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Rust 커뮤니티에서 메모리 안전성 보장 방식과 관련하여 코드 컴파일 논란이 있었습니다. 필자가 제시한 Rust 코드 예시(node-fail.rs)가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아무 이상 없이 잘 된다"며 필자를 비방하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이 논란은 Rust의 **보로 체커(Borrow Checker)**가 메모리 안전성을 어떻게 강제하는지, 그리고 이 강제성이 개발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게시글에서는 Rust의 컴파일 실패 코드를 다시 한번 명확히 제시하고, 이와 대비되는 컴파일 성공 코드를 통해 Rust가 메모리 안전성을 어떻게 달성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나아가, 동일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목표로 할 때, Ada는 Rust와 어떻게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는지 코드를 통해 비교 분석하며, 단순한 기술 논쟁을 넘어선 언어 철학의 차이를 조명하고자 합니다.
1. 러스트 (Rust): '규칙'이 '의도'를 가로막는 경우
Rust의 보로 체커는 메모리 안전성을 위해 개발자에게 특정 규칙을 강제합니다. 이는 직관적인 코드를 작성하려 할 때 컴파일 실패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1.1. 직관적이지만 '실패'하는 Rust 코드 (컴파일 불가)
아래 코드는 C/C++ 사용자라면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는 부모-자식 참조 구조입니다. 하지만 Rust의 보로 체커는 이 코드를 절대로 컴파일하지 않습니다.
Rust
// node-fail.rs
// 이 코드는 컴파일되지 않습니다! (에러 발생)
struct Node<'a> {
parent: Option<&'a Node<'a>>, // 부모를 가리키는 참조
// ... 다른 필드들 (생략)
}
fn main() {
let mut root = Node { parent: None, /* ... */ };
// 컴파일 에러: `root`의 소유권과 빌림 규칙이 충돌합니다.
// 보로 체커는 가변 참조와 불변 참조의 동시 존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let child = Node { parent: Some(&root), /* ... */ };
}
컴파일 실패 원인:
이 코드를 컴파일하면 error[E0502]: cannot borrow ... 에러가 발생합니다. let mut root로 선언된 root 변수가 가변(mutable) 상태인데, child를 생성하며 parent: Some(&root)를 통해 root에 대한 **불변 참조(immutable reference)**를 동시에 만들려 하기 때문입니다. Rust의 보로 체커는 이러한 동시 참조를 막아 **데이터 경쟁(Data Race)**과 같은 런타임 메모리 오류를 컴파일 시점에 방지합니다.
이 실패는 '자식이 부모를 가리킨다'는 개발자의 단순한 의도가 '데이터는 단 하나의 가변 소유자만 가져야 하며, 빌림 규칙은 순환을 만들 수 없다'는 컴파일러의 엄격한 규칙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1.2. '성공'하지만 복잡한 Rust 코드 (컴파일 가능)
이 문제를 안전한(safe) Rust 코드로 해결하려면, 개발자는 자신의 직관적인 의도를 포기하고 컴파일러의 규칙을 통과하기 위해 **Rc, RefCell, Weak**라는 복잡한 스마트 포인터 개념들을 동원한 '우회로'를 설계해야 합니다.
Rust
// node.rs
// 이 코드는 정상적으로 컴파일되고 실행됩니다.
use std::rc::{Rc, Weak};
use std::cell::RefCell;
use std::fmt;
// Node 구조체 정의
// Rc, Weak, RefCell을 사용하여 공유 소유권 및 내부 가변성을 관리합니다.
struct Node {
value: String,
parent: RefCell<Weak<Node>>, // 부모는 약한 참조 (순환 참조 방지), RefCell로 내부 가변성
children: RefCell<Vec<Rc<Node>>>, // 자식들은 강한 참조 (공유 소유권), RefCell로 내부 가변성
}
// Node의 소멸자 구현: 객체가 해제될 때 메시지 출력
impl Drop for Node {
fn drop(&mut self) {
println!("Node '{}' destroyed.", self.value);
}
}
impl Node {
fn new(value: &str) -> Rc<Self> {
let node = Rc::new(Node {
value: value.to_string(),
parent: RefCell::new(Weak::new()),
children: RefCell::new(Vec::new()),
});
println!("Node '{:?}' created.", node);
node
}
fn add_child(parent_node: Rc<Node>, child_node: Rc<Node>) {
*child_node.parent.borrow_mut() = Rc::downgrade(&parent_node);
parent_node.children.borrow_mut().push(child_node);
}
fn get_parent_value(&self) -> Option<String> {
self.parent.borrow().upgrade().map(|p| p.value.clone())
}
fn get_child_values(&self) -> Vec<String> {
self.children.borrow().iter().map(|c| c.value.clone()).collect()
}
}
fn main() {
println!("\n--- Rust 노드 생성 및 관계 설정 ---");
let root = Node::new("root_node");
let child1 = Node::new("child_1");
let child2 = Node::new("child_2");
Node::add_child(Rc::clone(&root), Rc::clone(&child1));
Node::add_child(Rc::clone(&root), Rc::clone(&child2));
let grandchild1 = Node::new("grandchild_1");
Node::add_child(Rc::clone(&child1), Rc::clone(&grandchild1));
println!("\n--- 현재 Rust 트리 상태 ---");
println!("루트 자식들: {:?}", root.get_child_values());
println!("자식_1 부모: {:?}", child1.get_parent_value());
println!("손자_1 부모: {:?}", grandchild1.get_parent_value());
println!("자식_1 자식들: {:?}", child1.get_child_values());
println!("\n--- Rust 객체 수명 주기 시연 ---");
// root 변수를 drop하여, root와 그에 종속된 강한 참조들(child1, child2)을 해제합니다.
