를 충당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대형 산불이 자주 일어나는 시기에 대응 최고 단계인 '산불 대응 3단계'가 발령되면 군의 치누크 헬기가 바로 배치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창우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도 "이른 시일 안에 진화 헬기 한 대를 띄워서 투하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지금보다 늘어나야 한다"고 밝혔다.
이제부터라도 산불이 나면 소방차가 들어가 불을 끌 수 있도록 만든 숲속 길 ‘임도’ 설치에 공을 들여야 한다는 견해 역시 제기된다. 통상 임도에서 물을 뿌려야 낙엽 속에 깊이 파고든 불씨까지 진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불방지협회는 2022~2023년 대형 산불 19건을 분석해 임도에 진화 자원을 투입하면 산불 확산 예측치보다 최대 3분의 1 수준으로 피해 면적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내놨다.
이용재 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는 "임도를 확충하면 소방 차량과 인력이 신속히 접근할 수 있고 화선에 다다르기가 쉽다"고 전했다. jyseo@fnnews.com 서지윤 장유하 정경수 기자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