drop(root);
println!("\nroot 변수를 drop() 한 후:");
println!("손자_1 부모 (이제 없음): {:?}", grandchild1.get_parent_value());
println!("손자_1 자식들: {:?}", grandchild1.get_child_values());
// main 함수 종료 시 남아있는 grandchild1 노드가 파괴됩니다.
}
Rust 방식 분석:
단순한 부모-자식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개발자는 Rc (참조 카운팅 포인터), RefCell (내부 가변성), Weak (약한 참조), borrow_mut() (가변 빌림), downgrade() (약한 참조로 변환) 등 수많은 난해한 개념과 마주해야 합니다. 개발자의 초점은 '트리 구조'라는 원래 문제에서 벗어나, '어떻게 하면 보로 체커를 통과할까'라는 Rust의 규칙 자체를 해결하는 문제로 변질됩니다. Rust의 안전성은 컴파일러가 강제하지만, 그 대가로 개발자는 비직관적인 코드와 씨름해야 합니다.
2. Ada/SPARK: '의도'를 코드로 직접 표현하는 경우
Ada/SPARK 생태계는 개발자의 의도를 존중하고, 안전성을 다층적으로 확보하는 길을 제시합니다. 이들은 Rust와는 다른 철학으로 동일한 안전성 목표에 도달합니다.
2.1. Ada: 직관적인 구조 표현과 런타임 안전성
Ada 언어 자체는 access라는 '포인터' 타입을 사용하여 개발자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도록 돕습니다. Rust처럼 컴파일 타임에 모든 메모리 안전성을 강제하지는 않지만, 런타임에 강력한 안전망을 제공합니다.
Ada
-- Ada 코드: node.ads (패키지 사양 - 정의)
package Node_Types is
-- `Node` 타입을 미리 선언하여 자기 참조 구조가 가능하게 합니다.
type Node;
-- `Node` 타입을 가리킬 수 있는 '포인터' 타입을 정의합니다.
type Node_Access is access all Node;
-- 실제 `Node` 타입을 정의합니다.
type Node is record
Parent : Node_Access; -- 부모를 가리키는 포인터
Children : Node_Access_Array; -- 자식들을 담는 배열 (예시용)
end record;
-- (여기서는 Children에 대한 자세한 구현은 생략하고 개념만 제시)
type Node_Access_Array is array (Positive range <>) of Node_Access;
-- 프로시저 선언
procedure Create_And_Link_Nodes;
procedure Print_Node_Info (Item : in Node_Access);
end Node_Types;
-- Ada 코드: node.adb (패키지 본문 - 구현)
with Ada.Text_IO; use Ada.Text_IO;
with Ada.Strings.Unbounded; use Ada.Strings.Unbounded;
package body Node_Types is
-- Create_And_Link_Nodes 프로시저 구현
procedure Create_And_Link_Nodes is
Root : Node_Access := new Node;
Child : Node_Access := new Node;
begin
Put_Line ("--- Ada 노드 생성 및 관계 설정 ---");
Root.all.Parent := null; -- 루트 노드의 부모는 없음
Root.all.Value := To_Unbounded_String("root_node"); -- 값 설정 (예시 추가)
Child.all.Parent := Root; -- 자식 노드의 Parent 필드가 부모 노드(Root)를 직접 가리킵니다.
Child.all.Value := To_Unbounded_String("child_node"); -- 값 설정 (예시 추가)
-- 실제 Children 목록에 추가하는 로직은 복잡하여 간단히 생략
-- Root.all.Children.Append(Child);
Put_Line ("Root created.");
Put_Line ("Child created and linked to Root.");
Print_Node_Info(Root);
Print_Node_Info(Child);
end Create_And_Link_Nodes;
-- 노드 정보 출력 프로시저
procedure Print_Node_Info (Item : in Node_Access) is
begin
if Item /= null then
Put_Line ("Node Value: " & To_String(Item.all.Value));
if Item.all.Parent /= null then
Put_Line (" Parent Value: " & To_String(Item.all.Parent.all.Value));
else
Put_Line (" Parent: None");
end if;
end if;
end Print_Node_Info;
end Node_Types;
-- Ada 코드: main.adb (메인 프로그램)
with Node_Types; use Node_Types;
with Ada.Text_IO; use Ada.Text_IO;
procedure Main is
begin
Node_Types.Create_And_Link_Nodes;
-- 메모리 해제는 Ada의 접근 타입(access type)과 힙 관리자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되거나
-- 개발자가 Unchecked_Deallocation을 통해 명시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여기서 할당된 Node들은 Main 프로시저 종료 시 암묵적으로 접근 불가능하게 됩니다.
-- SPARK와 함께 사용 시 런타임 오류나 메모리 릭이 없음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end Main;
Ada 방식 분석:
Ada는 'access' 타입을 통해 포인터를 직접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하여 개발자의 의도("노드는 다른 노드를 가리킬 수 있다")를 매우 간결하게 표현합니다. Rust와 달리 컴파일 시점에 엄격한 보로 체커를 강제하지 않습니다. 대신, 개발자가 Parent가 null인 상태에서 Parent.all과 같이 역참조를 시도하면, 컴파일러는 이 코드를 막는 대신 런타임에 Constraint_Error라는 예외를 발생시키는 코드를 기본적으로 삽입합니다. 즉, 런타임에서 안전장치가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시스템이 예외를 처리한 후에도 임무를 지속하는 **'회복력(Resilience)'**을 가질 수 있게 합니다.
2.2. SPARK: 명시적 계약을 통한 '증명된' 컴파일 타임 안전성
SPARK는 Ada의 런타임 검사조차 필요 없게 만듭니다. 개발자가 자신의 '의도'를 '계약(Contract)'으로 명시하면, 정적 분석 도구(Prover)가 "이 코드는 런타임 에러가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합니다.
Ada
-- SPARK 코드 (Ada 패키지 사양에 추가된 계약)
package Node_Types is
-- ... (Node 타입, Node_Access 등 위와 동일)
-- 노드 정보 출력 프로시저 (SPARK 계약 추가)
procedure Print_Node_Info (Item : in Node_Access)
with
-- 사전 조건(Pre-condition)으로 "Item은 null이 아니다"라고 명시합니다.
-- 이것이 개발자의 '의도'이자, Prover에게 증명을 요청하는 '계약'입니다.
Pre => Item /= null; -- null 포인터 역참조 방지 계약
-- 부모 노드 값을 출력하는 함수 (SPARK 계약 추가)
function Get_Parent_Value (Item : in Node_Access) return String
with
Pre => Item /= null and then Item.all.Parent /= null; -- Item과 부모 모두 null이 아님을 계약
end Node_Types;
SPARK 방식 분석:
SPARK는 개발자에게 자신의 코드가 안전하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하도록 요구합니다. 도구는 개발자의 이 선언이 타당한지를 수학적으로 검증해 줄 뿐입니다. 이 방식은 정수 오버플로우, 배열 인덱스 초과, 0으로 나누기 등 모든 종류의 산술적 오류까지 포함하여 런타임 오류 자체가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3. 결론: '안전성'을 향한 서로 다른 길
구분
러스트 (Rust)
Ada/SPARK
핵심 철학
'규칙'이 '의도'를 제약
'도구'가 '의도'를 지원하고 검증
안전성 확보
컴파일러가 암묵적 규칙을 자동으로 강제
개발자가 명시적 계약을 작성하고 도구가 증명
개발자 경험
컴파일러의 규칙을 통과하기 위한 '싸움'
자신의 의도를 코드로 표현하고, 그 안전성을 계약으로 증명
주요 어려움
언어의 고유한 패러다임(소유권)에 대한 적응
문제에 대한 형식적이고 논리적인 사전 분석 및 '계약' 작성
안전성의 기본값
성능 우선 (안전은 Opt-in)
안전 우선 (런타임 체크가 기본, 증명은 Opt-in)
Rust의 방식은 '개발자의 단순한 의도'와 '컴파일러의 엄격한 규칙'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복잡한 '우회로'를 강제합니다. 하지만 그 대가로 C/C++에서 발생하는 치명적인 메모리 오류를 컴파일 타임에 '자동으로' 막아냅니다.
반면 Ada/SPARK는 '개발자의 의도'를 코드로 직접 표현하게 하고, 그 의도에 대한 안전성을 런타임 검사 또는 수학적 증명을 통해 보장합니다. 이는 Rust와는 다른 차원의 '안전성'과 '회복력'을 제공합니다.
이 비교를 통해, 우리는 두 언어가 '안전성'에 도달하는 길이 근본적으로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Rust는 개발자의 실수를 원천적으로 막는 엄격한 '자동화된 규칙'을 선택했고, Ada/SPARK는 개발자의 '명시적인 의도와 증명'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길을 선택했습니다. 어느 쪽이 더 합리적인지는, 결국 프로젝트의 요구사항과 개발자의 철학에 달려있을 것입니다.
-------------
러스트의 결계 결함으로 볼 수 있는 지점입니다.
바로 이점이 러스트 빠돌이들의 발작 포인트입니다.
극대노를 넘어서 비판자를 향해 허위사실 유포, 인신공격 등을 서슴치 않죠.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